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 testi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3초

온라인콘텐츠 개발프로세스의 효율성 측정방법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 f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Online Content)

  • 윤봉식;유소월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1호
    • /
    • pp.9-16
    • /
    • 2022
  • 온라인 사업화 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사업화하는 기업에게는 시간과 재원을 통제하는 것이 매우 주요한 과업이 되었다. 단일 기업이 전 프로세스를 통제하는 경우에도 개발공정 간의 효율성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소통주체가 많아지는 협력과정을 통한 개발의 경우에는 협업 공정 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 기업들에게 개발품의 완성과 검수 못지않게 출시 시점이 중요해졌고, 개발 기간의 정체에 따른 투입 재원의 증가와 보안 유지 문제 등 개발 효율성이 저해될 수 있는 여건들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툴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기업들이 적용 중인 전사적 공정이 어떠한 효익을 부가적 성과로 내고 있는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해 측정 도구가 적정치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 측정방법의 제안과 기업들의 프로세스 개선 결과에 대한 효율성 측정실험을 통해 콘텐츠개발 프로세스의 실증적 효율성 측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세대 열차제어시스템 안전전송장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Safety Transmission Unit for Next-Generation Train Control System)

  • 정태운;추호철;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63-570
    • /
    • 2023
  • 안전전송장치는 열차와 철도 시설 간에 통신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보장해야 하는 철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통신기반 차세대 열차제어시스템의 안전전송장치를 설계하고 시험하였다. 유럽규격과 국내규격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국제적 수준의 안전전송장치의 HW 설계와 SW를 설계하여 제작하였다. 안전전송장치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설계된 기능이 구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포화 사면안정에 미치는 세립분의 영향분석 (Effect of Fines on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Soil Slopes)

  • 이규현;정상섬;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01-109
    • /
    • 2007
  • 국내 풍화토사면의 경우 순수 균질 사면보다는 대부분 점토 및 세립분이 섞인 비균질 상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함유비율은 풍화도 및 지역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세립분함량 변화에 따른 불포화사면에의 분석을 위해, 화강풍화토(SW)에 일정비율의 세립분(CH)을 섞어 성형한 시료를 통해 GCTS pressure plates을 이용한 함수특성곡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및 침투해석결과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포화깊이의 증가율은 세립분이 증가할수록 또한 상대밀도가 증가할수록 작아졌다. 또한 침투해석과 포화 및 불포화강도정수를 이용한 사면 안정성 해석결과(SLOPE/W), 전반적으로 세립분함량 $10\sim15%$의 범위까지는 침투깊이 증가에 따른 흡수력 변화가 안전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를 초과하는 경우(>15%)에는 오히려 세립분함량 증가에 따른 강도정수의 변화가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개방형 SW를 이용한 IoT 네트워크 성능시험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oT Network Performance Test Framework using OSS)

  • 정영준;정이도;이성화;김진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97-102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다양화, 대규화 되어가는 IoT시스템을 위한 시험기 개선에 관한 것으로 IoT성능시험기의 패킷 처리 성능개선, 트래픽 프로토콜 생성과 동작에 유연성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고도화되어 가는 대용량 IoT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 전송의 안정성을 사전에 검증하고 성능을 측정하는 개방형 소프트웨어인 DPDK기반 고속 IoT 네트워크 성능시험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다. DPDK 기반 트래픽 발생기를 이용하여 고속 IoT 성능시험기의 기본 구성을 설계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해당 시스템 적용시 트래픽 모델링하고 패킷생성능력의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관개수질을 고려한 시비가 벼의 생산성과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considering Irrigation Water Quality on Rice (Oryza sativa L.)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 엄미정;박현철;김갑철;류정;최정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4
    • /
    • 2004
  • 관개수 수질을 고려한 감비가 벼의 생산성과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에 사용된 관개수의 질소 인, 칼륨의 평균함량은 각각 6.16, 0.26, 9.37 mg/L 이었고, 유입된 영양염류가 논을 통과하면서 농도가 감소되어 유출수의 성분은 유입된 관개수보다는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논 표면수와 침출수의 농도는 시비량과 시비시기에 따라 변화하였다. 토양검정 50% 시비구에서는 질소의 공급량과 소비량간의 차이가 0.14 kg/ha으로 나타나 양분수지면에서 균형을 이룬 반면, 농가관행시비구에서는 그 차이가 95.3 kg/ha로 나타났다. 농가관행시비구에 비해 토양검정시비구와 토양검정 50% 시비구는 등숙률, 천립중, 도정특성 등이 우수하여 완전미수량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비량이 적을수록 단백질 함량 또한 적어, 기계적인 식미치가 높게 나타나 품질에서 우수하였다. 시비효율에서는 토양검정 50% 처리에서 시비된 성분이 수량에 기여하는 비율이 높아서 시비이용과 효율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관개수에 포함된 영양물질을 작물의 생육에 이용함으로서, 농업용수의 수자원 이용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비료 절감효과와 생산량 증대의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배전기기 외함 부착방지 및 자기세정 코팅기술 개발 및 현장실증 (Development and the Long-Term Test of Anti-Adhesion Surface Coating Technology o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 심명진;손송호;서지훈;한상철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6권3호
    • /
    • pp.285-288
    • /
    • 2020
  • 전력수요가 많은 도심지역의 전력설비 설치가 늘어남에 따라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변압기와 같은 지상기기들이 보도에 설치되어 있다. 도심지역의 경우 매우 가혹한 환경(불법광고물 부착, 자동차 매연, 부식, UV 열화, 오염 등)으로 인해서 0.5-5년 내에 거리의 흉물로 변하고 있다. 불법광고물 무단 부착, 부식, 자동차 매연 및 오염, UV 열화로부터 환경친화형 배전기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광고물 부착방지, 방식, 내구성 향상, 미관 개선 기능의 현장 적용이 가능한 생체모방코팅소재 제조기술과 도포 기술 개발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도막 경도가 단단한 실리콘레진 기반 도료를 개발하여 부착방지 및 낙서방지 기능 뿐만 아니라 도막 경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박리 현상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도료를 개발했다. 개발된 코팅제는 한국전력공사 대덕유성지사와 공동으로 노은 및 지족동 일대 배전기기 외함 9개소를 대상으로 현장 장기 실증시험을 통한 장기 내구성평가를 진행했다. 전력기기 생체모방 코팅기술은 다양한 손상 환경에 따라서 그 조건에 맞는 최적의 코팅 물질 및 공정 개발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코팅기술 업그레이드로 원천기술 및 지적재산권을 획득하고 전국의 설치된 기기로부터 장기실증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전력기기 운영/정비/보수 시장에 진출하여 경쟁력 있는 사업화의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