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onsciousness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9초

중소기업 품질비용 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박노국;이우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2년 춘계학술대회
    • /
    • pp.269-275
    • /
    • 2012
  • This study contain below two contents. First, this study analyse an effect of consciousness of the quality cost for quality cost activity. Second, this study analyse an effect of quality cost activity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The empirical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 that quality cost consciousness effects productivity improvement by quality cost activity. Therefore, this paper emphasize consciousness of quality cost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 PDF

금속제조업 재해 현황과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etal Manufacturing Disaster Situation and Safety Consciousness)

  • 전관옥;이신복;이동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429-438
    • /
    • 2018
  • 최근 제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고로 인하여 중대 재해 및 중대 산업사고로 이어지고 지역사회 재난으로까지 확대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안전행정부는 제3차(2015-2019)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에 따라 산업현장 재해 및 재난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업재난관리 차원의 개선대책을 발표하고 적극 홍보하고 있다. KOSHA 2015~2017년도의 산업재해 발생 현황을 보면 금속 관련 제조업의 재해율이 1.57%로 전 업종 평균 0.50% 대비 약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재해 원인을 조사해 본 결과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기인하여 발생된 비율이 72%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불완전한 행동은 안전의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이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안전의식이 사고 예방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사고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책임전가의식 분석 (Analysis on Consciousness of Shifting Responsibility triggering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 오규선;김현빈;한상원;현창택;차용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5-64
    • /
    • 2018
  • 건설산업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안전사고의 숫자는 줄지 않고 있다. 이에 최근 많은 연구에서 관리자나 작업자의 개인적인 특성과 행동에서 기인하는 원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리자나 작업자는 안전사고의 발생이 서로에게 책임이 있다고 전가하는 인식이 있어 지속적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관리자와 작업자의 책임전가의식을 분석하고, 책임전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관리자와 작업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책임전가의식 수준을 정량적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관리자는 작업자에게, 작업자는 관리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고자 하는 영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책임전가의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Job stress, Accident experience, Safe knowledge, Optimistic bias)과의 상관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리자와 작업자의 안전의식 향상과 건설안전 분야의 연구적, 실무적인 측면에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독거노인의 안전의식과 주거환경 조사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solitary senior citizen)

  • 서예슬;정명진;김승연;박희진;윤은빈;정륜남;허주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149-15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안전의식과 주거환경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독거노인의 사고 발생 빈도 및 유형을 통해 안전의식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도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생활관리사 22분의 도움을 받아 성남시 수정구에 거주하는 노인 총 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필요한 20개의 논문을 정독한 후, 자체 제작한 주거환경 체크리스트 도구, 안전의식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독거노인들의 주거환경에 따른 사고 경험을 분석한 결과, 사고유형과 사고장소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독거노인의 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에 의해 외출 시간과 안전의식이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내었고, 그 결과 상대적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긴 노인이 안전의식 수준이 높았다.

윤리적 소비의식 및 라이프 스타일이 지속가능패션 제품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Lifestyle on Sustainable Fashion)

  • 정미실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21-43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lifestyle on sustainable fashion. The data was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ee factors of sustainable fashion were identified: eco-friendliness, recycling, and safety. Second, three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were identified: social ethics, environmental ethics, and public ethics. Based on these factors,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lusters (high, middle, and low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group). Third, four factors of life style were identified: pursuit of brand, appearance, cautiousness, and information. Based on these four factors,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lusters (brand/appearance, cautiousness/information, and unconcerned group). Fourth, three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eco-friendliness factor of sustainable fashion. Also, the recycling factor of sustainable fashion was influenced by social ethics, environmental ethics, pursuit of brand, and pursuit of information. The safety factor of sustainable fashion wa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ethics, public ethics, and pursuit of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actical and various environmental education need to be provided to consumers, because high environmental ethical consciousness consumers evaluated sustainable fashion positively. Additionally, accurate information on eco-friendliness, recycling, and safety of clothing products would need to be provided by fashion businesses through various routes, because those with information-pursuing lifestyle were found to have deep interests in sustainable fashion.

고등학생의 안전의식,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First Aid Knowledge)

  • 정은영;임경숙;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17-426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안전의식과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 안전의식과 응급처치 지식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G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293명으로 2018년 3월 19일부터 3월 28일까지 자료수집 후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급처치 지식 정답률은 40.15%였으며, 안전의식과 응급처치지식의 하위영역의 관련성에서 응급상황 시 행동요령(r=-.131, p=.025), 호흡계와 순환계(r=.213, p<.001), 드레싱과 붕대(r=.156, p=.008)와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응급처치지식 수준 향상과 다양한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가 요구된다.

객실승무원의 항공기 안전의도와 안전행동의 영향요인 분석: TPB와 SCT 통합모델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actors Related to Cabin Crews' Safety Behavior: Integration of TPB & SCT)

  • 김지윤;박상범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1호
    • /
    • pp.57-6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explanation about safety behavior by applying integrated mode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Social Cognitive Theory (SCT). By showing the interrelationship of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safety behavior in a single model, comprehensive understanding regarding safety behavior will be possibl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try to integrate the two theory, TPB and SCT, to introduce background factors, such as safety culture, affecting cognitive factors of subjective norm, safety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afety consciousness, which are again affecting behavior intention of the TPB. We composed 73 questionnaire to analyse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affecting safety behavior.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stewards and stewardesses of KAL, ASIANA, and LCCs. 422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ntrol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version 2.0. Results: The safety culture, safety atmosphere, and safety education/training were turned out to affect subjective norm, safety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afety consciousness. And the cognitive factors also showed to affect safety intention significantly. The results that safety intention affects safety behavior was found. Also there are control effect of cost consciousness and punishment while safety intention affects safety behavior. Conclusions: Safety is the virtue that should be given first priority to in our daily life. To secure safety, everyone in an organization should have high level of safety intention and conduct safety behavior. The study results provid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n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affecting cabin crews' safety behavior. The results will help design safety related regulations, education/training, and support employees to engage in safety behavior related activities.

건설현장 근로자 및 관리기사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효율화 방안 (Effective Safety Education Schemes at Construction Sites for Enhancing Safety Consciousness of Workers and Engineers)

  • 김동하;고병인;임현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3-169
    • /
    • 1999
  • Safety education should not only prevent workers from industrial accidents but also contribut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 plants or construction sites. In practice this do not happen because workers do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ology to improve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sites by surveying conditions of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of workers and engineer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education except regular educations were nominally carried out. Lectures and audio-visual education were mainly used as educational methods. After trainees attended the education session they completed a written survey, the most dissatisfied factor about safety education was education circumstances, of which rate was around 36%. The proportion of construction engineers who thought that safety management was contributable to cost reduction was 35%, to construction period 20%, and to quality enhancement 48%.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pointed out the need to review training manual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mprov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sites, and finally to discussed these issues.

  • PDF

품질비용에 관한 의식이 생산성향상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Consciousness of the Quality Cost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 박노국;홍승표;황정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9-184
    • /
    • 2011
  • This study contain below two contents. First, this study analyse an effect of consciousness of the quality cost for quality cost activity. Second, this study analyse an effect of quality cost activity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The empirical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 that quality cost consciousness effects productivity improvement by quality cost activity. Therefore, this paper emphasize consciousness of quality cost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공영우편업 물류센터 종사자의 안전보건의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 Post Workers' Safety and Health Consciousness)

  • 이현구;오태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87-492
    • /
    • 2023
  • 우정사업본부는 국민들에게 우편, 예금, 보험 등 양질의 우정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비록, 산업의 발전으로 우편기계가 자동화 되고 있지만 우편 소통 과정에서 종사자는 교통사고, 끼임사고, 근골격계질환 등 각종 산업재해에 노출되어 있어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산업안전보건 활동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정사업본부 소속 공영우편업 물류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보건 의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안전보건 의식 향상을 위해 규정 및 절차, 조직 구성, 안전보건교육 방법 개선 등 중점 추진하여야 할 과제를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제언하였고, 효율적인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제도 수립에 기초할 자료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