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information

검색결과 8,491건 처리시간 0.04초

3D 안전상태지도 제작을 위한 건물 화재안전 평가항목 도출 (Derivation of Building Fire Safety Assessment Factors for Generating 3D Safety Status Map)

  • 윤준희;김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0-47
    • /
    • 2020
  • 화재예방 및 신속대응을 위한 다양한 기술, 시스템 및 법제도가 도입되고 있지만 매년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줄지 않고 있다. 화재로 인한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 기반의 안전상태지도의 개발이 필요하며, 각 위치정보에 대한 속성정보의 적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전상태지도는 목적에 맞는 안전상태 평가의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지수화 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를 위치정보에 정합시켜서 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3D 안전상태지도 제작을 위한 건물 화재안전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우선, 국내외 안전평가 모델의 평가항목을 조사하여 한국 3D 안전상태지도로의 적용성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화재안전 평가모델의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평가항목은 정보수집 활동에 따라 '건물의 기본정보를 통하여 평가가 가능한 항목'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평가가 가능한 항목'으로 구별되어 도출된다. 항목 도출 결과, 다섯 개 카테고리(업종위험, 건물 안정성, 소방 설비 시설, 화재위험성, 화재대응상태)에 걸쳐 총 14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Raising Public Recogni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o Ensure Food Safety

  • Cho, Sun-Duk;Lee, Hwa Jung;Kim, Gun-He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7-212
    • /
    • 2013
  • Recent changes in the global climate environment have resulted in a wide variety of climate-related disasters, including floods, tidal waves, forest fires, droughts, etc. In addition, global warming raises the risk of food poisoning, which may increase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alter their struc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and persuasive information to consumers so that they can be fully informed of climate change and alter their behavior accordingly. Therefor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osters and contents for image produc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The posters are focused on consumers with headings such as "Climate Change Threatening Food Safety", "Earth getting warmer, your dining table is at risk", "Warning signs ahead for the globe", and more. Five poster drafts were selected initially,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st 1,087 people regarding their preferences, with the most preferred design chosen. The imag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defined climate change, how it relates to food safety, the risks it poses to the food industry, and lastly, how the public can respond in the future. Therefore, to further communicate the importance of food safety to consumers, the development, education, and promotion of these contents should be performed to provide safety information to consumer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App. for Efficient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Workplaces for Disabled Persons

  • Jong-Hyun SHIN;Won-Mo GAL
    • 웰빙융합연구
    • /
    • 제6권2호
    • /
    • pp.15-26
    • /
    • 2023
  •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groundbreaking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that occur steadily. In particular, since workers with disabilities are much more vulnerable to disaster safety than non-disabled workers, there is a great need to build a customized safety environment sys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n which workers with disabilities work and to promote management efficienc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workplaces for the disabled, such as small, medium-sized and major businesses in Korea, an app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improv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fficiency of workplaces for the disabled. First, it was designed so that managers of workplaces with disabilities can understand at a glance key legal information that managers need to know and it was improved to suit the eye level of disabled workers so that they could self-evaluate the risk of their work by applying the risk assessment model for workplace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a mobile education environment was created in which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ont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workers can be learned by themselves. Results: When this app is applied to domestic workplace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xact content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easily search and check various legal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allowing managers and disabled workers to quickly and efficiently manage various safety information. Conclusions: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mobil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can quickly identify and clearly respond to various legal standards and risks of workplaces with disabilities can be expected to help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at workplaces with disabilities in Korea.

정보융합 기술 기반의 지능형 항행안전정보 시스템 (Intelligent Navigation Safety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formation-Fusion Technology)

  • 김도연;조대운;이미라;박계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26-233
    • /
    • 2010
  • 다양한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상황의 인식을 돕는 정보융합기술 연구는 국방관련 상황인식에서 시작됐으며, 최근 다른 분야의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시도가 진행 되고 있다. 해양 분야에서는 항해중인 선박이 다양한 항행 장비들을 통한 여러 유형의 선내.외 안전 정보를 전달받고, 이러한 정보들로 항해관련 안전상황의 인식 및 예측을 하게 된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정보가 빠르게 전달됨으로써 사람이 모든 정보를 판단하는 일이 쉽지 않고, 종종 매체 간 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연구는 선박의 안전항행 상황을 진단하고 예측하기 위한 정보융합기술을 어떻게 적용 할 수 있는지 그 개념을 소개하고, 특정 상황 시나리오의 정보 융합 예를 통해 지능형 항행 안전 정보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을 보인다.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원내 보고 시스템 설계 (Design for a Medical Devices Safety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for the Hospitals)

  • 장혜정;최영득;김남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호
    • /
    • pp.140-147
    • /
    • 2015
  • 본 연구는 의료기기법이 시행된 이래 의료기기 부작용등 안전성 정보관리를 위한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원내 보고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현행 의료기기 부작용등 안전성정보 보고 관리에 대한 법적 규정 및 시스템에 대한 절차와 현황을 파악하고, MSF/CD(Microsoft Solution Framework/Component Design)설계방법론을 적용한 시스템 설계 방법을 적용하여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원내 보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보고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규정을 포함한 의료기기 관리 제도를 파악하고, 좀 더 환자의 안전과 의료기기의 위험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원내 보고 시스템을 설계 및 구축함으로써 의료기기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보고의 활성화에 이바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건설공사의 안전정보시스템 실태 및 효율적인 개선 방안 (The Efficient Improvement Method for Safety Information System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

  • 정경하;홍정석;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96-599
    • /
    • 2004
  • 최근 정보기술(IT)의 발전에 힘입어 안전관리 정보를 통합하여 그 활용의 정도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대형 종합 건설회사를 중심으로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건설업계는 안전관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축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몇몇 앞서가는 업체들은 시스템의 구축을 완료하여 현장에 적용시키는 단계에 있으나 이는 몇몇 대형 종합 건설업체에만 국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재해율은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근원적인 문제해결이 필요한 상태이다 즉 이런 관리 시스템이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보다 근원적인 근로자의 안전활동을 관리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관리 정보 시스템의 개발 및 도입을 위한 평가모델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대형 종합 건설회사들의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기능별 특징 및 제반 사항을 살펴보고 결과중심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대안점을 제시하였다.

  • PDF

주부들의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 및 정보요구도 조사 (A Survey on the Housewive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 김규동;이정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2-398
    • /
    • 2010
  • 본 연구는 주부들의 식품안전과 관련한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의 주부를 대상으로 2009년 3월 9일부터 4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에서 '유통기한을 확인'한다는 응답이 4.59로 가장 높았고, '국내산 구입'(4.08), '가격보다 안전을 고려'(3.66)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안전에 관한 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8.5%에 그쳤는데, 식품안전 위해요소에 관한 항목별 지식수준에 있어 '환경호르몬' 항목은 정답률이 89.1%로 가장 높았고 '광우병' 항목은 25.8%로 가장 낮았으며, 전체 지식수준은 총 13점 만점에 평균 8.56점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탐색도는 2.61로 낮게 나타났는데,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원천으로는 TV/라디오가 4.04로 가장 높았고 신문/잡지(3.80), 인터넷(3.44), 가족/친지/친구(3.39)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요구도는 3.82로 높게 나타나 평소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를 많이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 제조업자, 가공 및 유통업자 등은 식품안전 및 식품위해요소들에 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제공해야 하며 또한 각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소비자들의 정보탐색 활동을 유도하고 식품안전관련 지식수준을 향상시켜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안전을 고려한 올바른 식품구매행동을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Collecting the Information Needs of Skilled and Be-ginner Drivers Based on a User Mental Model for a Cus-tomized AR-HUD Interface

  • Zhang, Han;Lee, Seung Hee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53-68
    • /
    • 2021
  •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 in recent years has dramatically enriched drivers' driving experience while occupying their cognitive resources to varying degrees, causing driving distraction. Under this complex information system, managing the complexity and priority of information and further improvement in driving safety has become a key issue that needs to be urgently solved by the in-vehicle information system. The new interactive methods incorporating the augmented reality (AR) and head-up display (HUD) technologies into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 are currently receiving widespread attention. This superimposes various onboard information into an actual driving scene, thereby meeting the needs of complex tasks and improving driving safety.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f surveys and telephone interviews, this study collects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target user groups (i.e., beginners and skilled drivers) and constructs a three-mode information database to provide the basis for a customized AR-HUD interface design.

방재정보통신시스템 관리 운용 및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for Preven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11-618
    • /
    • 2008
  • 방재통신시스템은 방재행정무선시스템을 주체로 정비되고 최근에는 위성통신을 확대하고, 유선통신과의 상호보완 멀티미디어화 등을 들 수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방재정보통신 분야로는 풍수해, 시설안전, 교통안전, 산업안전, 에너지안전, 소방안전, 정보통신 안전, 특수안전 분야에는 방사능 누출사고, 환경오염, 해양오염, 산림재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이용한 방재정보통신시스템을 통신 기반시설로서 방재와 관련한 정보를 일원적으로 관리 운용하는 시스템 및 용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 PDF

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정보요구도에 관한 연구 - 잔류농약, 식중독, 식품첨가물을 중심으로 -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 -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

  • 김효정;김미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6-30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for food safety, especially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living in Taegu and Pusa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y SPS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the consumers' concerns about food safety were high, (2) many respondents worried about eating vegetables, fruits and grains in turn because of pesticide residues, and did not trust the results from food-safety tests, (3) the major factor for foodborne illness was regarded as unfreshed or contaminated food stuffs, (4) many consumers concerned highly about preservatives among food additives, and tried to consume food containing less food additives, and (5) many respondents wanted to get the information about harmfulness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 method to choose fresh food, and safety of food additiv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