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Z diabetic rats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2초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Daraesoon (Actinidia arguta shoot)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 Lee, Ah-Yeon;Kang, Min-Jung;Choe, Eunok;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262-267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is the attainment of glycemic control. Hyperglycemia increases oxidative stress which contributes to the progression of diabetic complic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Daraesoon (Actinidia arguta shoot)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MATERIALS/METHODS: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received an oral administration of a starch solution (1 g/kg) either with or without a 70% ethanol extract of Daraesoon (400 mg/kg) or acarbose (40 mg/kg) after an overnight fast and their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Five-week-old C57BL/6J mice were fed either a basal or high-fat/high-sucrose (HFHS) diet with or without Daraesoon extract (0.4%) or acarbose (0.04%) for 12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hronic consumption of Daraesoon on fasting hyperglycemia and antioxidant status.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ats that received Daraesoon extract (400 mg/kg) or acarbose (40 mg/kg)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area under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curve after the oral ingestion of starch. Additionally, the long-term consumption of Daraesoon extract or acarbose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s as well as small intestinal maltase activity in HFHS-fed mice. Furthermore, the consumption of Daraesoon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increased glutathione levels in the livers of HFHS-fed mice compared to HFHS-fed mice that did not ingest Daraesoon. CONCLUSIONS: Daraesoon effectively suppressed postprandial hyperglycemia via the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in STZ-induced diabetic rats. Chronic consumption of Daraesoon alleviated fasting hyperglycemia and oxidative stress in mice fed a HFHS diet.

생맥산의 식이가 Streptozocin으로 유도된 당뇨 Rat의 혈당과 혈청 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engmaec-san on the Level of Blood Glucose and Serum Components in Streptoz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형진;양혜진;김미환;류기형;정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79-1186
    • /
    • 2009
  • 이가 식이효율(FER), glucose, creatinine, cholesterol, triglycetide, HDL-cholesterol, 동맥경화지수(AI)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효율은 정상군이 5.94%로 가장 높았고, 당뇨대조군은 0.58%로 정상군에 비해 현격한 감소를 보였다. DA군과 DB군은 각각 3.65%, 3.38%로 다른 투여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식이효율을 보였다. 혈당변화를 측정한 결과 투여 전에 비해 DA군은 41%, DB군은 24.8%, DC군은 31.2%, DDL군은 18.6%, DDH군은 25.5%의 혈당 감소효과를 보였다. 생맥산 투여 전 creatinine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 유발군에서 상승을 보였으며, DB군은 투여 후 33.3%의 유의적인 감소(p<0.05)를 보였고, 그 외의 군(DA, DC, DDL, DDH)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혈청 내 cholesterol 수치의 유의적인 상승을 보인 당뇨 유발군과 비교하여 생맥산을 14일간 투여한 모든 군에서 cholesterol 수치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당뇨 유발군에서 유의적인 상승을 보인 혈청 triglyceride는 DC군에서 수치가 감소하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HDL-Chlolesterol은 DA, DB, DC군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DDL군과 DDH군에서의 HDL-chlolesterol은 투여 전과 후 각각 41.81$\pm$2.28 mg/dL, 40.75$\pm$0.48 mg/dL에서 50.59$\pm$2.77, 49.93$\pm$1.17 mg/dL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Atherogenic index(AI)를 측정한 결과 투여 전에는 당뇨유발군의 AI 수치가 정상군과 비교 시 모든 그룹에서 상승하였으나, 투여 14일 후 측정결과 DA, DB, DC군에서 정상군에 가깝게 수치가 낮아진 것을 확인했다. 또한 DDL군과 DDH군은 유의적인 AI지수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압출성형 백삼을 이용한 생맥산의 식이가 동맥경화의 예방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STZ로 유도된 당뇨 rat에서 생맥산의 식이는 FER의 개선에 상당한 효과를 보이며, 고혈당을 억제시키고 정상수준의 혈당으로 회복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발효시킨 백삼을 이용한 생맥산 투여군에서는 신장 기능의 지표인 creatinine의 함량을 낮추고 지질수준의 감소를 보여 당뇨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동맥경화증과 같은 혈액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떫은감과 포제 떫은감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를 통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of Young persimmon and Heated young persimmon by decrease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s))

  • 김수현;이아름;김수지;김경조;권오준;최준영;구진숙;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7-24
    • /
    • 2017
  • Objectives :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is bind formation of glucose and protein. Acceleration of AGE formation during hyperglycemia is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causes kidney and skin dam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AGEs inhibi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young persimmon (YP) and heated young persimmon (HYP). Methods : Paeoniae Radix Alba (YP) is prepared by heating with 30% ethanol. AGEs form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YP and HYP measured using bovine serum albumin.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YP and HYP in diabetic rats induced with streptozotocin (STZ) and methyl glyoxal (MGO), SD rats were distributed into four groups; normal mice (Nor), AGEs-induced rats (Con), AGEs-induced rats treated with 100 mg/kg YP (YP), AGEs-induced rats treated with 100 mg/kg heated YP (HYP) for 3weeks. Heated young persimmon respectively decrease AGEs construction. Results : YP and HYP administration inhibited the biomarkers of AGEs in serum, kidney and skin tissues. AGE-induced rat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decreased collagen however, heat processing methods of young persimmon up regulated inhibits AGEs-induced collagen decrease. The expressions of AGEs were decreased in YP and HYP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issues. It specifies that HYP has potential to serve as a positive regulator of via AGEs path way. Conclusion : It has proposed that may have an improvement effect on diabetic complications, heated young persimmon has AGEs inhibitory excelle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effect.

다시마 추출물의 급여가 당뇨쥐의 중성스테로이드와 담즙산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a Tangle Extracts on the Excretion of Neutral Steroids and Bile Acid in Diabetic Rats)

  • 장민아;이경순;서정숙;최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19-825
    • /
    • 2002
  • 본 연구는 메탄올과 물에서 각각 추출한 다시마 추출물을 급여한 흰쥐에게 당뇨를 유도하고 다시마 추출물의 섭취가 당뇨병의 혈관계 합병증의 유발과 관련되는 체내 지질대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흰쥐에게 다시마의 메탄올추출물(2%, w/w)과 물추출물(4%, w/w)을 식이에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고, streptozotocin(STZ, 45 mg/kg BW)으로 당뇨를 유도한 후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변의 수분 함량과 중량, 변의 스테로이드 및 담즙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당뇨 유발로 인해 흰쥐의 체중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식 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탄올추출물 급여군보다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에 따른 식이효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식이 섭취량은 물추출물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이었다. 혈당 변화는 당뇨를 유도하고 다시마추출물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추출물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추출물을 급여한 군에서 중성 지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추출물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인지질 함량은 다시마추출물 급여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약간 높았으나 메탄올추출물과 물추출물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장에서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대조군과 메탄올추출물 급여군에 비해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분변의 건조중량은 다시마의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분변 중의 수분 함량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대조군이나 메탄올추출물 급여군보다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변으로 배설되는 콜레스테롤 함량은 메탄올과 물에서 각각 추출한 다시마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가장 많이 배설되었다. 하루에 변으로 배설되는 coprostanol함량은 다시마의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변으로 배설되는 담즙산의 함량은 메탄올과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다시마추출물 섭취는 콜레스테롤과 같은 중성스테로이드의 배설을 촉진시킴으로써 당뇨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합병증인 동맥 경화증의 예방적 효과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Characteristics of Crude Polysaccharide Separated from the Herbal Medium of Trichloloma Matsutake Mycelium and its Anti-diabetic Effect

  • Kim, Hae-Ja;Lee, Ki-Nam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84-691
    • /
    • 2008
  • As part of studies to develop new materials to lower blood glucose levels using crude polysaccharid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ude polysaccharide obtained from the extracts of a mixed herbal medium(OCM) where Trichloloma matsutake mycelium and Cordyceps militaris mycelium were cultured together and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administering these by concentration up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evels of rats with diabetes which was induced by STZ(Streptozotosin).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6 groups: first, it was divided into normal control group(NC group) and diabetes-induced group, and diabetes-induced group was subdivided into diabetic control group(DC group), acarbose-treated group(PC group), 100 mg/kg/body weight-treated by crude polysaccharide of OCM(UE) group(UE100 group), 200 mg/kg/body weight-treated group(UE200 group), and 300 mg/kg/body weight-treated group(UE300 group). In diabetic-induced groups, after streptozotocin was melted in 0.01M citrate buffer at 50 mg/kg/body weight, when the non-fasting blood glucose level not on an empty stomach was 300 mg/dl or more in blood collected from the tail vein, it was regarded as diabetic induction and then such diabetic-induced experimental animal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yield of crude polysaccharide obtained from OCM was found to be 0.31% and the ${\beta}$-glucan content 39.40%. As a result of analyzing NO on immune function, which is known as major physiological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high NO viability was shown; when 1 mg/ml LPS was treated at 1 ug/ml, it was found to be 50.77 uM, and when LPS was treated at 10 ug/m, it was found to be 53.78 uM. Also, regarding cancer cells, cell count was decreased by about 26% in proportion to sample concentration, while for normal cells, it was a little decreased in proportion to concentration, however, cell count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81.92{\sim}98.16%$ at all concentrations. In case of blood glucose level, it was decreased in all extract-treated groups compared to DC group and in the cases of ALT and AST, they were found to be lower in extract-treated groups compared to PC group and for serum lipid, it was found to be lower in UE100 group compared to PC group. Thus this study tried to utilize these results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s against diabetes as well as functional foods using the crude polysaccharide of mushrooms.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 쥐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매생이 추출물의 신장 보호 효과 (In vivo Study of the Renal Protective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against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Stress)

  • 남미현;구윤창;홍충의;양성용;김세욱;정혜림;이화;김지연;한아람;손원락;표민철;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41-647
    • /
    • 2014
  • 당뇨 모델 쥐에서 매생이 추출물과 그 지표물질인 pheophorbide A의 신장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5주령의 SD 랫드를 일주일간 순화시킨 뒤 40 mg/kg BW의 농도로 streptozotocin을 복강 투여하였으며, 한달 동안의 유도기간을 거쳐 모든 당뇨 유발군에서 혈당이 400-500 mg/dL가 된 것을 확인한 이후 9주 동안의 샘플 투여를 진행하였다. 신장 손상과 관련한 혈액 생화학적 지표인 BUN, creatinine에서는 당뇨 유발군 사이에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진 않았다. 신장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측정 하였을 때 당뇨 유발군인 STZ군($0.19{\pm}0.04$)은 정상 대조군인 Con군($0.05{\pm}0.00$)에 비하여 3.5배 많은 MDA를 생성하였지만 매생이 추출물 4, 20 mg/kg BW투여한 CL, CH군은 MDA의 생성량이 $0.05{\pm}0.02$, $0.08{\pm}0.02$, 지표물질인 pheophorbide A를 0.2 mg/kg BW을 투여한 PhA군은 0.12{\pm}0.01 nmol/mg protein로 샘플 투여군에서 과산화물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p<0.05) CFE와 PhA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 바이오 마커인 GSH와 GSSH 함량 및 GPx, GR, GST 활성을 측정한 결과 CFE와 PhA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신장 조직의 GSH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막아 당뇨로 인한 신장 손상에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또한 STZ에 유도된 당뇨 쥐의 신장 조직엔 많은 양의 과산화물이 축적되어 있으며 이를 소거하기 위해 GPx의 활성이 높아졌는데, AC군과 PhA군에서 GPx 의 증가 정도를 유의적으로 완화시켰다(p<0.05). GR 활성은 CL, CH, PhA군에서 Con군 수준까지 올라오는 것으로 보아 신장의 산화적 손상을 정상수준까지 회복 시키는 것으로 보였으며, GST 결과로 미루어 보아 CFE와 PhA는 신장 조직에서 일차적으로 과산화물을 포집하고 GSH를 이용하여 체내의 독성 물질을 분해시켜 STZ로 유도된 당뇨로부터 신장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직 내에서 SOD와 CAT의 활성 측정 결과, CFE와 PhA는 지질과산화물의 증가로 산화적 손상이 가속화 될 때,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 손상을 완화 시켜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장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 CL, CH 및 PhA군에선 STZ군에 비해 비이상적인 글리코겐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저해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하여 매생이 추출물과 PhA가 당뇨병성 신장 손상에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뽕잎 함유 대두발효물이 신생 당뇨유도쥐에 미치는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황교열;김영훈;조용석;박영식;이재연;강경돈;김근;주동관;안덕균;성수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2-458
    • /
    • 2008
  • 당뇨 환자를 위한 기존의 뽕잎 건강식품의 기능을 보완할 목적으로 뽕잎분말과 DNJ 생산균주인 Bacillus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 혼합물을 신생 당뇨유도쥐에 4주간 경구투여 하여 먹이섭취량, 체중변화, 혈당량, 내당능, 혈중 지질함량, 장기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당뇨유도 시험군은 정상시험군(NC군)과 비교하여 사료섭취량은 많았으나 증체량이 적어 낮은 사료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뽕잎(M군) 및 뽕잎함유대두발효물(MM군)의 투여에 의해 사료효율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MM-60군에서 가장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1주일 간격으로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혈당량 측정 결과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공복혈당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MM-60군과 MM-120군은 당뇨대조군(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주간의 시료투여 후 경구당부하시험에 의한 내당능 조사 결과 뽕잎투여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혈당량을 꾸준히 감소시켰으며 특히 포도당 투여 후 120분에서의 MM-60군과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량을 보여 뽕잎 단독보다는 대두발효배양물 첨가에 의해 내당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역시 DC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 투여에 의해 지질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량 정도는 총콜레스테롤에서는 MM-60군과 MM-120군에서 그리고 중성지질의 경우에는 M군, MM-60군, MM-120군에서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뇨 유발에 의해 쥐의 간, 신장, 비장, 심장 등 체내 주요장기의 무게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뽕잎 또는 뽕잎함유대두 발효물 투여에 의해 이들 장기의 무게는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특히 MM-60군,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뽕잎분말과 DNJ 생산 균주인 B.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물의 혼합물은 신생 당뇨유도쥐의 제반 당뇨증세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은 앞으로 당뇨환자들에 대한 건강식품 소재로 그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하겠다.

Quercetin attenuates fasting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 Kim, Ji-Hye;Kang, Min-Jung;Choi, Ha-Neul;Jeong, Soo-Mi;Lee, Young-Min;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2호
    • /
    • pp.107-111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effects of quercetin (QE)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DM). A starch solution (1 g/kg) with and without QE (100 mg/kg) or acarbose (4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to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after an overnight fast. Postprandial plasma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nd incremental areas under the response curve were calculated. To study the effects of chronic feeding of QE, five-week-old db/db mice were fed an AIN-93G diet, a diet containing QE at 0.08%, or a diet containing acarbose at 0.03%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Plasma glucose and insulin, blood glycated hemoglobin, and maltase activity of the small intestine were measured. Oral administration of QE (100 mg/kg) or acarbose (40 mg/kg) to STZ-treated rats significantly decreased incremental plasma glucose levels 30-180 min after a single oral dose of starch and the area under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QE (0.08% of diet) or acarbose (0.03% of diet) offered to db/db mice significantly reduced both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compared to controls without significant influence on plasma insulin. Small intestine mal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consumption of QE or acarbose. Thus, QE could be effective in controlling fasting and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in animal models of DM.

Comparative antidiabetic activity of different fractions of Enicostemma littorale Blume in streptozotocin induced NIDDM rats

  • Vishwakarma, Santosh L.;Rajani, M.;Goyal, Ramesh 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4호
    • /
    • pp.196-204
    • /
    • 2003
  • Aqueous extract of Enicostemma littorale is reported to have antidiabetic activity.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different fractions i.e., tolue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fractions and remaining residual fraction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neonatal type 2 diabetic rats. Fasting glucose and insulin levels in NIDDM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control rat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Results of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showed that aqueous extract and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ignificantly (P<0.05) decrease both $AUC_{glucose}$ and $AUC_{insulin}$ values in NIDDM treated groups. Insulin sensitivity $(K_{ITT})$ index of NIDDM control was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normal control and this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fter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lowered the elevate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bserved in NIDDM rats.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n-butanol frac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reatinine, urea, SGPT and SGOT levels as compared to NIDDM control rats. However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s only in creatinine and SGOT levels, and not in the levels of urea, and SGPT as compared to NIDDM control rats. Treatment with toluene, chloroform and residual fractions of E. littorale did not produce any effect on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cholesterol, creatinine, urea, SGPT or SGOT levels as compared to NIDDM control rats. Our data suggest that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contain the active compounds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the above activity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in NIDDM diabetes mellitus.

뽕잎과 누에가루 혼합환의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의 혈당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Pills Made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장미진;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11-1617
    • /
    • 2004
  • 본 연구에서 는 뽕잎과 누에가루의 함량 비를 달리 하여 제조한 환의 혈당강하 효과를 in vitro및 동물실험을 통해 검정 하고자 하였다. 실험 동물은 체중 100 g내외 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이용하였으며, 제조환은 식이 내에 0.4%(4 ghg)씩 공급하였다. 실험군은 제조환의 종류에 따라 제조환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 대조군(DM group), 뽕잎 100%로 제조한 군(M group), 뽕잎에 누에가루를 각각 25%(25SM group), 50%(50SM group), 75%(75SM group) 및 100%(100S group)씩 혼합하여 제조한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와 식수는 자유섭식시켰으며,3주 간 사육한 후 STZ로 당뇨를 유발시켰으며, 9일 만에 희생시켰다 제조된 혼합 환의 DNJ의 함량은 누에가루의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GABA및 rutin의 함량은 뽕잎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함유량이 증가되었다. in uitro에서 소장 점막의 $\alpha$-glucosidase의 활성 저해 효과도 뽕잎 에 누에가루를 50% 이상 혼합시켰을 때 혼합하지 않은 환과 2SSM 환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혈당강하 효과는 DM군과 M군에 비해 누에가루를 혼합한 군에서 더 높았으며 특히 50%, 75% 및 100% 혼합한 군들에서는 유의적 인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소장 점막 maltase 활성은 proximal 부분에서 DM군에 비하여 제조환 공급군 모두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제조환 공급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Middle부분에서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Distal 부분에서는 DM군에 비하여 제조환 공급군에서 감소되었으며, 특히 50SM군,75SM군 및 100S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Sucrase와 lactase의 경우에는 prorimal부분에서 DM군에 비하여 제조환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middle 및 distal부분에서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뽕잎과 누에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한 환은 in vitro실험 에서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효과를 증가시켰으며, STZ 유발 당뇨 쥐의 소장 proximal 부분의 이 당류 분해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급속한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뽕잎과 누에가루를 50 : 50의 동량으로 혼합시켰을 때 가장 좋은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