• 제목/요약/키워드: Saikosaponi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2초

Immunological Studies on the Natural Products I -Production of Antibody Specific to Saikosaponin a-

  • Sung, Chung-Ki
    • 생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2
    • /
    • 1988
  • In the course of the immunological studies on the natural products, the antibody specific to saikosaponin a was producted. Saikosaponin a was treated with succinic anhydride to give 6'-O-hemisuccinyl saikosaponin a, which was successively converted to saikosaponin a-BSA conjugate (4. 5 mole saikosaponin a/mole of BSA) by carbodiimide method. The antibody obtained from rabbits immunized with saikosaponin a-BSA conjugate as usual manner reacted with both the conjugate and BSA, while after the absorption with BSA, the antibody reacted with the conjugate alone.

  • PDF

In vitro Degradation of Saikosaponin-a in Physiological Condition

  • Sung, Chung-Ki
    • 생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8-130
    • /
    • 1989
  • In vitro degradation of saikosaponin-a in physiological condition was conducted. Saikosaponin-a in 0.1 N-HCl of 25% 1,4-dioxane was incubated at $37^{\circ}$ and the products were analyzed and the time course of degradation was observed. Saikosaponin-a(Sa) was transformed to $saikosaponin-b_1(Sb_1)$ and saikosaponin-g(Sg) in the course of time. Sa was decreased drastically and not detected after 6 hours. $Sb_1$0 and Sg was increased with the time. After 6 hours the ratio of $Sb_1$ and Sg was about 4:1 and was maintained for 24 hours.

  • PDF

예취 및 적화처리에 따른 시호의 생육특성 및 saikosaponin 함량 (Saikosaponin Cont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n Cutting and Flower Removal in Bupleurum falcatum L.)

  • 이호;김길웅;손태권;이지언;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53-365
    • /
    • 2002
  • 본 시험은 국내 재래종 정선시호와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시호를 공시하여 시호근의 비대촉진을 위하여 예취 및 적화처리가 시호의 생육과 saikosaponin 함량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구명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 및 적화처리에 따른 시호 계통간 및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에 있어서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분지수는 적었지만 생근중, 건근중 및 지근수는 많았다. 1년생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주근장이 길었고 2년생에서는 초장과 경수가 많았다. Saikosaponin함량은 1년생 및 2년생 모두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saikosaponin-a, saikosaponin-d 및 total-saikosaponi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1년생 시호 지상부 생육의 초장, 경태, 지상부중과 지하부중의 주근장, 생근중 및 건근중 등 생육은 촉진되었고, 2년생 시호에 있어서 예취 및 적화처리 횟수에 따른 생육은 2회를 한 것이 1회보다 초장이 짧았지만 주근장은 길었다. 3. 1년생 및 2년생 시호의 예취에 따른 생육은 초장, 분지수는 감소하고 1년생 시호의 적화처리구에서 지상부중은 높았고 1년생 시호의 30cm 예취 처리구와 적화처리구에는 근경과 생근중은 증가하였으나 지근수는 감소되고 건근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년생 시호의 예취 처리구와 적화처리구의 근경 및 50 cm 예취 처리구와 적화처리구의 생근중과 건근중은 무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Saikosaponin 함량은 1년생 시호의 saikosaponin-c 함량만 차이가 인정되었고, 2년생 시호의 saikosaponin-a, saikosaponin-d, total-saikosaponin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4. 예취 및 적화처리에서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은 11월 20일에 한 것이 9월 20일에 한 것보다 초장, 경태 및 지상부중과 지하부의 주근장, 생근중 및 건근중 등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saikosaponin-a, saikosaponin-d 및 total-saikosaponin 함량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시호 모상근 배양에서 생장과 시호 사포닌 생합성에 미치는 배지와 IAA 및 IBA의 영향 (Effects of IAA, IBA, and Media on Growth and Saikosaponin Biosynthesis in Bupleurum falcatum Hairy Root Culture)

  • 안준철;김응식;이현진;황백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1-175
    • /
    • 1999
  • 시호 모상근 (BFHR2 클론) 배양에서 생장과 saikosaponin 생산에 미치는 기본배지, 배지의 다량무기염농도 변화 및 IAA와 IB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배양액 중 RCM 배지에 다량무기염농도를 2배로 증가시킨 배지에서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2RCM배지에서는 saikosaponin인 a, c와 d의 생성을 확인하였으며, 반면에 MS배지에서는 saikosaponin의 생성이 극히 저조하였다. IBA는 0.5mg/L에서 약 60%의 생장촉진효과를 보였으나, IAA와 IBA두 가지 모두 0.01~5mg/L 까지의 농도에서 뿌리형태의 외적인 변화 없이 saikosaponin 생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및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이 시호(柴胡)(Bupleurum falcatum L.)근(根) 중(中)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Fertility and the Inorganic Nutrients in the Root on the Contents of Saikosaponin a, c in the Root of Bupleurum falcatum L.)

  • 장상문;박병윤;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2
    • /
    • 1990
  • 시호(柴胡)의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인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산지에서 채취(採取)한 1년근(年根) 중(中)의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과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의 관계(關係)를 규명하였다.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0.141~0.479%와 0.042~0.094%의 범위에 속(屬)하였다. Saikosaponin a의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Fe의 함량(含量)과 공(共)히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캘러스로부터 형성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 (Saikosaponin Content in Adventitious Root Formed from Callus of Bupleurum falcatum L.)

  • 김성길;조덕이;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33
    • /
    • 1995
  • 시호 캘러스로부터 유도된 부정근의 saikosaponin 함량을 분석하였다. 캘러스로부터 부정근 발생은 0.1 mg/L a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배양기간에 따른 부정근 형성은 오래된 캘러스에 비해 4주 배양한 캘러스가 효과적이였다. 캘러스당 부정근 형성율은 캘러스의 크기가 900-1000 $\mu$M에서 가장 높았다. Saikosaponin의 총 함량은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Saikosaponin a와 d의 함량은 배양 150일에서 g부정근 건물 중량당 각각 2089 $\pm$ 124 $\mu$g과 4778 $\pm$ 214 $\mu$g이였으며 saikosaponin c의 함량은 60일 배양에서 3492 $\pm$ 123 $\mu$g 으로 높았다.

  • PDF

HPLC에 의한 시호(柴胡) Saponin의 분리 및 정량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s in Bupleuri Radix with HPLC)

  • 한대석;이덕근
    • 생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79
    • /
    • 1985
  •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 a and d, the major pharmacologically active saponins of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was studied with the conversion of these saponins into diene saponins $(saikosaponin\;b_1\;and\;b_2)$. The complete separ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se saponins were performed by the method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NH_2$ column. The conversion of saikosaponin a and d into diene saponins under gastric pH was calculated. Thirty-three percent of saikosaponin a was converted to saikosaponin $b_1$ and 63 percent of saikosaponin d was converted to saikosaponin $b_2$.

  • PDF

L-Phenylalanine이 시호 캘러스의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Phenylalanine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Bupleurum falcatum Callus)

  • 성락선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4-358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L-phenylalanine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callus induced from Bupleurum falcatum leaf segments. In the fresh and dry weight of callus, the addition of 2,4-D than L-phenylalanin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However, the L-phenylalanine treatment rather than 2,4-D was effective for high saikosaponin accumulation in the callus of Bupleurum falcatum.

  • PDF

Saikosaponin 유도체의 합성

  • 성충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25-125
    • /
    • 1993
  • Saikosaponin은 한방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시호의 항염증작용 성분으로서 주로 염증의 후기 단계에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호는 생약자체로만 사용되고 성분이 약물로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Saikosaponin의 용해성이 극히 저조하여 제제화하기 힘든 때문이다. 연자는 시호 Saponin의 용해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시호 Saponin의 하나인 saikosaponin-a를 Pyridine 중에서 succinic anhydride와 반응시켜 6"-hemisuccinyl saikosaponin-a를 얻고 이를 THF에 용해한 후 KOH와 반응시킨 후 다량의 THF를 추가하여 hemisuccinyl esler의 potassium염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의 용해도를 원래의 Saponin과 비교시험하였다.

  • PDF

시호 수집종의 근 수량 및 Saikosaponin 함량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 in Local Strains of Bupleurum falcatum L.)

  • 박용진;성재덕;김호영;서형수;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53-457
    • /
    • 1994
  • 본 시험은 1990년 11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국내에서 수집된 시호 6계통과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을 공시하여 생육특성, 근수양성 및 saikosaponin 함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종 시호의 개화기는 1년생이 8월 2∼3일, 2년생은 7월 16∼18일로, 1년생보다 2년생이 일찍 개화하였으며, 일본도입종인 삼도종은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1년생은 18일, 2년생은 32일각각 늦게 개화하였다. 2. 초장 및 경태에서 춘천종은 초장이 크고 경태가 굵은 편이었으며 삼도종은 다분지형이었다. 3. 근장, 근태 및 지근수는 국내 수집종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삼도종은 뿌리가 굵고 짧으며 지근이 적은 경향이었고, 건근수량은 1, 2년생모두 춘천종이 높았으며, 2년생근의 10a당 평균수량은 105Kg으로 1년생근에 비해 2.6배를 보였다. 4. Saikosaponin 함량면에서 춘천종은 1, 2년생근 모두에서 높은 편이었고, saikosaponin 조성에서는 국내 재래종이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보다 약리활성이 높은 saikosaponin a 및 d의 함량비율이 높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