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onsciousness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2초

지형 선형 연결 설계 (Terrain-Alignment Linked Design)

  • 김용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91-198
    • /
    • 2014
  • PURPOSES : Safety consciousness can be the first factor to hinder the acceptance of design alternative, which moderates the applied design criteria in order to adapt the road to the natural terrain condition. METHODS : The method which enables to check the safety of design alternative by using design consistency concept is suggested. The method is based on the linked or interactive analysis between terrain and road alignment. Real design example is considered as a guide how to apply the method and the analysis result is discussed with the future research. RESULTS :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for designers as a tool to review their design outputs can be safe as much as the original design. So, designers have the more objective judgement on their designs and have the confidence on their designs. CONCLUSIONS : The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to see the safety consciousness in an objective view, so any possible conflicts between designers and design-related personnels caused by the terrain-oriented design can be solved.

$\cdot$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교육 효율화 방안

  • 김동하;임현교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7-214
    • /
    • 1998
  • In the past several years, accident frequency rate was decreased but severity rate was increased at construction sites with less than two-hundred workers. Accidents caused by failure of education in respect with the management occupied about 40 % in 1997.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to know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was committed for small & medium construction sites. Survey results showed that workers wanted to improve work environments and safety facilities than safety education, however they also were not satisfied to educational facilities, contents and methods. Whereas, they agreed that they improved safety consciousness after safety education. As a result, four appropriate methods to promote effective safety education were proposed.

  • PDF

운전자 특성에 따른 안전 의식 수준과 재해예방 대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ccording to Driver's Characteristic)

  • 이만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1-136
    • /
    • 2013
  • Automobile was first introduced in 1903 in South Korea, the masses of the car was carried out rapidly compared to other countries. However, many people were killed in a traffic accidents and economic loss was occurred due to the spread of the automobile. In South Korea, 2012, traffic accident occurred 223,656 times, 5,392 fatality, 344,565 injured people. In the last five years, about 224,000 accidents per year were occurring. In other words, 610 traffic accidents occur and about 15 people pass away in one day.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raffic accidents is first place in the OECD countries and it is very high in the world. Understand occurrence tendency of traffic accident, accident frequency rate of the driver who drives more than 10 years was higher than the novice driv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e of the traffic accident, breach of safe driving obligation appears highest case (125,391 times), and followed by signal violation, break safety distance. Therefore, the majority of traffic accidents occurred by the lack of safety awareness of the driver. In this study, prevent the loss of human life and property in traffic disaster, by establish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that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survey and statistical data of the state of consciousness and driving posture in response to the driving history of the driver.

Effect of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Content for ICU Caregivers on Anxiety, Satisfaction and Safety Perception

  • Park, Jung-Ha;Lee, Yun-B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233-24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360-degree video 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guidance to family member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hen to identify anxiety, safe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as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October 1, 2020 to August 30, 202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eople who applied 360 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For data analysis, SPSS WIN 24.0 program was used, and real numbe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he subjects' anxiety befor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score of 6.21±2.30 and the anxiety after intervention was an average score of 3.95±2.4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4.13, p<.001).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subjects before th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of 4.08±0.39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after th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of 4.54±0.4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5.00, p=.001).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ance image of the subjects was 4.58±0.51 and the lowest was 4.16±0.96. In this study, when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was applied, there was a difference in anxiety and safe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as hig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various programs for guardian education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future.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에 대한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 조사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RSM) for the Educated Training of the Dental Diagnostics X-ray Generators)

  • 이미현;유윤식;이재승;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467-47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설치 및 가동 중인 전국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를 설문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이 분석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안전한 이용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방사선 안전 관리와 관계되는 원자력 관계 법령 및 국내 방사선 안전성 평가 및 규제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한 용역 보고서를 참고하여 포괄적인 문헌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 방사선 안전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기관 내 방사선안전관리자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운전 가능한 학사 및 실습 조교, 전임 교원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설문 응답 누락 및 불충분한 응답을 제외한 95부를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일반적 특성 및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방사선 안전 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은 빈도 분석과 설문 문항별 연관성 분석을 위한 ${\chi}^2$ 검정(chi-square test)과 수준간 연관성을 구하기 위한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운영은 대부분 대학 이상의 사회적 교육 수준이 높고 치위생학을 전공한 20대에서 40대의 여성이 담당하고 있었으며 남성과 비교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chi}^2$ >5, 0.1${\chi}^2$ >5, 0.3${\chi}^2$ >5, 0.3

생존수영교육 참여가 대학생의 수중불안과 수상안전 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on Underwater Anxiety and Water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 이명철;한경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201-1212
    • /
    • 2023
  • 본 연구는 생존수영교육 참여를 통한 대학생의 수중불안, 수상안전 의식의 변화와 변인 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 지역 내 소재 대학 중 생존수영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중 최종 유효표본 191명을 활용하였다. 쟈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tast,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수영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을 때 사후 수중불안은 감소하였으며, 수상안전 의식은 증가하였다. 둘째, 수영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그룹과 시간의 상호작용은 수상안전 의식의 하위요인인 안전교육에서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생존수영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대학교육에서의 생존수영교육 확대 방향성에 대해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화학전공 특성화 고등학생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warenes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 in Chemistry Major)

  • 홍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17-625
    • /
    • 2020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화학 관련학과 재학생의 재난안전교육 및 안전교육에 관한 의식을 알아보고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 4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5점 척도로 3.44로 타인의 안전의식 2.85 보다 좋다고 생각하였으며, 안전규정을 지키는 것은 타인에 대한 배려라고 생각하고 있다.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안전교육은 필요하지만,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흥미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화학전공학생들은 학교에서 진행되는 실습관련수업에서 안전에 관한 교육은 받고 있었으나, 실험시간에 보호설비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재난의식에 대해서는 정(+)의 상관성을 가지며, 안전의식과 소방안전 인식은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재난안전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이를 위해 안전에 대한 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매뉴얼의 개발을 제안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흙주거의 거주특성과 주거환경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Character and Consciousness of Housing Environment in Earth Housing)

  • 정주성;김정규;오양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47-5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idential characters and consciousness about housing environment concerned with earth housing, and to suggest basic data reflectible on the planning of earth housing. Residential characters and consciousness are investigated with the people lived in forty seven earth housings located in nationwide scale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a reason of health like sick house syndrome, residential environments such as ventilation and lighting, site environment such as neighbor and greenfield are very influential elements to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s. Meanwhile, approximation of residential area, the connection with public facilities including medical service, educational and commercial conditions, additionally, preparation of disaster and crime prevention in a viewpoint of safety are pointed out as relatively weak ones. It means that earth housing is not systematically fixed as a residential site because it is personally progressed by small number of peoples having different reasons. For the improvement of systematic housing environment, development and proposition of various model are needed on earth housing and its site.

중대재해처벌법 인지 정도와 건설 근로자 안전 의식 수준의 상관관계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s and Safety Consciousness of Construction Workers Under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

  • 서영준;김슬기;이동엽;정준휘;김대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47-5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건설 노동자의 중대재해인지 수준과 안전의식 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건설 노동자, 건설 관리자, 안전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 그룹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안전 관리자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건설 관리자와 건설 노동자가 이어지며, 세 그룹 모두 보통 수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체 그룹에서의 상관관계 분석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참가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높은 상관계수가 관찰되었다. 또한, 상관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p-value와 유의수준(α)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유의수준인 0.05보다 작은 p-value를 얻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인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지 정도와 안전의식 수준 정도는 관계가 있다"를 채택하다. 따라서, 중대재해처벌법의 인지 정도와 건설 안전의식 수준은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주관적인 지표를 기반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존하였으므로, 질문 항목의 난이도에 변동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