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rol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SPME-GC-MS를 이용한 담배와 관련된 향료의 분석 (Analysis of Flavor-related Compounds from Tobacco using SPME-GC-MS)

  • 박교범;이석근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109-114
    • /
    • 2001
  • 담배에 포함된 향료 성분을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를 이용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의 selected ion monitoring(SIM)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담배향과 관련된 성분은 estragole, pulegone, trans-anethole, safrole, piperonal, eugenol, methyleugenol, coumarin, trans-isoeugenol, trans-methylisoeugenol 및 myristicin 등 11종이며 분석결과 모든 담배에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담배향 성분을 $0.001-1.3{\mu}g/g$ 검출할 수 있었으며 회수율은 89.1-102.9%로 나타났고 상대표준편차는 2.6-25.2%를 얻었다.

  • PDF

당귀(當歸)의 Decursin 성분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Decursin of Angelica gigantis)

  • 황귀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1-86
    • /
    • 1998
  • In oriental medicine, it is well known that Angelica gigantis tonifies and harmonizes the blood, regulates the menses, and moistens the intestines. This herb has been used for deficient blood pattern, menstural problem, abdominal pain, and traumatic injuries in oriental medicine. A major component of Angelica gigantic consist of a various coumarines, decursin, schooltime, umbelliferone, safrole, 3-butylphalide sistesterol. In this study, we aimed to measure the contents of decursin, one of major coumarine derivative, to determine the standardization of Angelica gigantis.

  • PDF

육두구의 리그난 성분 (Lignans from Myristica fragrans)

  • 김갑준;한용남
    • 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8-101
    • /
    • 2002
  • The phytochemical study of nutmeg, the seeds of Myristica fragrans Houttuyn (Myristicaceae)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lignans, safrole (I), macelignan (III), and a 3,4 : 3',4'-bis(methylenedioxy)lignan (II). The compound II was identified by a mixture (1:1) of (8S, 8'R)- and (8S, 8'S)-forms of bis(3, 4-methylenedioxy)-8, 8'-neolignan by $^1$H-, $^{13}$ C-NMR and $^1$H-$^1$H COSY spectral data. The compound II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Myristica fragrans.

점박이응애에 대한 Terpene류의 훈증과 기피효과 (Fumigant and Repellency Effects of Terpenes against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 이소영;유정수;문선주;이상길;김철수;신상철;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9-255
    • /
    • 2003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34종 terpene의 훈증독성, 접촉독성 및 기피효과를 조사하였다. 훈증독성은 10${\mu}\ell$/1(공기)의 농도에서 isosafrole, safrole이 모두 98.4%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이 두 화합물의 LD$_{50}$값은 각각 2.6, 4.3${\mu}\ell$/1이었다. 접촉독은 isosafrole만이 알에 대해서 60.2%의 살란활성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terpene에서 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약제감수성 계통에 대한 기피반응을 조사한 결과 hexanoic acid와 limonene이 1,000ppm에서 각각 79.1%와 87.8%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fenprothion저항성 계통과 pyridaben저항성계통에 대해서 hexanoic acid는 각각 77.8%과 83.3%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저항성계통에 대한 limonene(1,000ppm)의 기피효과는 각각 17.8%와 10.0%로서 감수성계통에 대한 기피효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다.

추출방법에 따른 Nutmeg Oil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m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utmeg Oil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장희진;나도영;김옥찬;양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1-856
    • /
    • 1989
  •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얻은 육두구 정유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추출수율은 용매추출이 23%로 가장 많았고 SDE 추출, $CO_2$ 추출순이었다. 육두구유에 대한 물리적 성질과 GC분석결과에서 본 실험에 사용한 육두구는 East Indies type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각 추출물의 분석결과로부터 sabinene은 3.6-14.1%, miristicin은 28.4-48.7% elemicin은 1.2-2.1%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발암물질로 알려진 safrole은 SDE 추출에서 3.8%, 용매추출에서 3.6%, $CO_2$추출에서 5.6%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DE 추출이나 용매추출에서 확인된 camphene은 $CO_2$추출에서 확인할 수 없었고 monoterpene, terpene alcohol 계통의 화합물은 SDE 추출이나 용매 추출에 많았다. 방향족 화합물은 $CO_2$추출에서 많이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몇가지 정유가 Rat의 위액분비 및 비둘기의 위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me Essential Oils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and Gastric Motility in Pigeons)

  • 위명복;박준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85-192
    • /
    • 1987
  • 식물에서 얻어지는 정유의 한 성분으로 화학구조가 유사한 anethole, eugenol, isoeugenol, safrole 및 isosafrole이 위액분비 및 위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액분비는 rat를, 위운동은 비둘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 anethole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1.0m{\ell}$, $0.5m{\ell}$$0.25m{\ell}$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비량이 각각 $2.4{\pm}0.6m{\ell}$, $4.9{\pm}0.4m{\ell}$$7.3{\pm}0.5m{\ell}$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70.8%, 41.0% 및 12.2%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2. 1% eugenol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1.0m{\ell}$, $0.5m{\ell}$$0.25m{\ell}$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비량이 각각 $1.8{\pm}0.5m{\ell}$, $5.1{\pm}0.3m{\ell}$, $5.2{\pm}0.5m{\ell}$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77.9%, 39.1% 및 37.6%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3.1% isoeugenol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1.0m{\ell}$, $0.5m{\ell}$$0.25m{\ell}$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바량이 각각 $3.9{\pm}0.2m{\ell}$, $4.5{\pm}0.2m{\ell}$, 및 $5.5{\pm}0.3m{\ell}$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53.6%, 46,0% 및 33.4%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4.1% safrole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1.0m{\ell}$, $0.5m{\ell}$$0.25m{\ell}$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바량이 각각 $3.1{\pm}0.6m{\ell}$, $5.3{\pm}0.4m{\ell}$, 및 $7.2{\pm}0.8m{\ell}$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2.1%, 36.2% 및 13.0%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5.1%의 isosafrole을 rat의 체중 100g당 각각 $1.0m{\ell}$, $0.5m{\ell}$$0.25m{\ell}$의 비율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6마리씩의 평균 위액분비량이 각각 $1.1{\pm}0.2m{\ell}$, $2.7{\pm}0.6m{\ell}$$5.1{\pm}0.6m{\ell}$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86.3%, 67.2% 및 38.6%의 위액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들 다섯가지 정유들의 1% 유제용액을 각각 비둘기의 체중 100g당 $0.25m{\ell}$를 복강내로 투여하였던 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비둘기의 위운동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이들 다섯가지 정유 모두는 rat의 위액분비를 억제하며, 비둘기의 위운동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알았다.

  • PDF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philippine piper betle leaves

  • Rimando, Agnes-M.;Han, Byung-Hoon;Park, Jeong-Hii;Magdalena-C. Cantori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93-97
    • /
    • 1986
  • Fourteen volatile components including eight allypyrocatechol analog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and ether soluble fraction of Philippine Piper bettle leaves (Piperaceae). The major constituents of Philippine Piper betle oil were chavibetol and chavibetol acetate. Capilary GC analysis of the oil showed chavibetol (53.1%), chavibetol acetate (15.5%), caryophyllene (3.79%), allypyrocatechol diacetate (0.71%), campene (0.48), chavibetol methylether (=methyl eugenol, 0.48%), eugenol (0/32%), $\alpha$-pinene(0.21%), $\beta$-pinene(0.21%), $\alpha$-limonene(0.14%), safrole (0.11%), 1.8-cineol(0.04%), and allylpyrocatechol monoacetate. The major component of the ether soluble fraction was allylpyrocatechol (2.38% of the leaves).

  • PDF

세신 정유추출물의 목재부후균과 궐련벌레에 대한 항진균 및 살충활성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sarum sieboldii against Wood Contaminant Fungi and Lasioderma serricorne L.)

  • 강소영;정용재;임진아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5-401
    • /
    • 2012
  • 정유 상태의 세신(Asarum sieboldii) 추출물이 유기질 문화재 보존을 위한 천연 살생물제로써의 적합성 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목재부후균과 궐련벌레에 대한 항진균활성 및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목재부후균 4종에 대한 세신 정유추출물의 항진균활성($IC_{50}$)을 측정한 결과 $1.50{\sim}2.84{\mu}l/disc$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L. lepideus에서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궐련벌레 성충에서는 50%(v/w)과 100%(v/w)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약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정유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35종의 화학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주성분은 methyleugenol(56.32%), eucarvone(11.53%), safrole(5.79%), ${\delta}$-3-carene(2.09%)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신 정유추출물은 목재부후균과 궐련벌레 등 곤충에 의해 야기되는 생물학적 열화로부터 유기질 문화재를 보존할 수 있는 천연 살생물제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LC-MS/MS와 GC-MS를 이용한 세신 추출물 중 7종 성분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even Marker Components in Asarum sieboldii using the LC-MS/MS and GC-MS)

  • 서창섭;신현규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0-361
    • /
    • 2013
  • Asarum sieboldii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fever, pain, common cold, and chronic sinusitis in Korea.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ntification analysis of seven major constituents including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alpha}$-asarone, ${\beta}$-asarone, elemicin, methyl eugenol, and safrole in the 70% ethanol extract of Asarum sieboldii and its solvent fractions,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ones using a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UPLC-ESI-MS)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GC-MS). Regression equations of seven components were acquired with $r^2$ values >0.99. The values of limit of detection(LOD) and quantification(LOQ) were 0.1-3.9 ng/mL and 0.3-11.7 mg/mL, respectively. The amount of the seven compounds in Asarum sieboldii were not detected -143.66 mg/g. The established LC-MS/MS and GC-MS methods will be helpful to improve quality control of Asarum siebold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