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f Make-up and Hair Styling Cultures of the King Jeongjo and the Edo Period

정조시대와 에도시대(江戶時代)의 화장문화(化粧文化)와 수발문화(鬚髮文化)의 비교 연구

  • Kim, Min-Kyung (Dept. of Chemical & Environmental Eng. Doctoral Program Soongsil Univ.)
  • 김민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환경화학공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In the Edo period speaking of hair culture, common women wore decorative pigtail ribbons on the right, and twisted from side to side their tressed hair in such a manner as ungeunmeori and traemeori. Instead of gachae, common women used gogae made of their own hair, ungeunmeori on forehead, or jjokjinmeori at the back of head. During the Edo period, people women naturally exposed their necklines as a way of exposing their faces in the aesthetically ceremonial act of wearing make-up. As for lipsticks, they rouged extracts from red petals of safflowers mainly on their lips, and sometimes on their cheeks by blending this with white powder. Samurai families disliked women who wore thick lip makeup. In the latter period, women painted their necklines or foreheads black, applied a small amount of rouge on their cheeks thinly or thickly, and colored a reddish color into their fingernails by using petals and leaves of balsam flowers. Despite the chronological and spatial proximity of the King Jeongjo period and the Edo perio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milarities between two countries' cosmetic cultures. Moreover, it was discovered that current TV dramas were being produced, even not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in the Jeongjo period.

Keywords

References

  1. 고경숙(2004). 조선과 에도시대 두발양식 및 화장 비교연구. 한남대 사회문화 과학대학원 석사논문. p.61.
  2. 공차숙. 김희숙(2005). 신윤복의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시대 미용문화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6(2) p.21-37.
  3. 김동욱(1979) 한국복식사 연구. 서울아세아문화사.
  4. 김민경(2008) 영.정조시대의 화장문화와 발형에 관한 연구. 한국피부미용향장학회지. 2(3) p.5-17.
  5. 김필동(1999). 차별과 연대-조선사회의 신분과 조직. 문학과 지성사.
  6. 김희숙(2000). 한국과 서양의 화장문화사. 청구문화사. p. 18-20
  7. 석주선(1980). 한국복식사. 보진제. p.77
  8. 신혜원(199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여인상 연구. 숙명여자대학 석사논문.
  9. 이씨 규합총서는 빙허각 (憑虛閣李氏, 1759-1824)의 저술
  10. 안인희.유송옥(2003). 소설 '춘향전'을 통해 본 조선 후기의 복식, 머리모양, 화장의 계층별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4(1) p.47-62.
  11. 유태영. 구소청. 교양국사연구회 엮음(1997).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조선 왕조사. 청아출판사
  12. 이경선, 김희숙(2003). 한국과 중국 여성의 화장문화에 나타난 연지 화장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4(2) p.17-44
  13. 이부영(2006). 조선시대 여자 수식(首飾)에 사용한 장신구에 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7(2) p.59-71
  14. 이연복, 이경복(2000). 한국인의 미용풍속도. 월간 에세이
  15. 최춘자(1995). 장신구의 세계, 도서출판 예경.
  16. 高僑博信 世繪美人ぐらべ. (東京:ポラ文化研究所, 1999), p. 18.
  17. 大原梨惠子(2000) 黑髪の 文花史 築地書館. p. 45-78
  18. www.naver.co.kr
  19. www.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