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Metabolic Discrimination of Safflower Petals of Various Origins Using 1H NMR Spectroscopy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 Whang, Wan-Kyun;Lee, Min-Won;Choi, Hyung-Ky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4호
    • /
    • pp.557-560
    • /
    • 2007
  • The metabolic discrimination of safflowers from various geographical origins was performed using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ollowed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ith a combination of these techniques, safflower samples from different origins could be discriminated using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PC) of the 1H NMR spectra of the 50% methanol fractions. PC1 and PC2 accounted cumulatively for 91.3% of the variation in all variables. The major peaks in the 1H NMR spectra that contributed to the discrimination were assigned to fatty acid (terminal CH3), lactic acid, acetic acid, choline derivatives, glycine, and safflower yellow derivatives.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various types of safflower can be discriminated using PCA and 1H NMR spectra.

홍화 수집종의 주요 형태적 특성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Accessions)

  • 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3-218
    • /
    • 2000
  • 홍화의 새로운 품종육성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홍화의 외관상 나타나는 형태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홍화의 16계통중 단간(90∼110cm)인것이 6계통, 중간(111∼130cm)인 것은 5계통, 장간(131cm이상)인것은 5계통이었으며 장간은 국외 도입계통이었다. 2. 국내 수집 종 2계통은 주당 분지수가 11∼13개의 소분지형이었으며 도입종들은 50개이상의 다분 지형이었다. 3. 잎의 형태는 장타원형이 3계통, 피침형이 10계통, 넓은 선상형은 3계통으로 피침형이 가장 많았으며 잎의 가장자리 거치형태는 파도 물결 모양의 둔거치가 7계통으로 가장 많았고 4계통은 거치가 있었으며 깊게 찢어진 심열거치는 5계통이었다. 4.꽃의 색깔은 백색 1계통, 황색 13계통, 주황색 2계통이었으며 두장화의 형태는 원뿔형이 대부분이며(14계통)편형이 2계통이었고 화두 포엽의 끝은 가시형이 11계통이었고 무가시형은 5계통이었다. 5. 종자의 형태는 원뿔형이 11계통, 타원형은 5계통으로 국내 수집계통은 모두 원뿔형이었으며 도입계통은 타원형으로 대립이었다.

  • PDF

천연염색을 이용한 제품디자인 개발 (Design development through natural dyeing)

  • 박영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3호
    • /
    • pp.394-400
    • /
    • 2013
  • At a time when the deman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s soaring, the fashion industry is following suit. The industry is showing particular interest in natural-dyed produc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history of natural dyeing for textiles and on the types of natural dye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recent trend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applied the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o those trends. Through this process, possibilities for new designs were suggested. This study proposed designs for various items-t shirts, one-piece dresses, blouses, skirts, and knitwear-by using threads and textiles dyed from mugwort, Polygonum indigo, safflowers, Lithospermum erythrorhizon, and Sophora japonica flowers.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broadens the boundaries of design for natural-dyed fashion products. To that end, various designs were attempted by combining natural-dyed textiles or knits with leather, denim, and fur.

정조시대와 에도시대(江戶時代)의 화장문화(化粧文化)와 수발문화(鬚髮文化)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Make-up and Hair Styling Cultures of the King Jeongjo and the Edo Period)

  • 김민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9-200
    • /
    • 2009
  • In the Edo period speaking of hair culture, common women wore decorative pigtail ribbons on the right, and twisted from side to side their tressed hair in such a manner as ungeunmeori and traemeori. Instead of gachae, common women used gogae made of their own hair, ungeunmeori on forehead, or jjokjinmeori at the back of head. During the Edo period, people women naturally exposed their necklines as a way of exposing their faces in the aesthetically ceremonial act of wearing make-up. As for lipsticks, they rouged extracts from red petals of safflowers mainly on their lips, and sometimes on their cheeks by blending this with white powder. Samurai families disliked women who wore thick lip makeup. In the latter period, women painted their necklines or foreheads black, applied a small amount of rouge on their cheeks thinly or thickly, and colored a reddish color into their fingernails by using petals and leaves of balsam flowers. Despite the chronological and spatial proximity of the King Jeongjo period and the Edo perio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milarities between two countries' cosmetic cultures. Moreover, it was discovered that current TV dramas were being produced, even not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in the Jeongjo period.

잇꽃 무가시형 유전자원의 파종시기에 따른 개화특성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Non-Spiny Safflowers according to Sowing Time)

  • 문정섭;김명석;송희경;이승윤;정동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81
    • /
    • 2022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는 52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잇꽃은 종자를 약용으로 이용하거나 꽃잎을 건조하여 천연 염색제 및 향신료로 이용하고 있으나, 일본 산형(山形)현에서는 잇꽃의 경관적 가치를 이용해 홍화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소득작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준고랭지 지역에서 잇꽃의 경관적 가치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총포에 가시가 없는 무가시형 유전자원(IT323225, IT333473, IT333482)을 분양받아 가시가 있는 재배종과 파종시기별로 개화 특성 등을 비교하였다. 표고 500m 준고랭지의 비가림 하우스에서 3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파종시별로 출현율을 검토한 결과, IT 323225 자원은 관행의 3월 하순 파종에서도 40.5%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다. 3월 하순 파종에서 재배종은 6월 22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나, 무가시형 유전자원들은 7월 2일~5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여 만생종의 특성을 보였다. 파종시기를 늦춰 5월 하순에 피종하는 경우 무가시형 자원들은 7월 27일~29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며, 개화기 전후의 개화 지속기간은 8~10일이 소요되어 3월 하순에 파종하여 7월 상순에 개화하는 경우보다 2~4일이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IT333473 자원의 개화기 초장은 5월 하순 파종하는 경우 관행의 3월 하순 파종보다 43.6%가 즐어든 71.1cm를 보였고, 분지수는 41.6% 감소한 8.0개/주 수준을 보였다. 식물체당 착화수 또한 파종시기를 늦춤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당 종자수는 IT323225 자원은 5월 중순과 하순 파종시에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IT333473 자원과 IT333482 자원은 재배종과 같이 감소하였다. 하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는 지리산권에서 무가시형 잇꽃 자원의 경관적 가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파종시기를 5월 하순으로 늦추는 경우 성수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 개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초장이 71.1~83.6cm 수준으로 단축되어 경관 조성에 유리한 특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