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1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6초

매실(Prunus mume) 착즙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 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 이현애;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9-34
    • /
    • 2003
  •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현상을 일으키는 세균 5종(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매실 착즙액의 항균성을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으로 생육 저해환의 생성 유무로 관찰한 결과 매실 착즙액은 시험 균주 모두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가장 뚜렷한 생육 저해환을 형성한 매실 착즙액의 농도는 Sal. enteritidis(15.0mm)는 1%, Lis. monocytogenes(14.7mm)는 3%, Bac. cereus(14.75mm), Esc. coli(13.45mm)와 Sta. aureus(11.9mm)는 5%이었다.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유발균의 생육 억제 효과는 매실 착즙액 3%와 4%첨가에 의해 Sal. enteritidis는 각각 24시간과 6시간에서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매실 착즙액에 의한 가장 강력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Bac. cereus 경우에는 3%와 4% 첨가에 의해 모두 12시간, 그리고 2% 첨가구에서는 24시간에 완전히 생육을 정지시는 뚜렷한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와 4%를 함유한 배지 상에서 Sta. aureus의 성장은 배양 후 24시간에 모두 저해되었고, Lis. monocytogenes의 경우는 각각 48시간과 24시간에, Esc. coli의 경우는 모두 36시간에 균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매실 착즙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는 Sal. enteritidis, Bac. cereus, Sta. aureus, Lis. monocytogenes, Esc. coli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매실 과육에 함유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9,23,24)}$) 매실의 유기산 함량은 다른 과실보다 다소 높게 함유되어 있고 가장 많이 들어있는 유기산은 citric acid로 이는 레몬이나 감귤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 들어있었다$^{23}$. 본 실험에서 사용된 매실 착즙액 3%와 4% 첨가구에서의 pH는 각각 3.47과 3.34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매실 착즙액이 각종 실험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가지는 것은 낮은 pH와 더불어 citric acid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매실 착즙액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공 합성 보존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보존료로서 식품에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되었다.

Rapid Discoloration of Aged Beef Muscles after Short-Term/Extreme Temperature Abuse during Retail Display

  • Kim, Hyun-Wook;Setyabrata, Derico;Choi, Yun-Sang;Kim, Yuan H. Brad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43-35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hort-term/extreme temperature abuse (STA) on color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aged beef muscles during simulated retail display. Two beef muscles (longissimus lumborum, LL and semitendinosus, ST) were aged for 7 (A7), 14 (A14), 21 (A21), and 28 d (A28), and further displayed at 2℃ for 7 d. The STA was induced by placing steak samples at 20℃ for 1 h on the 4th d of display. Instrumental and visual color evaluations, ferric ion reducing capacity (FRC)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ssay were performed. Initially, redness, yellowness and hue angle of all beef muscles were similar, regardless of aging time before display (p>0.05). An increase in postmortem aging time increased lipid oxidation and caused a rapid discoloration after STA during display (p<0.05). ST muscle was more sharply discolored and oxidized after STA, when compared to LL muscle (p<0.05). The FRC value of beef muscles was decreased after 7 d of display (p<0.05).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indicate adverse impacts of postmortem aging on color and oxidative stabilities of beef muscles, particularly under temperature abusing conditions during retail display. Thus, developing a specific post-harvest strategy to control quality attributes in retail levels for different muscle types and aging conditions would be required.

풋콩품종의 생육, 수량 및 외관품질 특성과 파종기의 영향 (Growth, Yield, and Quality of Vegetable Soybean and Their Responses to Different Planting Dates)

  • 김홍식;고문환;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8-235
    • /
    • 1995
  • 본 시험은 일본에서 도입된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과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류 및 두부용콩 품종인 장엽콩을 1992년 4월15일, 5월 15일 및 6월 15일에 파종하여 풋콩용품종과 우리나라 장류 및 두부용콩품종과의 생육, 수량 및 외관품질특성과 그 특성에 대한 파종기의 영향을 규명하여 콩 육종 및 재배의 기초자과를 얻고자 수행한 바 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특성은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이 장류 및 두부용콩인 장엽콩에 비하여 이생종으로서 내도복성이며 저협조밀도가 높게 보이고 유효저협절수비율이 높았다. 2. 10a당 풋콩수량은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이 장류 및 두부용콩인 장엽콩에 비하여 다소 낮으나 2∼3립협의 종품수량이 높았고 대립이었으며, 500a당 생조수, 생조장 및 폭으로 본 외관상 품질도 좋았다. 3.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은 4월15일 파종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풋콩수량이가장 높았으며, 500a당 생조수는 적었고, 생조장 및 폭 이 길어져 외관상 품질이 향상되어 이기파종에서 수량과 품질이 유리하였다.

  • PDF

다목적실용위성 2호 입자오염해석

  • 한동인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1호
    • /
    • pp.80-88
    • /
    • 2003
  • 본 연구는 임무완성기간까지 다목적실용위성 2호기의 각 표면에 축적되는 입자오염량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위성체의 조립 및 시험 기간 및 환경조건을 가정하였다. 본문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다목적실용위성2호의 조립 및 시험이 잘 관리되어지는 조건에서 수행된다면, 위성체의 각 표면에 축적되는 입자 오염량은 적정한 수준내로 관리 될 수 있다. 10,000 class의 발사장 환경을 기준으로 할때, AIT와 발사장에서의 조립 및 시험으로 인해 MSC 및 STA의 내구경에는 500PPM, 외부 표면에는 20000PPM, 위성체의 수평면에는 14000PPM, 수직면에는 1400PPM, radiator에는 1000PPM 및 solar array에는 300PPM의 입자오염량이 축적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논에 발생되는 주요 일년생잡초 발생에 수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Competition between Major Annual Weeds and Rice in Transplanted Paddy Field)

  • 김순철;허훈;박래경;제상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2-60
    • /
    • 1977
  • 1976년 5월부터 10월까지 영남작물시험장의 1$\textrm{m}^2$ Concreat pot에서 답에 발생되는 주요 일년생 잡초인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사마귀풀(Aneilema japonicum)여뀌바늘(Ludwigia prostrata)과 수도품종 Tongil, Milyang 2002를 공시하여 잡초발생밀도를 달리하였을때, 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결과, 1) 잡초발생이 많아짐에 따라 수도의 엽신, 엽면적, 엽초, 수중이 감소하였는데, 여뀌바늘이 수도에 미치는 피해정도가 가장 컸다. 한편, 수도 품종별 잡초와의 경쟁력은 초고가 큰 사마귀풀과 여뀌바늘에 있어서는 간장이 큰 Milyang2002, 초고가 낮은 물달개비에 있어서는 분얼력이 강한 Tongi니 경쟁력이 강하였다. 2) 잡초발생에 따른 수도질소함량은 엽신이 가장 높고 다음이 이삭, 엽초의 순이었고 수도와 잡초가 흡수한 전질소량을 비교하여보면, 1$\textrm{m}^2$당 잡초발생수 625본구에서 여뀌바늘은 약90%, 물달개비는 약65%, 사마귀풀은 약40%~65%가 잡초에 의해 흡수되었다. 3) 잡초발생이 많아짐에 따라 수도의 출수기가 빨라지고, 간장이 짧아졌는데 1$\textrm{m}^2$당 25본까지는 차리가 없었으나 125본이상에서는 출수기가 1~5일 빨라졌고, 간장은 1$\textrm{m}^2$당 잡초발생수 625본구에서 약 10cm정도 단축되었다. 4) 잡초발생에 따른 수도수량 감소정도는 여뀌바늘이 가장 컸는데 1$\textrm{m}^2$당 625본 발생에서, 여뀌바늘의 Tongil에서 50%, Milyang2002에서 80%, 물달개비는 Tongil, Milyang2002다같이 약55~60%. 사마귀풀은 약 40~50%의 수량이 감소되었는데 이들 수량감소의 주요 요인은 Milyang2002에서는 수수가 가장 강한 요인이었고, 그다음이 일수립수였다. 그러나 Tongil에에서는 수수, 일수립수 다같이 비슷한 강도의 감수 요인이었다. 그러나 이들 수수, 일수립수가 감소 하였는데 반하여 천립중, 등숙비율은 보상작용으로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고해상도 상대습도 모의를 위한 농산촌 지역의 수증기압 분석 (An Analysis of Water Vapor Pressure to Simulate the Relative Humidity in Rural and Mountainous Regions)

  • 김수옥;황규홍;홍기영;서희철;방하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9-311
    • /
    • 2020
  • 농산촌 지역 단일 집수역인 전남 구례군 간전면 중대리계곡과 경남 하동 악양면에서 각각 6지점과 14지점의 기상관측자료를 수집하여 복잡지형에서의 수증기압 및 상대습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중대리계곡에서는 2014년 12월 19일부터 2015년 11월 23일까지, 악양계곡에서는 2012년 8월 15일부터 2013년 8월 18일까지 가장 고밀도로 측정한 시기의 매시 기온과 습도(지면 위 1.5m)를 이용,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수증기압 추정방식과 실제 수증기압을 비교하였다. 관측한 수증기압의 해발고도에 따른 기울기는 시간대(0300, 0600, … 2400 LST)에 따라 변동되었고, 야간일수록 위 아래의 수증기압차가 증대되었다. 지형·지표 조건이 다양한 악양계곡 관측 지점에서는 해발고도 외의 요인으로 인한 수증기압 변이가 지점별로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제에 더 가까운 수증기압 및 상대습도 추정을 위해, 연구 대상지역의 관측자료로 해발고도 편차 당 수증기압 변화를 조정하는 계수를 도출하였다. 상대습도는 포화수증기압 대비 추정된 수증기압으로 모의하였으며, 조기경보시스템에서 사용된 기존 방법보다 도출된 계수를 활용한 추정방식에서 오차가 더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논에 발생되는 주요 다년생잡초 발생이 수도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Competition between Major Perennial Weeds and Rice in Transplanted Paddy Field)

  • 김순철;허훈;박래경;제상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69
    • /
    • 1977
  • 이앙답에 발생되는 주요 다년생잡초인 너도방동산이(Cyperus serotinus), 가래(Potamogeton distinctus)올방개(Eleocharis kuroguwai)와 수도품종인 Tongil Milyang 2002가 혼생할 때 이들 잡초가 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결과 1. 잡초발생이 많아짐에 따라 수도의 엽신 엽면적 엽초 및 수중이 감소하였는데 너도방동산이가 수도피해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컸었다. 2. 잡초발생에 따른 수도 질소함량은 엽신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이삭, 엽초의 순이있다. 질소전량에 대해 잡초가 흡수한 비율은 1$\textrm{m}^2$ 당 발생량이 625본정도로 많았을 경우 너도방동산이에서는 약 65%, 가래는 약 20%, 올방개는 약 45~65%에 해당하였다. 3. 잡초발생량이 많아짐에 따라 출수기는 125본부터 잡초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l~4일 촉진되었다. 간장에 있어서는 공시잡초 모두 1$\textrm{m}^2$당 625본 정도로 많이 발생되었을때에 5~10cm 짧아졌다. 4. 잡초발생에 따른 수도수량감소정도는 너도방동산이, 가래, 올방개의 순이였는데 1$\textrm{m}^2$당 625본 정도로 잡초발생량이 많을 경우 수도수량감소율은 너도방동산이구에서는 약 50%, 가래구에서는 약 57%, 올방개구에서는 약 60%에 해당하였다. 이들 수량감소의 주된 요인은 수수감소와 일수립수감소였는데 그중에서도 수수가 가장 심한 감수요인이었다. 그러나 천립중, 등숙비율은 잡초발생량이 많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Influence of high fat and different types of carbohydrate diet on energy metabolism in growing mice

  • Chung, Nana;Lim, Kiwon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types of carbohydrate diets with or without exercise changes energy metabolism at rest and during exercise. [Methods] To minimize differences in food and energy intak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mice were pairfed. After 1 week of adaptation, 40 male ICR mice (6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Sta. (high fat + high starch), Scu. (high fat + high sucrose), StaEX. (high fat + high starch + exercise), and SucEX. (high fat + high sucrose + exercise). StaEX. and ScuEX. groups underwent training by running on a treadmill five times a week. After 10 weeks of training, energy metabolism was measured for 24 h and during a 1 h exercise period. [Results] The final body weigh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weight of abdominal tissues (epididymal, perirenal,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in training groups was markedly decreased following 10 weeks of training. Results of all energy metabolism (24 h at rest and during 1 h of exercise) showed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diet and exercise. A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energy metabolism is that the metabolism related indicators over 24 h were more affected by the dietary pattern than the exercise but during the 1 h of exercise, training had more effect on energy metabolism than diet. [Conclusion] Our findings confirm that: (a) the type of carbohydrates included in the diet influence the metabolic responses over 24 h, (b) training had more effect on energy metabolism than diet during 1 h of exercise, (c) both results; abdominal adipose tissue weight and fat oxidation during exercise are suggestive for a beneficial effect of moderate physical activity on weight maintenance.

Acute hepatic injury following ischemia and reperfusion in rats

  • Park, Mee-Jung-;Lee, Sang-Ho-;Park, Doo-Soon-;Cho, Tai-Soon;Lee, Sun-Mee-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40-340
    • /
    • 1994
  • Since total hepatic ischemia(IS) occurs with transplantation, there has been interest in evaluating hepatic function after ischemia and subsequent reflow of blood. Four groups of animals were studied: group 1 (sham), group 2 (30mins IS), group 3 (60mins IS), and g.cup 4 (90mins IS). Serum transaminase(STA), wet weight-to-dry weight ratio(W/D), lipid peroxides(LPO), glucose-6-phosphatase(G-6-Pase) activity, Na$\^$+//K$\^$+/-ATPase(ATPase) activity were measured at 1, 5 and 24hrs after hepatic ischemia.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between 1 and 5hrs of reperfusion. STA was 3579${\pm}$401, 4593${\pm}$675 and 6348${\pm}$808 U/L in group 2, 3 and 4 respectively. These changes were ischemic time-dependent manner. W/D in group 3 and 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in sham group at all time points measured. In sham group, the level of LPO in the liver microsome remained constant at approximately 0. 5nmole MDA formed/mg protein througllout the experiment, In all ischemic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LPO started to increase at ischemia and markedly increased at all reperfusion period. Similar to STA, these changes were also dependent on duration of ischemia. Although G-6-Pase activity remained unchanged in both group 2 and group 3 until 5hrs of reperfusion, marked decrease in G-6-Pase activity was observed at grcup 4. ATP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1, 5 and 24 hrs of reperfusion in group 3, whereas it was not changed in group 2. Furthermore, ATPase activity in group 4 started to decrease at ischemia and markedly decreased for entire reperfusion period. These data suggest that severity of hepatocellular injury is associated with period of ischemia as well as period of reperfusion.

  • PDF

Early Restoration of Hypoperfusion Confirmed by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e after Emergency Superficial Temporal Artery to Middle Cerebral Artery Anastomosis

  • Eun, Jin;Park, Ik Se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6호
    • /
    • pp.816-824
    • /
    • 2022
  • Objective : Emergency superficial temporal artery to middle cerebral artery (STA-MCA) anastomosis in patients with large vessel occlusion who fails mechanical thrombectomy or does not become an indication due to over the time window can be done as an alternative for blood flow restoration. The authors planned this study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cerebral perfusion flow using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fter bypass surgery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related to the outcome of the bypass surgery. Methods : For a total of 107 patients who underwent emergent STA-MCA bypass surgery with large vessel occlusion,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modified Rankin score (mRS), infarction volume, and hypoperfusion area volume was calculated, the duration between symptom onset and reperfusion time, occlusion site and infarction type were analyzed. After emergency STA-MCA bypass, hypoperfusion area volume at post-operative 7 days was calculated and analyzed compared with pre-operative hypoperfusion area volume.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mRS were analyzed. The clinical status of patients who underwent emergency bypass was investigated by mRS and NIHSS before and after surgery, and changes in infarct volume, extent, degree of collateral circulation, and hypoperfusion area volume were measured using MRI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Results : The preoperative infarction volume was median 10 mL and the hypoperfusion area volume was median 101 mL. NIHSS was a median of 8 points, and the last normal to operation time was a median of 60.7 hours. STA patency was fair in 97.1% of patients at 6 months follow-up DSA and recanalization of the occluded vessel was confirmed at 26.5% of patients. Infarction volum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mRS (p=0.010) but preoperative hypoperfusion volume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p=0.192), and the infarction type showed marginal significance (p=0.0508). Preoperative NIHSS, initial mRS, occlusion vessel type, and last normal to operation time did no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mRS (p=0.272, 0.941, 0.354, and 0.391). Conclusion : In a patient who had an acute cerebral infarction due to large vessel occlusion with large ischemic penumbra but was unable to perform mechanical thrombectomy, STA-MCA bypass could be performed. By using time-to-peak images of perfusion MRI,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onfirm that the brain tissue at risk is preserved and that the ischemic penumbra is recovered to a normal blood flow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