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 seed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3초

Phytoestrogen-Induced Phosphorylation of MAP Kinase in Osteoblasts is Mediated by Membrane Estrogen Receptor

  • Park, Youn-Hee;Park, Hwan-Ki;Lee, Hyo-Jin;Park, Sun-Mu;Choi, Sang-Won;Lee, Won-J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6권3호
    • /
    • pp.165-169
    • /
    • 2002
  • We hav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phytoestrogens isolated from safflower seeds significantly attenuated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and directly stimulated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ultured osteoblastic cells. In an attempt to elucidate underlying cellular mechanism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effects of $17{\beta}-estradiol\;(E_2)$ and phytoestrogens such as matairesinol and acacetin, a type of lignan and flavonoid, respectively, on activation of mitogen 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 (ERK1) and ERK2, in cultured osteoblastic ROS 17/2.8 cells. Western blot analysis with anti-MAP kinase antibody showed that a wide range concentrations $(10^{-14}\;to\;10^{-6}\;M)\;of\;E_2$ as well as both phytoestrogens induced rapid and transient activation of ERK1/2 through phosphorylation within minutes. Maximum activation of MAP kinases by $E_2$ and phytoestrogens were observed at 10 and 15 min, respectively. $E_2-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1/2 returned to the control level at 30 min, whereas phytoestrogen-induced phosphorylation was maintained at high level until 30 min. PD-98059, a highly selective inhibitor of MAP kinase, prevented phosphorylation of ERK1/2 in the cells treated either with $E_2$ or phytoestrogens. To examine a possible involvement of estrogen receptor in the activation process of MAP kinase,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estrogen receptor antagonists, ICI 182,780 and tamoxifen. These antagonists blocked MAP kinase phosphorylation induced not only by $E_2,$ but also by the phytoestrogens. To the best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 demonstrate that phytoestrogens such as flavonoid and lignan extracted from safflower seeds produce a rapid activation of MAP kinase, at least partially via membrane estrogen receptor of the cultured osteoblastic cells.

Lignan from Safflower Seeds Induces Apoptosis i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 Kim, Jae-Hi;Park, Youn-Hee;Park, Sang-Won;Yang, Eun-Kyoung;Lee, Won-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13-118
    • /
    • 2003
  • We recently extracted lignans such as matairesinol and 2-hydroxyarctigenin from safflower seeds and found that they exhibit a potent cytotoxic effect on human promyleocytic leukemia HL-60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mechanisms of the matairesinol-induced cell death are associated with the programmed cell death, apoptosis. Matairesinol dose-dependently reduced viability of HL-60 cells with an IC/sun 50/ value of 60 $\mu$M. Staining of cells with Hoechst 33342 revealed distinct morphological features of apoptosis, such as the nuclei broken into chromatin containing fragments of various sizes in the cells exposed to 100 $\mu$M matairesinol for 24 hr. Agarose gel electrophoresis of DNA from the cells treated with matairesinol showed internucleosomal DNA degradation into oligonucleosomal sizes. DNA ladder like patterns were easily detected after treatment with matairesinol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0 to 100 $\mu$M after 24 hr. In cells treated with 100 $\mu$M matairesinol for differing time periods, the DNA ladder was detectable from 6 hr onward. A time course histogram of the DNA content analyzed by flow cytometry revealed a rapid increase in subdiploid cells and a concomitant decrease in diploid cells exposed to 100 $\mu$M matairesin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tairesinol-induced HL-60 cell death was due to the DNA damage and apoptosis.

홍화 재배유형 및 수확시기가 종실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Harvesting Time on Yield and Quality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s)

  • 김재철;김기재;최성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87-190
    • /
    • 2005
  • 홍화의 노지및 하우스재배의 생육과 수량 및 수확시기별 종실의 품질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스비가림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해 출현기는 3일, 개화기는 8일이 빨랐으며, 생육도 양호하여 10g당 종실수량도 노지재배 보다 $25\%$ 증수되어 노지재배 보다 비가림재배가 유리하였다. 조지방함량은 비가림하우스재배가 노지재배보다 높았고 종자의 색택도 비가림하우스재배에서 변색없이 흰색이었으나 노지재배에서는 변색되어 품질이 나빴다. 노지재배의 조지방 함량은 수확기까지 높아졌으며 개화성기 20일 이후 수확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종실의 색깔은 개화성기 30일 이후 점차 변하여 개화성기 후 40일 수확은 흑갈색으로 종실품질이 크게 떨어져 종실의 수확시기는 개화성기 후 20일에서 30일 사이가 가장 좋았다.

잇꽃의 수집종간 생육특성 및 기름함량변이 (Oil Conten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Safflower varieties)

  • 박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3-129
    • /
    • 2003
  • 국내 홍화 수집종의 재배적 특성과 지방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수집종의 파종 후 발아기간은 12∼13일로 수집 종간 차이가 없었으며, 발아율은 87.5%이상으로 양호하였다. 지상부 생육특성에서 초장은 파종 후 84일 이후부터는 더 이상 자라지 않았고, 엽수는 파종 후 70일 이후부터 는 증가되지 않았다. 수집종간 엽수는 17∼23매로 수집종간 6매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개화기는 파종 후 79∼90일 경으로 수집종간 11일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수집종 중에서 장성종이 79일로 가장 빨리 개화되었다 결실특성은 주지를 포함한 가지수가 4.7∼8.8개로 두상화수 4.8∼8.9개 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두상화당 종실수는 29.3∼49.1개 이였다 100립중은 2.9∼3.9 g으로 나타났다. 기름함량은 조지방 함량이 21. 8∼33.9%이고 , 지방산은 리 놀 렌 산 이 66.6∼77.6%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올레산이 9.2∼16.5%였으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닌산 및 아라키돈산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11개 수집종 중에서 개화기가 가장 빠르고 종실수가 많으며 조지방 함량이 3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장성 수집종이 품종 육성에 이용할 가장 유망한 종으로 판단된다.

홍화의 작물학적 특성에 의한 품종군 분류 (Classification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Collections by Agronomic Characteristics)

  • 방경환;김영국;박희운;성낙술;조준형;박상일;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01-309
    • /
    • 2001
  • 홍화 수집종들의 작물학적 특성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밝히고, 품종군을 분류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일수는 $74{\sim}88$일 분포로 평균 83일이었고, 80일 이하의 조숙성을 가진 수집종은 21개 이었으며, 1차분지수와 2차분지수는 각각 $3.8{\sim}14.8$개와 $0{\sim}26.9$개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다분지형의 특성을 가진 품종은 IT201434, IT202723 등 이었으며, 생육특성 중 2차 분지수의 변이가 켰다. 수량구성 요소로서 두상화수는 $5.0{\sim}40.7$개, 두상화당 종실수는 $25{\sim}68$개, 100립중 및 주당 종실중은 각각 $2.9{\sim}5.4g,\;3{\sim}47.5g$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종실중 > 두상화수 > 두상화당 종실수 순으로 변이가 큰 경향이었다. 수집종들은 작물학적 특성에 따라 11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I군은 25%, II군은 33%, III군은 14%, IV군은 8%, VI군은 3%, IX군은 2%, X군은 1%, ?군은 1%가 속하였으며, III군은 모두 국내재래종 이었다. 분류된 군중 X군은 출아소요일수가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길었으나 수량 구성 요소인 두상화수, 주당 종실중 및 두상화당 종실수가 가장 우세한 군으로 분류되었다. 수량구성요소인 두상화수와 주당 종실중은 경직경, 제1차분지수, 제2차분지수, 엽수 및 엽장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파종기 추동 및 질소비료수준차이가 홍화의 생육,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ifting Planting - time and Different Nitrogen Level on the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박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6-102
    • /
    • 1981
  • 본 실험은 홍화에 대한 파종기 7수준(3월 17일부터 5월 16일까지 10일 간격)과 질소 비료 5개 수준(무배비, 0.5배비, 표준비, 1.5배비 및 2배비)으로 각각 파종하여 알맞는 파종 적기 및 시비량 수준에 따른 형질간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지대학 농학과 실습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고 발아세는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증가하였다. 발아 최감기는 위의 결과와 반대로 반종기가 늦어질수록 단축되였다. 발아 소요 기간도 파종기가 늦어갈 수록 단축되었다. 2.초장, 분지수, 치경에서도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 수록 초장 및 분지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꼬투리와 1,000입중도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감소되었고 1,000입중은 파종기가 이를 수록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꼬뚜리수와 수량에서토 현저한 증가를 보여 주었다. 4. 파종기 차이에 따른 등황색 및 등홍색 꽃의 중량은 4월 상순 파종구가 가장 무거웠다. 그러나 질소 시비량의 증가는 개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5. 본 실험의 결과로서 파종 적기는 4월 상순이라고 믿어졌고 홍화 재배에서는 다비의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PDF

종실유(seeds oil)의 위치별 지방산 및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조성 연구 (Study on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Fatty Acids, and Triacylglycerol Separation, of Seed Oils)

  • 문준희;황윤익;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26-7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6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조지방 함량(crude fat content) 측정 및 총 지방산 조성과 위치별 지방산 조성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triacylglycerol(TAG)의 조성과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Folch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조지방 함량은 들깨 21.64%, 홍화씨 13.85%, 고추씨 9.60%, 석류씨 8.85%, 녹두 2.25%, 결명자 2.00%로 나타났다. 추출된 종실유의 지방산 분석결과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가 81.57 wt%~46.17 wt%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linoleic acid의 함량이 88.30 wt%~15.99 wt%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riacylglycerol(TAG)의 조성은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artition number(PN)=36~48의 분포를 보였다. Total tocopherol의 함량은 석류씨에서 가장 높은 377.74 mg /100 g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 각각 녹두(141.16 mg/100 g), 결명자(107.23 mg/100 g), 고추씨(33.88 mg/100 g), 들깨(30.05 mg/100 g), 홍화씨(29.80 mg/100 g) 순으로 측정되었다.

PSL, TL, ESR 및 GC/MS 분석을 통한 감마선 조사된 유지종실류의 검지 특성 연구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Gamma-Irradiated Seeds by using PSL, TL, ESR and GC/MS)

  • 김규헌;손진혁;강윤정;박혜영;곽지영;이재황;박용춘;조태용;김재이;이화정;이상재;한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0-137
    • /
    • 2013
  • 본 연구는 비허용 품목인 유지종실류 5종(달맞이꽃씨, 홍화씨, 유채씨, 해바라기씨 및 아마씨)을 선정하여 광자극발광법(PSL), 열발광법(TL), 전자스핀공명법(ESR)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GC/MS)을 활용하여 검지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PSL 및 TL 측정 결과, 5종 모두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ESR 분석결과는 5종 모두 조사시료에서 조사유래의 특이 ESR signal이 관찰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GC/MS 분석 결과, 홍화씨, 유채씨, 해바라기씨 및 아마씨의 경우에는 조사 유래의 hydrocarbon류가 검출되어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 ($C_{17:1}$), 1,7-hexadecadiene ($C_{16:2}$)이 조사 여부를 확인하는 화학적 마커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다. 달맞이꽃씨 경우에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가 검출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달맞이꽃씨, 홍화씨 및 해바라기씨에서 감마리놀렌산의 주요 원료인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1,7,10-hexadecatriene ($C_{16:3}$)과 6,9-heptadecadiene ($C_{16:3}$)이 검출되어 조사여부를 확인하는 화학적 검지 마커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지종실류 5종에 대한 적용 가능성 및 다중분석 체계(PSL-TL-GC/MS)를 확립하였다.

잇꽃 재배지대에 따른 개화 소요일수 추정 및 파종시기별 생육 특성 (Estimation of Days to Flowering according to Various Altitudes and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afflower)

  • 최영민;문정섭;정동춘;유은애;송희경;이승윤;이진재;최소라;김홍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0
    • /
    • 2024
  • 본 연구는 잇꽃(Carthamus tinctorius) 4자원(재래종, IT323225, IT333473, IT333482)의 유효적산온도를 기반으로 개화 소요일수 추정과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잇꽃 4자원은 3월 29일, 5월 3일, 5월 13일, 5월 24일, 6월 2일에 각기 파종하였으며, 생육기간 동안 기상정보수집과 생육단계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별 잇꽃 4자원의 평균 개화 소요일수는 재래종(61.0일)이 가장 짧았고, IT333482 (73.2일), IT323225 (74.0일), IT333473 (74.2일) 순이었다. 평균온도를 근거로 산출한 잇꽃 4자원의 기준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재래종 6℃, 579℃, IT323225 11℃, 766℃, IT333473 11℃, 768℃, IT333482 10℃, 750℃이었다. 산출한 유효적산온도와 최근 5년간(2019-2023년)의 일평균기온을 이용하여 재배지대(평야지, 중산간지, 산간지)와 파종시기(4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15일 간격, 10수준)별로 적용한 결과, 잇꽃 4자원은 모두 7월 15일 파종까지 개화 소요일수가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대별 소요일수는 평야지 < 중산간지 < 산간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량 특성 중 초장, 분지 수, 주당 화기 수, 화기당 종자 수, 백립중, 주당 종자량은 4자원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A Plant Metabolomic Approach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Seeds and Flowers Extracts of Carthamus tinctorius L.

  • Ozan Kaplan;Nagehan Saltan;Arzu Kose;Yavuz Bulent Kose;Mustafa Celebier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4권2호
    • /
    • pp.42-47
    • /
    • 2023
  • Carthamus tinctorius L. (known as safflower) is a valuable oil plant whose importance is increasing rapidly in the world due to its high adaptation to arid regions. The seeds of this unique plant are especially used in edible oil, soap, paint, varnish and lacquer production. Its flowers are used in vegetable dye production and medicinal purposes beside its features as a coloring and flavoring in food. After the oil is removed, the remaining pulp and plant parts are used as animal feed, and dry straw residues are used as fuel. Beside all these features, its usage as a herbal medicinal plants for various diseases has gained importance on recent years. In this study, it was designed a plant metabolomic approach which transfers all the recent data processing strategies of untargeted metabolomics in clinical applications to the present study. Q-TOF LC/MS-based analysis of the extracts (70% ethanol, hexane, and chloroform) for both seed and flowers was performed using a C18 column (Agilent Zorbax 1.8 µM, 100 × 2.1 mm).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ed and fruit extracts and these differences were visuali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lots. The total number and intersections of the peaks in the extracts were visualized using peak count comparison graph.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number of the detected peaks for seeds was higher than the ones for the flowers for all solvent systems to extract the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