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VI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초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폐동맥카테터로 측정한 전부하 지표들은 수액부하 반응을 예상할 수 있는가? (Assessment of Parameters Measured with Volumetric Pulmonary Artery Catheter as Predictors of Fluid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 이지연;이종화;심재광;유경종;홍승범;곽영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41-48
    • /
    • 2008
  • 배경: 전부하의 정확한 평가와 수액요법을 통한 적절한 유지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심박출량을 최적화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액부하에 따른 일회 박출량지수의 변화와 전부하 지표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전부하 지표들이 수액부하 반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수액요법의 지침으로 유용한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취유도 10분 후(T1)에 혈역학 변수들을 기록하고, 6% hydroethylstarch 130/0.4를 체중 kg당 10 mL를 20분에 걸쳐 정주하였으며, 이후 10분 후(T2)에 혈역학 변수를 다시 기록하였다. 결과: 수액부하에 따른 일회박출량지수 변화량(%)과 수액부하 전(T1)의 우심실박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272, p=0.017), 중심정맥압, 폐모세혈관쐐기압, 이완기말우심실용적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들 중 어떠한 지표도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곡선아래 영역이 0.7을 넘지 않았다. 수액부하에 따라 일회박출량지수가 10% 이상 증가한 반응군으로, 증가하지 않은 군을 비반응군으로 정의하였을 때, 반응군은 31명, 비반응군은 65명이었으며, 우심실박출계수를 제외한 수액부하 전 지표들은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폐동맥카테터로 얻을 수 있는 전부하 지표들을 이용하여 수액부하에 따르는 일회박출량지수의 반응을 예측할 수는 없었다.

제올라이트 주입이 활성슬러지 플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zeolite addition on floc in activated sludge process)

  • 이형술;박세진;윤태일
    • 청정기술
    • /
    • 제7권1호
    • /
    • pp.35-4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zeolite를 활성슬러지 공정에 주입할 경우 zeolite가 biofloc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두 반응기를 동일 조건으로 운전하였으며 하나는 표준 활성슬러지 공정 (CU)으로, 다른 하나는 zeolite를 폭기조내 4,000 mg/l로 유지 (ZU)하며 비교하였다. 슬러지 플럭 입경을 측정한 결과, 두 반응기 모두 SRT (Solid Retention Time)가 증가함에 따라 플럭 크기도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ZU가 모든 조건에서 CU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나타내었다. 한편, 두 반응기에 대해 슬러지 침전성을 비교한 결과, ZU는 SRT변화에 관계없이 3.4~11m/h의 침전속도를 나타내며 SVI(Sludge Volume Index)도 50~108 ml/g으로 양호한 침전상태를 보였다. 그러나 CU는 SRT 증가에 따라 슬러지 침전성이 큰 영향을 받았고 SRT 40일에서 Sphaerotilus가 우점종을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 슬러지가 전혀 침전하지 않았다.

  • PDF

고농도 대두가공폐수의 처리를 위한 개선 활성슬러지법 (Soybean Wastewater Treatment by Activated Sludge Process)

  • 조권익;이정수;이태규;김종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25-29
    • /
    • 2002
  • 활성슬러지에 의한 생물학적 폐수처리에 있어 주된 관리인자는 유기물의 효율적인 제거와 슬러지의 침강성을 일정치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식품폐수의 하나인 고농도의 대두가공폐수를 일반적인 활성슬러지법을 적용한 결과 최적 F/M비(food-to-microorganism ratio)는 0.24(kg-BOD/kg-MLVSS day)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인 0.48(kg-BOD/kg-MLVSS day)에서는 슬러지 팽화현상이 발생하여 고농도의 식품폐수처리에는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응집보조제(NaOH)를 활용하여 유입폐수의 pH를 9.0으로 조절한 결과, 2.88(kg-BOD/kg-MLVSS day)의 고농도 폐수를 유입하여도 슬러지의 팽화현상없이 SVI(sludge volume index)를 150 이하로 유지하였다. 이것은 최대 허용부하를 일반적인 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7.2배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산화철계 가중응집제가 활성슬러지의 침전성 및 탈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ron oxide ballasted flocculant on the activated sludge settleability and dewaterability)

  • 양혜지;김용범;최영균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7-284
    • /
    • 2021
  • The ballasted flocculation effects of the mill scale and magnetite on activated sludge were investigated. Both ballasted flocculants (BF) could remarkably improve the sludge settleability in terms of zone settling velocity (ZSV) and sludge volume index (SVI). With the BF dosage of 0.2 to 2.0 g-BF/g-SS, the magnetite particles showed better efficiency on improving settling behavior of activated sludge than the mill scale due to higher surface area and hydrophobic property. The efficiency of SVI30 with magnetite injection was 2.5 to 11.3% higher than mill scale injection and that of the ZSV appreciated from 23.7% to 44.4% for magnetite injection. Averaged floc size of the BF sludge with magnetite dosage (0.5 g-BF/g-SS)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ludge. Dewaterability of the sludge was also greatly improved by addition of the BF. The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SRF) was reduced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the dosage of BF. However, the BF's particle size effect on the SRF looks to be marginal. Consequently, for improving the dewaterability, the BF played a physical role to remove the pore water of the biological flocs by intrusive attachment and a chemical role to induce aggregation of the flocs by charge neutralization.

Strain YG-02가 생산하는 생물응집제의 성분 분석 (The Component Analysis of the Bioflocculant Produced by Strain YG-02)

  • 정연곤;고준일;정선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1-208
    • /
    • 2019
  • In this study, we analyzed composition of the bioflocculant, which strain YG-02 produces. First, supernatant and suspension from centrifugation of culture fluid of the strain, were used in the flocculation experiment. As a result, the SVI(sludge volume index) added with the suspension, was 182 mL/g, same as the control group with no additive, and the SVI added with supernatant, was 164 mL/g. So, the result above showed that flocculation capacity of the bioflocculant, was dependent on the substance which strain YG-02 produces, not on factors such as the body of germs. As a result of the thermostability test on substances that cause flocculation, the flocculation effect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flocculation test, before applying heat to the culture fluid, and it was able to assume that the substance that causes flocculation, was damaged by heat. Additionally, to understand the component of the bioflocculant, analyzation of sugar composition and fatty acid, was conducted. As a result, sugar composition was the polysaccharide consisting of glucose: lactose with molar ratio of 90.75:9.25. Fatty acid content was detected, as 0.0012 g/100g, showing that it contained glycolipid in the bioflocculant. Such results show that the bioflocculant which strain YG-02 produces, is the new bioflocculant, different from bioflocculantstudiedto date.

마황성분 체중감량 한약제제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3차원 맥영상 검사 연구 (Hemodynamic Effects of Herbal Prescription Containing Ephedra on Weight Loss: A 3-Dimensional Radial Pulse Tonometry Device Study)

  • 강희정;구태훈;김경철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8-41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hemodynamic feasibility using pulse parameters as a way to establish safe dose guidelines for herbal prescription containing Ephedra herb (Ephedra intermedia Schrenk & C.A.Mey) on weight loss,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linical use. Methods: Forty-two volunteer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a study examining the changes in pulse wave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ingestion of Gambi-hwan, a herbal prescription containing ephedra, over a period of 4 weeks, and pulse wave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Pulse wave parameters were measured in this study using a 3-dimensional radial pulse tonometry device (DMP-Lifeplus). In addition, questionnaire, blood pressure, temperature, and body composition were also measured as secondary measures. Results: Fifteen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Gambi-hwan, the non-adverse event group (non-AE)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everal power and pressure-related parameters, including h1, h5, systolic area, pulse area, and pulse width, while the AE group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stroke volume and increasing Radial Augmentation Index (RAI), w, and w/t. After 4 weeks of administration, both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changes in pulse rate, w/t, RAI, t3/t, stroke volume (SV), and stroke volume Index (SVI). Notab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E group and non-AE group in w/t, SV, and SVI.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lse parameters may be a useful way to establish safe dosing guidelines for weight loss herbal prescription containing ephedr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 and to develop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linical use.

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개발환경 및 연동 에이전트 설계 (Designing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s and Integration Agents for Intelligent Software Development)

  • 서민기;정다나;조연제;신주철;김성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35-642
    • /
    • 2023
  • 드론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단순한 원격 조종 도구를 넘어서 자율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지능형 드론으로 진화하고 있다. 해외 군사 분쟁에서의 드론 활용 사례와, 국내에서 전망한 미래 작전환경 분석에 따라 드론의 중요성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AMAD는 지능형 드론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 제안되었다. AMAD를 기반으로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디버깅, 성능 평가,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지원하는 통합개발환경(IDE)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개발환경의 개념들을 정립하여, 이를 IDE 및 IDE와 연동하는 AMAD의 에이전트인 SVI, MPD의 설계에 반영한 결과를 설명한다.

16 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과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과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between 46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Echocardiography)

  • 박찬범;조민섭;문미형;조은주;이배영;김치경;진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45-51
    • /
    • 2007
  • 배경: 좌심실 기능의 평가는 대개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되고 있으나, 최근 개발된 16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MDCT)은 관상동맥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좌심실 기능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MDCT를 이용한 측정결과를 심초음파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MDCT의 좌심실 기능 평가에 대한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월 31일까지 본원에서 MDCT를 시행한 49명의 환자중 동일시기에 심초음파를 시행한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DVI),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SVI), 심박출량지수(SVI), 좌심실 부피지수(LVMI) 및 심박출계수(EF)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80.86{\pm}34.69mL$ for MDCT vs $60.23{\pm}29.06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37.96{\pm}24.32mL$ for MDCT vs $25.68{\pm}16.57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심박출량지수($42.90{\pm}15.86mL$ for MDCT vs $34.54{\pm}17.94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좌심실 부피지수($72.14{\pm}25.35mL$ for MDCT vs $130.35{\pm}53.10mL$ for Echocardiography, p<0.01) 및 평균심박출계수($55.63{\pm}12.91mL$ for MDCT vs $59.95{\pm}12.75mL$ for Echocardiography, p<0.05)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심박출량지수는 MDCT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좌심실 부피지수, 평균심박출계수는 심초음파군이 높게 나타났다. 각 변수에서 양군의 상관관계를 보면,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74,\;p<0.0001)$,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69,\; p<0.0001)$, 심박출량지수$(r^2=0.55,\;p<0.0001)$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좌심실 부피지수$(r^2=0.84,\;p<0.0001)$는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심박출계수$(r^2=0.45,\;p<0.0002)$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16채널 MDCT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 및 기능의 평가는 심초음파의 결과와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각 항목의 평균값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임상적 적용을 위하여는 양 검사의 절대적 결과치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MDCT의 기술적 개발을 고려할 때 관상동맥 환자에 있어 관상동맥의 협착의 검사와 함께 좌심실 기능의 측정도 함께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tch Column에서의 슬러지계면층 높이변화 예측 (Prediction of Sludge-Water Interface Height Change in Batch Column)

  • 박석균;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6-163
    • /
    • 2006
  • While sludge is settling in batch column, sludge concentration becomes high. Because the characteristic of sludge settling changes in function of time due to the sludge concentration change, the sludge settling velocity changes too. Also, because the sludge settling characteristic is influenced by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sludge and a column height etc, it is difficult to exactly measure the sludge settling characteristic. Although the sludge volume indexes, SVI, SSVI and $SSVI_{3.5}$, are used to predict sludge settling characteristic, these indexes are not reliable values. Because the previously established models for sludge settling velocity predict the sludge settling velocity only, it is difficult to predict sluge-water interface height by using those model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establish the empirical model which predicts the sludge interface height change with respect to the sludge physical characteristic and the settling condition.

활성슬러지공정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폐수처리 (A Study on Agricultural the Treatment of Organic Phosphorous Agricultural Pesticides Wastewater by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 최택열;최규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6-41
    • /
    • 1995
  • In order to treat effectively various type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manufacture factory of organic phosphorous agricultural pesticides by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The acclimation test of sludge was carried out by the dilution of completely mixed raw wastewater.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obstained as follows. 1. The moderate dilution rate of mixed raw wastewater was founded to about 30 times. 2. The available range of BOD-SS loading was 0.1~0.15 $kg\cdot BOD/kg\cdot SS\cdot day$ and it was similar to the case of extended ae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3. After the acclimation of activated sludge, the concentration of MLSS was 2000 mg/L, removal efficiency of BOD more than 90%, and SVI 100, respectively. 4. The oxygen respiratory rate of acclimated sludge was $47 mg\cdot O_2/g\cdot hr$ and this was increased about 5 times than $10 mg\cdot O_2/g\cdot hr$ of ordinary slud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