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improvement

검색결과 4,695건 처리시간 0.033초

비교그룹방법을 이용한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from Traffic Safety Improvement on Roadways using C-G Method)

  • 이동민;김도훈;송기섭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40
    • /
    • 2011
  • 교통사고는 도로기하구조, 교통환경, 운전자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된다. 이러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다양한 교통안전 시설물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교통사고는 한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기 보다는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기 때문에, 교통안전시설의 효과는 단순한 개선효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교통안전 개선효과 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분석방법론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도로구간에서 개별 및 복합적으로 설치된 교통안전 시설물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로구간의 교통안전시설물 개선 효과분석을 위해서 다양한 시설물의 설치 이력 및 해당지점에서의 전 후 3년간의 사고이력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도로의 기능 및 주행조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차로수, 곡선반경, 종단경사를 기준으로 도로구간을 총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사고건수 비교방법, 한쌍비교방법 및 비교그룹 방법을 동일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비교그룹방법이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효과분석 방법론으로 결론짓고, 최종적으로 비교그룹 분석 결과에 따라 미끄럼방지시설, 부가차로설치, 중앙분리대설치 등의 개별 시설물과 복합적으로 설치된 시설물에 따른 교통안전 개선효과를 도출하였다.

아동 교통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교통안전 문제점과 개선방안 - 아파트 단지 내 교통사고 중심으로 - (Traffic Safet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Child Traffic Accident Case in Apartment Complex)

  • 김신혜;임동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23-634
    • /
    • 2020
  • 이 연구는 생활안전 교통사고 중 취약계층인 아동들에게 발생하는 아파트단지 내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사고발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아파트단지 내는 자동차, 오토바이, 전동킥보드 등의 주행이 많아지고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인식이 낮음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파트단지 내 도로는 도로교통법 상 '도로'에 해당되지 않는 도로 외 구역으로 처벌이나 법규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아파트 단지 내 교통사고 위험성 인식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동 아파트단지 내 교통사고 사례를 파악하고 사고발생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동 교통사고 사례를 통한 교통사고의 문제점 시사는 아동과 보호자 그리고 운전자들에게 위험을 인지시키고, 아파트 단지 내 교통안전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스마트도로 안전성 향상 효과의 정량화 연구 (Quantitative Analysis of Safety Improvement on Smart Roads)

  • 장현호;백승걸;오성호;김호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4-54
    • /
    • 2011
  • 첨단도로 안전시설물, 첨단교통관리기법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첨단 교통서비스는 교통사고 등의 돌발상황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도로의 지 정체 역시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안전성 향상에 따른 지 정체 감소효과를 편익항목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투자평가지침에서는 이를 편익으로 계상하지 않고 있다. 스마트도로에서 제공하는 첨단 교통서비스는 인프라의 초기 투자비용을 상승시키지만 새로운 서비스로 인한 편익이 계상되지 않아 비용/편익 분석 시에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 3년간의 고속도로 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 차로차단시간을 추정하고,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구축된 자료와 회귀분석기법을 통해 지체시간 추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형이 투자평가기법에 적용될 수 있도록 계량화에 필요한 원단위(평균용량감소비율 등)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을 스마트하이웨이사업 사례에 적용 결과, 스마트 안전시설로 인한 사고감소율을 10%로 가정하였을 경우, 30년 동안 총 안전성 향상 편익은 1,392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놀이 안전사고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of Drowning Accident in South Korea)

  • 김정곤;임호정;김태환;이대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3-164
    • /
    • 2019
  • 연구목적: 본 논문은 물놀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실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및 기술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물놀이 안전사고 관리현황 파악 및 민간안전요원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안전요원 및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물놀이 안전관리를 위한 정책적 및 기술적 개선 사항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검토결과 물놀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IoT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CCTV 및 감시 장치 등 보조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며, 현장 안전감시자의 제한적인 단속권한을 갖는 자격 부여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결론: 효과적인 물놀이 안전사고 관리를 위해서는 안전요원에 대한 체계적 교육, 단속권한 부여 그리고 감시장비 도입을 통하여 사람과 장비가 융합된 종합적인 물놀이 안전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국가산업단지의 지진재난 내진보강대책 수립 연구 (Study on Establishing Earthquake-resistance Reinforcement Measures for Earthquake Disaster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 송창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882-896
    • /
    • 2023
  • 연구목적: 국가산업단지 공장시설물이 보유한 내진설계의 잠재적 위험과 안전지도 및 점검의 미비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관리 및 내진보강대책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가산업단지의 지진재난 대비 안전관리 현황 및 관리체계 등 지진재난 안전관리 전반에 관한 조사·분석을 통해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고, 국가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체 내진설계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시설유형과 구조적 특성에 기반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결론적으로 국가산업단지 지진재난 대비 안전관리 및 내진보강에 대한 문제점을 정리하여 4가지 유형별(내진성능 평가 및 관련 제도 보완, 입주기업 및 지자체 권한, 내진보강 및 안전관리 지원대책, 조직의 역량강화)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를 기반으로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이 지진재난을 대비하여 추진해야 하는 내진보강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각 대책별 세부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etency Based Quality Improvement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박아영;김계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9-57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petency based safety and quality improving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sixty-eight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the two universities in G and M cities.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group (n=35) or a comparison group (n=33). A five-day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offered to the treatment group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receive any instruc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with the $x^2$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for patient safety knowledge, skill and perception of quality and safety competencies.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s that competency based quality improving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is a useful intervention strategy to promote student's knowledge, skill and perception of quality and safety competencies.

화학사고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정보공유체계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Efficient Response of Chemical Accident)

  • 이태형;윤정현;허화진;이율범;유병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4-61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support system among the accident response organizations to enable prompt and efficient response in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In other words, by applying mobile messenger function, it is proposed to improve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accident response promptly and accurately, and facilitat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ccident response organizations and field responders, thereby enabling efficient and organic respons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time before and after the chemical accid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e ratio of processing of substance information and chemical air diffusion information within 30 minutes was improved by 8% and 32%,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applying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o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accident more effectively.

산업안전보건교육 실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Promoting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ly Education Program)

  • 강종철;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3-147
    • /
    • 2005
  • Immediate responsibilities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management reside in business proprietors and supervisors whose voluntary participation in OHS educational programs, not legal sanctions, may thus lead to safe and pleasant work environ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OHS educational programs to draw voluntary participations in such programs in Korea To this end, drawbacks of current practices in OHS education are first analyzed, and then OHS related policies in advanced countries in the area of disaster prevention such as United States and Germany, are also scrutinized. Based o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s, the following propositions are made to lay out the foundation for promoting effective OHS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improvement of government regulations, revitalizing job training initiatives, on-site OHS education, compensation and incentive programs for OHS education. These propositions may also facilitate the deployment of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across the organization and prevent various occupational disorders (for example, musculoskeletal disorders). This study emphasizes that monolithic OHS education systems led by regulatory agencies may not be efficient to ensure healthy and safe work environments. Globally competitive OHS educational systems may be established only when they are based on the health and safety requirements specified by proprietors and workers.

수리계산 적용을 위한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개선방안 연구 (An Improvement Study on National Fire Safety Code of Sprinkler System for Hydraulic Calculation Application)

  • 이근오;강주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2
    • /
    • 2007
  • There are two kinds of design process for sprinkler system. one is pipe schedule system and the other is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We have inefficient results when we design by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because the design process for sprinkler system is restricted by domestic fire cod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o an introduction of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which is based on engineering for enhancing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sprinkler system. This study presents points at issue by comparing and studying design standards of sprinkler system from Korea, Japan and NFPA, and presents improvement plans of national fire safety code of sprinkler system by processing, comparing and analyzing designs according to piping schedule and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about domestic objects. Installation standards of sprinkler system have to be applied not by object buildings but by hazard classification. It is hard to design an efficient sprinkler system for fire control when water supply requirement of sprinkler systems allocated according to a size of a building because the same purpose but other buildings may request more water requirement or less. We should sublate the pipe schedule system from national fire safety code and need to introduce the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The pipe schedule system presents easy access because it is based on the forecasted engineering calculations but it is applied to only small buildings like NFPA due to its low reliability.

건널목 개량제도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Highway-Rail Grade Crossings Improvement System in Korea)

  • 이순철;방연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85-390
    • /
    • 2005
  • In Korea, about 60 percent of railroad accidents are associated with highway-rail grade crossings numbering 1,657 nationwide, which the railroad system operates.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the authority formulated methods to improve or eliminate grade crossings. However, the improvement programs have made progress in slow time due to the institute inertia and the lack of funds from the municipal government, which shares the cost of improvement of grade crossings. Thus, this study analyses the institute system of the grade crossings, proposes modifications, and suggests financing methods to improve the grade crossings and to lower the number of accidents. Presently, the grade crossings safety perspective is directed towards road conditions and so a new perspective, which includes safety from the train perspective and to finance in review of railway system and to allocate the cost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municipal governments. i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