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onsciousness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7초

고령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영업용과 비영업용 운전자 비교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Safety Consciousness of Elderly Drivers : Comparison of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Drivers)

  • 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23-232
    • /
    • 2015
  • 본 연구는 고령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 세종, 충남 북 지역에서 영업용과 비영업용 차량을 운전하는 노인 307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용 차량 운전자와 비영업용 차량 운전자의 안전의식 수준은 각각 6.49(SD=1.66)와 6.93(SD=1.42)로 나타나 비영업용 차량의 운전자가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847, p<.001). 둘째, 조사대상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각 집단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용 차량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지향동기, 경제상태, 일일 운전시간, 감각추구성향, 결혼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영업용 차량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지향동기, 건강상태, 사고 경험 유무, 감각추구성향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영업용과 비영업용 차량을 운전하는 노인들에 대해 집단별로 안전의식을 향상하고,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몇 가지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한국에서 노인 교통복지의 정책방향을 재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소방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대전·충남지역 국·공립어린이집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the Fire Safety Conscious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 on Public Children's House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 조래풍;김선웅;이창섭;이원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43-153
    • /
    • 2019
  •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소방안전의식을 제고하여 어린이집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지역이라는 한정된 연구 범위를 적용하고,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 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징, 직무만족도, 효능감 그리고 소방안전의식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로 처리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과 효능감은 소방안전의식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효능감은 직무만족도와 소방안전의식으로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높을 때 교사의 소방안전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사의 소방안전의식을 제고시키는데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현장 작업자의 내면적 안전의식 수준 (Level of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 이왕기;박성용;손기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8-53
    • /
    • 2017
  • Many construction accidents can be lead to a death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These are considerably due to potentially-hazardous equipment and machine or unexpected collapsion at earth work due to land slide and so on. Almost 50% of the total death and injury, occurred in construction sites in 2015. 66% of those serious accidents are due to falling occurring from construction sites when they work. Therefore, causes and recommendations of each accident should be deeply thought and analysed The indirect causes are directly related to safe consciousness of the construction workers. Actually, their safety consciousness are not high, even very low, it is thought. Questionnaire survey sheets have been distributed to Seoul, Incheon, and Gyunggi-Do area, first. And then, the authors have collected those directly at sites, in order to increase collection rate of the sheets. The totally, collected sheets are 295 sheets. And, they a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9 package program. Workers internal consciousness has been investigated and reviewed and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y rate, crossed, and correlated analysis. And finally the conclusions for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Heavy weight worth a crew of more than two workers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for the advanced safety plan and needed for making a highly potential hazard group at construction sites. Safety consciousness, earing p.p.e, workman ship should be mainly considered for investing safety costs with an aspect of human factor.

건설현장 작업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조직신뢰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Organizational Trust And Turn-over Intention)

  • 윤이중;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65-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 작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회사의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작업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준수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작업종사자 3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작업자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요인인 관리감독자 역량, 사내 건설안전관리, 건설안전교육, 건설재해 평가 모두 작업자의 안전의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자의 안전의식이 안전준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작업자의 안전의식은 안전준수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설안전관리시스템이 안전준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건설안전관리시스템 요인인 관리감독자 역량, 사내 건설안전관리, 건설안전교육, 건설재해 평가 요인 모두 안전준수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의식과 안전준수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작업현장의 안전을 담당하는 관리감독자 역량이 가장 중요한 안전관리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소방안전의식 지표개발 및 국민 소방안전의식 조사 연구 (Fire Safety Consciousness Indicators Development and National Fire Safety Consciousness Research)

  • 정무헌;박인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89-94
    • /
    • 2015
  • 본 연구는 국민 소방안전의식 수준에 적합한 눈높이 소방안전정책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소방안전의식 지표를 개발하고 국민 소방안전의식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소방안전의식에 대해 정의를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예방, 경보, 대피, 소화, 피해확대방지의 5가지 분야로 세분화하여 소방안전의식 측정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개발은 파라슈라만(Parasuraman)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국내 외 선행연구 자료와 전문가 회의를 거쳐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표를 활용하여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국민 소방안전의식을 조사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 대피의식이 가장 낮았고 다음이 소화, 경보, 예방, 피해확대 방지 순으로 나타났다.

건축공사에서 외국인근로자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Safety Consciousness of Foreign Labors on Construction)

  • 장호면;김경훈;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5-80
    • /
    • 2009
  • The Korean society, which faces a new issue of foreign labores, is actively conducing safety consciousness of foreign labors. Foreign labors of domestic industry reached about 360,000 recently. it has become the essential resources to fill up insufficient labor in construction industry. Although most foreign labors participate in safety education well and understand its object, some foreign labors have negative recognition of it. Some foreign labors well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safety facilities but think those unnecessa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pointed out the need to review training manual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mprov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and finally to discussed these issues.

농촌 지역 재가여성 독거노인과 공동거주시설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안전의식 비교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afety Consciousnes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 석민육;강영실;하영미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afety consciousness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and then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afety awareness programs for elderl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0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ged 65 or older and 120 elderly women living in group hom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during November 2020, and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WIN 25.0 program to verif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t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between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t=15.77, p<.001).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afety consciousness between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t=21.42, p<.001). Conclusion: Since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elderly in group home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local government' acts, continuous support and attention is needed that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can maintain a healthy life.

생활 및 실험실 안전관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조사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Living and Laboratory)

  • 홍영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89-96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및 실험실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보건계열, 공학계열, 식품조리계열, 그리고 소방계열 대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는 SPSS win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의 신뢰도는 Cronbach'${\alpha}$ = 0.756~0.835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Pearson's ${\chi}^2=296.456$, p < 0.001으로 일반생활안전에 대한 인식과 실험실안전에 관한 인식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전공의 유형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여 식품조리계열 > 소방계열 >보건계열 >공학계열의 순으로 안전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농산물 이용과 안전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Agricultural Safety Consciousness of Consumers)

  • 고정숙;이채식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4호
    • /
    • pp.117-131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u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analyze consciousness of agricultural safety of consum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00 consumers by two-staged stratified random sampling. SPSSWIN/ver. 13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data with frequency, cross-tab, t-test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sumers with higher academic career, more income, and white collars showed higher experience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2) Consumers who are under thirties, university graduation and upper income revealed high intention to us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3) The study revealed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nsumers 4) Consumers with higher academic and upper income showed higher agricultural safety concern, 5) The study discovered that consumers who are over sixties and under middle school graduation were higher on agricultural safety effects.

  • PDF

소방홍보 만족도와 효과측정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FireFighting publicity Satisfaction and an Estimate of the Effects)

  • 정무헌;박인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101-105
    • /
    • 2017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소방홍보를 위하여 소방홍보 만족도와 홍보효과를 측정하고 소방안전의식 수준이 소방홍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소방홍보 만족도는 소방홍보효과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소방홍보를 접한 국민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58.5점으로 보통수준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홍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소방안전의식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중 소화능력의 향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홍보매체별 소방안전의식의 향상은 인터넷/스마트폰이 가장 높았으나 효과적인 소방홍보매체로는 언론매체를 선호하였다. 소방안전의식 수준이 소방홍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으며 소방홍보 만족도는 홍보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