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

검색결과 17,306건 처리시간 0.042초

뇌 MRI와 인지기능평가를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예측 연구 (Prediction of Amyloid β-Positivity with both MRI Parameters and Cognitive Function Using Machine Learning)

  • 박혜진;이지영;양진주;김희진;김영서;김지영;최윤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638-652
    • /
    • 2023
  • 목적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을 예측할 수 있는 MRI 특징을 알아보고 머신러닝으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 예측 모형의 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후향적 및 단면조사연구로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 치매 총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뇌 MRI와 아밀로이드 PET-CT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군(n = 84)과 아밀로이드 베타 음성군(n = 55)으로 분류하였다. 시각적 분석으로는 뇌백질 고신호 병변의 Fazekas 척도와 뇌미세출혈 개수를 시행하였다. 정량분석으로 뇌백질 고신호 병변의 부피와 국소뇌부피를 측정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머신러닝 기법으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MRI 특징을 확인하였다. 결과 시각적분석에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군은 뇌백질 고신호 병변의 Fazekas 척도(p = 0.02)와 뇌미세출혈 개수(p = 0.04)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해마, 내후각피질, 설전부의 국소뇌부피들은 아밀로이드베타 양성군에서 유의미하게 작았다(p < 0.05). 제3뇌실(p = 0.002)의 부피는 아밀로이드베타 양성군에서 유의미하게 컸다. 간이 정신 상태 검사와 국소뇌부피를 이용하여 머신러닝기법을 이용했을 때 좋은 정확도를 보였다(81.1%). 결론 간이 정신 상태 검사, 제3뇌실과 해마 부피를 이용한 머신러닝의 적용은 아밀로이드베타 양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 체계의 세 범주와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 차시명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three categories of content system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lesson titl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 김성준;김은경;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167-186
    • /
    • 2024
  • 제5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수학과 교육 목표는 인지적, 과정적, 정의적 목표의 세 범주로 제시되어 왔으며,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체계 역시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수업 목표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수학과 교육 목표인 세 가지 측면을 모두 제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차시명은 수업 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수업 중 가장 먼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1~2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차시명과 내용 체계의 세 범주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차시명은 세 범주 중 2가지를 제시하고 있었으나 반영된 요소는 지식·이해와 과정·기능 범주에 편중된 양상을 보였다. 일부 차시명의 경우 가치·태도 범주의 내용 요소를 반영하고 있었으나, 이는 수학 내용 영역에 따라 제시된 내용 요소 수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세 범주의 균형있는 학습을 위해 가치·태도 범주의 내용 요소를 반영한 차시명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영역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도록 균형있게 제시하는 방안도 함께 탐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지식·이해 범주는 제시하지 않아도 학생들이 그 목표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식·이해 범주에 맞춰진 초점에서 벗어나 과정·기능과 가치·태도 범주의 내용 요소를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진술도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2022 개정 수학 교과서 개발 시 필요한 차시명 제시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 목표를 제시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Discordance Between Angiographic Assessment and Fractional Flow Reserve or Intravascular Ultrasound in Intermediate Coronary Lesions: A Post-hoc Analysis of the FLAVOUR Trial

  • Jung-Hee Lee;Sung Gyun Ahn;Ho Sung Jeon;Jun-Won Lee;Young Jin Youn;Jinlong Zhang;Xinyang Hu;Jian'an Wang;Joo Myung Lee;Joo-Yong Hahn;Chang-Wook Nam;Joon-Hyung Doh;Bong-Ki Lee;Weon Kim;Jinyu Huang;Fan Jiang;Hao Zhou;Peng Chen;Lijiang Tang;Wenbing Jiang;Xiaomin Chen;Wenming He;Myeong-Ho Yoon;Seung-Jea Tahk;Ung Kim;You-Jeong Ki;Eun-Seok Shin;Doyeon Hwang;Jeehoon Kang;Hyo-Soo Kim;Bon-Kwon Koo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4권8호
    • /
    • pp.485-496
    • /
    • 2024
  • Background and Objectives: Angiographic assessment of coronary stenosis severity using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QCA) is often inconsistent with that based on fractional flow reserve (FFR) or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discrepancies between QCA and FFR or IVUS, and the outcomes of FFR- and IVUS-guided strategies in discordant coronary lesions. Methods: This study was a post-hoc analysis of the FLAVOUR study. We used a QCA-derived diameter stenosis (DS) of 60% or greater, the highest tertile, to classify coronary lesions as concordant or discordant with FFR or IVUS criteria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The patient-oriented composite outcome (POCO) was defined as a composite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or revascularization at 24 months. Results: The discordance rate between QCA and FFR or IVUS was 30.2% (n=551). The QCA-FFR discordance rate was numerically lower than the QCA-IVUS discordance rate (28.2% vs. 32.4%, p=0.050). In 200 patients with ≥60% DS, PCI was deferred according to negative FFR (n=141) and negative IVUS (n=59) (15.3% vs. 6.5%, p<0.001). The POCO incidence was comparable between the FFR- and IVUS-guided deferral strategies (5.9% vs. 3.4%, p=0.479). Conversely, 351 patients with DS <60% underwent PCI according to positive FFR (n=118) and positive IVUS (n=233) (12.8% vs. 25.9%, p<0.001). FFR- and IVUS-guided PCI did not differ in the incidence of POCO (9.5% vs. 6.5%, p=0.294).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QCA-FFR or IVUS discordance was approximately one third for intermediate coronary lesions. FFR- or IVUS-guided strategies for these lesions were comparable with respect to POCO at 24 months.

원발 중추신경계림프종의 단일 기관 현실 세계 21세기 경험 (Single-Center Real-World Experience with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in the 21st Century)

  • 조형우;홍정용;이대호;김신;이경민;강은희;이순종;박정선;김정훈;류진숙;허주령;서철원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 제99권1호
    • /
    • pp.37-49
    • /
    • 2024
  • 목적: 대한민국에서 원발 중추신경계림프종(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PCNSL)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술(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SCT)이 젊은 환자들의 생존 성적을 호전시켜 왔다. 이에 서울아산병원(Asan Medical Center, AMC)의 PCNSL 환자 현실 세계 경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환자 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 기록 중인 AMC 림프종 등록을 이용하였다. 2002년부터 2019년 8월까지 279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AMC의 PCNSL 발생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최근 4년 동안은 매해 전체 비호지킨림프종 신규 환자의 7.4-8.9%를 차지하였다. 중앙 연령은 60세(범위, 17-85)였고, 남자가 55%였다. 65세 미만(n = 183)은 후두엽 침범이 보다 적고, 베타-2 저분자글로불린 수치가 낮다는 것 외에는 65세 이상과 비교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리툭시맵, 메토트렉세이트, 프로카르바진, 빈크리스틴(rituximab, methotrexate, procarbazine, and vincristine, R-MPV) 복합 유도 요법의 전체 반응률이 95%로 가장 우수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3.8년, 5년 생존율은 41.5%, 10년 생존율은 30.2%였다. 비교 시 젊은 연령군과 ASCT 시행군의 생존이 더 우수하였다. 싸이오테파, 부설판, 사이클로포스퍼마이드(thiotepa + busulfan + cyclophosphamide, TBC) 고용량 요법이 여타 조합보다 성적이 우수하였다. 기존의 PCNSL 예후 점수 체계가 본 연구에서도 유효하였다. 연령과 수행도가 독립 예후 인자였다. 중추신경계 외에서만 실패하는 경우는 전체 107명의 실패 중 6명(5.6%)이었다. 결론: PCNSL의 발생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R-MPV 유도 요법 후 TBC 고용량 요법을 동반한 ASCT 시행이 젊고 적응증에 해당하는 PCNSL 환자의 생존 성적을 향상시켜 왔다.

주요 농업형질 비교를 통한 쌀귀리 유용 유전자원 탐색 (Screening of Valuable Naked Oat (Avena sativa L.) Germplasms through Comparison of Agronomic Traits)

  • 박진천;이창현;윤영미;이유영;신명재;허온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11-422
    • /
    • 2024
  • 쌀귀리는 영양학적 가치 입증에 따른 소비 증가로 국내에서도 재배면적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주 재배 품종 중 하나인 '조양'은 추위에 약해 적응지역이 남부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어 보급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다른 품종인 '대양'의 경우에는 늦은 숙기로 인해 이모작 재배가 어렵고, 수확기 장마로 인해 안정적 수량 확보에 문제가 된다. 또한, 이상의 두 품종은 모두 큰키로 인해 농가 현장에서 잦은 도복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국내 기능성 잡곡의 수요 증가로 쌀귀리 재배농가 및 소비자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나, 생산량 부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가공이 까다로운 겉귀리 품종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국내 쌀귀리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 재배 및 생산을 위해서 기존 품종의 단점 형질을 개선한 품종 육성이 시급하며, 신품종 육성을 위한 신규 육종 소재로의 활용을 위해 다양한 쌀귀리 유전자원의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표준품종을 '조양', 대비품종을 '대양'으로 설정하여 농업형질 및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존 품종 대비 내한성이 좋거나 단간으로 쓰러짐에 강하면서 숙기도 빠른 자원 위주로 우선 선발하였다. 성숙기는 '대양'보다 빠른 자원이 IT302003 (5월 26일) 등 5 자원이 분포하였고, '조양'을 포함한 3 자원이 5월 26일, K155682 (X345-1-B4-15-1) 등 2 자원이 5월 28일로 빨랐다. 간장은 62~124 cm까지 다양하게 측정되었으며, '조양' 84 cm, '대양' 83 cm보다 단간인 자원은 IT209241 (77 cm) 등 13 자원이 있었다. 또한, 한해는 '조양' 5, '대양' 5로 나타났는데 기존 품종보다 더 내한성이 강한 자원은 IT166621 (RHIANON) 등 9 자원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농업형질 특성 결과를 종합하여 선발된 우수자원은 6 자원으로 IT302002 (X345-1-B4-20-1), IT302003 (X305-1-B5-1), K000010 (AC Belmond), K253298 (X216-1-B2-11-B3-1), K253299 (X345-1-B4-15-1), K253301 (X305-1-B5-2-1)이었다. 선발된 6 자원의 원맥 품질 및 기능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은 12.0~14.1%, 회분은 1.8~2.0%, 조지방 7.4~10.6%, 전분 58.0~61.2% 범위였다. 기능성분 중 베타글루칸 함량은 3.9~4.8% 범위로 '대양'이 가장 높았으며, 선발 자원 중 가장 함량이 높은 자원은 K253301 (X305-1-B5-2-1)이었다.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기존 '대양'(301.97 ㎍/g)보다 높은 자원이 4 자원이었고, 함량은 각각 IT302002 (325.18 ㎍/g), K000010 (557.3 ㎍/g), K253299 (447.33 ㎍/g), K253301 (440.49 ㎍/g)로 나타났다. 선발된 우수자원은 추후 신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모본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가정과수업을 위한 교육용 스마트 앱(App) 개발연구(제1보): 중1 기술·가정 '의복 마련 계획과 선택'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mart App. for Home Economics Classes(1st): Focusing on 'Clothing Preparation Planning and Selection')

  • 김규리;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6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마련과 선택'단원 중 의복마련 부분의 교수-학습내용 일부를 재구성하여 수업적용을 위한 교육용 스마트 앱을 개발하는 것이다. 스마트 앱을 개발하여 구동하는 것을 위해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 계획을 하였고, 수업적용을 위한 스마트 앱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앱에 대해 가정과교사와 앱 개발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았다. 개발된 앱의 메인 구성은 총 5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프로필 설정단계로 실제사진이나 제페토 혹은 갤럭시의 이모지, 아이폰의 미모티콘을 이용해 프로필을 설정한다. 2단계에서는 스스로 옷장 정리를 통해 현재 가지고 있는 의복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 등을 파악하여 의복 목록표를 작성한다. 현재 가지고 있는 의복에 개별적 등록번호를 부여하며, 앞·뒤를 촬영하고 그 외 아이템 종류·색상·계절감·구매 시기·현재 상태 등을 기재할 수 있다. 3단계는 마련할 의복과 폐기할 의복을 결정하기이다. 전 단계의 의복목록표를 바탕으로 마련해야 할 의복과 폐기할 의복을 분류하는 과정을 갖는다. 4단계 의복 마련 방법 결정하기에서는 대안 평가표를 작성하여 의복 마련 방법을 결정한다. 이 과정을 통해 추후 학습하게 될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의 소단원 '합리적인 소비생활의 실천'을 선행학습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5단계 폐기 방법 결정하기에서는 3단계에서 분류했던 폐기할 의복을 어떤 방법으로 폐기할 것인지에 대해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전개하며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보고, 모둠별 토의를 통해 의견을 공유하고 실천하는 최종적 단계이다. 본 연구는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교안 및 교육내용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교육용 스마트 앱을 수업자가 직접 개발한 시도로서의 사례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며 앞으로 사용자 적용을 통한 실제적인 수업에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상동 장로가 유교와 초기 개신교 만남으로 보여준 삶의 양식 (The style of life shown by Elder Lee Sang-dong through the encounter between Confucianism and early Protestantism)

  • 안광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8권
    • /
    • pp.153-189
    • /
    • 2024
  • 이 연구는 유교가 발달한 경상도 안동지역에 한국 개신교 초기 선교가 이루어지면서 나타난 개신교 신앙의 특징을 찾고자 하였다. 한국 개신교 초기(1905~1935)에 퇴계 유학의 배경을 가진 양반 이상동 장로가 유학에서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나타난 생애와 삶의 양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래서 이상동 장로의 삶을 추적하기 위하여 초기 개신교 역사 자료 등을 찾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하지만'조사'로서는 교회에서 짧게 봉사하고,'장로'로 오래 지내면서도 조직 교회의 정식 교역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공적 교회 기록이나 문서들을 많이 찾을 수 없었다. 이상동 장로의 생애와 신앙의 여정을 기독교교육학자 웨스터호프(J. h. Westerhoff III)의 신앙공동체 신학을 통해 조명하고 함의를 연결할 수 있다. 웨스터호프는 기독교교육은 신앙공동체가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면서 공동체에 속한 개인의 가치관, 세계관을 형성하는 것이라 보았다. 웨스터호프가 바라보는 교육은 이러한 가치관이 사회와 문화 과정을 속에서 삶의 양식으로 나타나고 이 삶은 각각 다른 환경에서 다양한 삶의 모습을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하였다. 이상동은 성서를 읽기 시작하면서 예수를 믿게 되었고, 그리하여 성서의 세계관을 받아들였다. 이렇게 받아들인 성서의 가치관은 한말 유교와 초기 개신교회와 만남에서 유교 퇴계 성리학의 세계관보다는 기독교 성서가 보여주는 세계관으로 회심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명문 양반의 삶에서 성서 말씀을 실천하는 신앙인의 삶의 양식을 가졌다. 그는 포산동교회를 설립하여 순교 신앙공동체 뜻을 품고 교회를 시작하였고, 안동에서 가장 먼저 단독으로 3.1 만세를 불러 대한독립운동을 주창하였으며, 노비를 해방하여 평등 운동을 실천하였으며, 덕신서숙을 통한 신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계몽운동과 카테케시스 교사의 구실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한국 개신교 초기에 제도 교회의 교역자가 아닌, 장로의 직분을 가졌던 평신도 이상동은 유교의 본거지인 안동 지역에서 유교와 개신교 신앙이 만남으로 보여주는 가치관과 삶의 양식을 제시해 준 실천적인 예시며, 이러한 예시는 현대의 교회 역사에서나 기독교 교육의 관점에서 깊은 통찰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광아소증(廣雅疏證)』의 '행(行)'의자(義字) 훈고(訓詁)에 보이는 성동성근자(聲同聲近字)에 대한 고찰 (The Etymological Study in Synonyms of Chinese Character 'Xing(行)')

  • 서한용
    • 중국연구
    • /
    • 제78권
    • /
    • pp.47-65
    • /
    • 2019
  • 장읍(張揖)은 『광아(廣雅)·석고일(釋詁一)』에서 '행(行)'의 뜻을 가진 글자가 "전(躔), 력(厯), 서(逝), 거(去), 추(趨), 시(徥), 류(流), 보(步), 준(遵), 언(遃), 척(蹠), 수(遂), 판(舨), 종(從), 록(逯), 전(轉), 수(隨), 순(巡), 충(充), 략(略), 장(將), 진(進), 유(由), 가(駕), 대(帶), 관(貫), 사(䠶), 환(逭), 육(逳), 륜(踚), 소(遡), 길(吉), 부(䞯), 도(蹈)' 등 34자가 있음을 밝혔는데, 왕념손(王念孫)은 장읍(張揖)이 제시한 '행(行)'의자(義字)에 대해 동자(同字), 통자(通字) 등의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성동성근자(聲同聲近字)로 훈고(訓詁)하였다. 왕념손(王念孫)이 '행(行)'의자(義字)에 대해 훈고(訓詁)한 성동성근자(聲同聲近字)는 '대(帶)'-'체(遰), 서(逝)', '약(䠯)'-'약(䟑)', '소(遡)'-'소(泝)', '길(吉)'-'길(㣟)', '부(䞯)'-'부(赴), 부(𠓗), 보(報)'의 5조(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장읍(張揖)이 제시한 '행(行)'의자(義字) '대(帶)', '륜(踚)', '소(遡)', '길(吉)', '부(䞯)'의 5자(字)와 이 글자에 대해 왕념손(王念孫)이 훈고(訓詁)한 성동성근자(聲同聲近字) '체(遰)', '서(逝)', '약(䟑)', '소(泝)', '길(㣟)', '부(赴)', '𠓗', '보(報)'의 8자(字)의 본의(本義)와 인신의(引伸義)를 분석하여 이 글자들이 소리가 같거나 비슷하면서 의미상 서로 연관이 있는 동원자(同源字)의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왕념손(王念孫)이 '행(行)'의자(義字) 소증(疏證)에서 밝힌 동자(同字), 통자(通字) 등의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글자가 총 5조(組)의 8자(字)이고, 이 중 '약(䟑), 소(泝), 부(𠓗)'가 이체(異體) 관계의 글자이고, '체(遰), 서(逝), 길(㣟), 보(報)'가 가차(假借) 관계의 글자이며, '부(赴)'만이 동원(同源) 관계의 글자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왕념손(王念孫)의 『광아소증(廣雅疏證)』에서 보이는 '혹작(或作)~, 역작(亦作)~, 통작(通作)~, 여(與)~동(同), 여(與)~통(通), 성의상근(聲義相近), 성근의동(聲近義同), 어지전(語之轉)' 등의 용어가 이체자(異體字), 가차자(假借字), 동원자(同源字) 등을 구분하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농민공의'베이징' 드림과 좌절 - 노사(老舍)의『락타상자(駱駝祥子)』와 류진운(劉震雲)의『아규류약진(我叫劉躍進)』비교연구 (The peasant workers 'Beijing' dream and frustration - The comparison study of Lao She's "Camel Xiang Zi" and Liu Zhenyun's "My name is Liu Yuejin")

  • 김영명
    • 중국연구
    • /
    • 제79권
    • /
    • pp.21-39
    • /
    • 2019
  • 본 논문은 중국의 근대화시기 베이징의 시대적인 모순의 본질을 통찰해보고자 한다. 농민공을 주인공으로 다룬 라오서의 『낙타샹쯔』와 류전윈의 『나는 유약진이다』를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샹쯔와 유약진은 모두 '베이징' 드림을 안고 농촌에서 도시로 왔다. 우연한 사건으로 그들의 꿈은 좌절된다. 우연한 사건은 그들을 치열한 생존의 몸부림으로 이어지게 했고, 사회의 여러 계층과 좌충우돌하게 된다. 본 논문은 종적인 측면에서 20세기 두 차례 근대화시기 중국사회 계층의 변화를 읽고, 농민공들의 의식 변화를 심도 있게 통찰하고자 한다. 샹쯔는 원래 순박하고, 성실하고, 고생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런 성격은 바로 그 윗세대들로부터 이어받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베이징이라는 도시에 온 후 그는 여러 번의 수탈과 모욕, 좌절 속에서 점점 이기적이고, 사악한 사람으로 타락하게 된다. 유약진 역시 샹쯔의 성격을 이어받아 순박한 면도 있지만, 남에게 빌린 돈을 갚지 않고 생떼를 쓰는 인물이다. 큰 도둑질은 못하지만 장을 보면서 식당의 돈도 빼돌리는 작은 도둑질을 한다. 자신의 아내를 동창에게 뺏기는가 하면 다른 사람의 아내를 성추행하기도 한다. 샹쯔는 잘되려고 노력은 하지만 유약진은 노력도 하지 않는다. 완전히 타락하는 것도 원하지 않았다. 오로지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었다. 유약진의 아들 유붕거는 아버지 세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강인함, 부지런함, 책임 의식, 소박한 꿈마저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는 사기나 치고, 아무런 비전도 없이 그날그날 살아가고 있는 타락한 존재이다. 샹쯔, 유약진, 유붕거를 함께 놓고 봤을 때, 삼대에 걸쳐 점차 타락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 농민공의 몰락을 말해 주고 있다. 중국의 자본주의 경제발전은 농민공의 희생으로 고속성장의 신화를 이루었다. 또 농민공으로 인해 서서히 그 막을 내리게 될 것이라는 암시를 하고 있다. 한편 뤼투는 농민공 2세를 신 노동자로 정의했다. 최근 중국에서는 노동운동과 학생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연대하기 시작했고, 이들은 중국정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고 있다. 노동자들이 중국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아시연설가(我是演说家)》우승자와 준우승자의 레토릭 지수 비교 분석 (Analysis of Rhetorical Sensitivity Scale shown in the Speeches by Winner and Second Prize Winner of <I am a Speaker> in China)

  • 제윤지;나민구
    • 중국연구
    • /
    • 제81권
    • /
    • pp.161-197
    • /
    • 2019
  • 본고는 《아시연설가(我是演说家)(I AM A SPEAKER)》 왕소방(王素芳)(2016:62): "복합장르의 리얼리티 쇼로 주목을 받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통속적으로 과도한 오락이나 설교 프로그램이 아니라 핵심가치관을 바탕으로 엘리트들의 목소리를 듣는 동시에 약자들이 사회의 공평함, 정의와 공정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사상성과 관상성이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제오계(第五季)의 마지막 회 결승전에서 행해진 우승자, 준우승자의 연설 조약죽(赵若竹)(2016:120): "연설은 사람들이 말로 교류하는 중요한 형식이고, 인류문화와 인문정신의 진보를 증명해주며, 사람들이 세계를 인식하고 파악하는 방식을 구현해준다. 연설과 텔레비전 기술이 결합한 후에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전파 속도의 빠름, 범위의 확장, 시청자의 증가, 내용의 풍부함, 영향력의 확대는 연설 기술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에 수사적 효과가 얼마나 있는지 레토릭 지수를 통해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에 본고의 연구대상은 2019년 3월 6일 北京卫视에서 방영된 《아시연설가(我是演说家)》 제오계(第五季) 제십기(第十期) 중 최강자 결승전에서 우승한 우승자와 준우승자의 연설이다. 이 연설들은 문언 텍스트뿐만 아니라 영상도 있으므로 텍스트에 나타난 수사적 표현과 영상에서 볼 수 있는 연설가의 음성, 몸짓언어까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우승자와 준우승자가 각각 연설할 때 무대에서 배경자료로 제시된 사진자료 또한 분석대상에 포함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설득의 능력을 수치화해서 평가를 하는 '레토릭 지수'를 방법론으로 적용하여 수사학의 전통이론을 바탕으로 평가항목을 설정한 후 두 개의 연설을 분석할 것이다. 수사학의 전통이론은 크게 5대 영역 양태종(2002:108): "이소크라테스의 주제와 문체, 아리스토텔레스의 착상, 배열, 표현으로 나눠지던 수사학의 영역들이 키케로에 들어오면서 착상·배열·표현·암기·발표의 다섯으로 확정된다. 그는 이것을 사물에 대해 잘 알고, 잘 짜 맞추고, 멋지게 표현하고, 잘 기억하고, 품위에 맞게끔 말하기의 다섯으로 풀이하면서, 웅변가에게 논리가의 간파력·철학가의 사고력·시인의 표현력·법률가의 기억력·배우의 몸짓과 목소리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확정된 영역은 고대 후기는 물론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통으로 내려오고 있다." 박성창(2009:39-42) 요약 및 정리: "아리스토텔레스 또는 아리스토텔레스식 수사학은 일반적으로 수사학 기술을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논거발견술(inventio), 논거배열술(dispositio), 표현술(elocutio), 기억술(memoria), 연기술(actio). 논거발견술은 설득에 필요한 논거들의 수립에 관련된 기술이다. 논거배열술은 논거들을 어떠한 순서에 의거하여 배열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우리가 흔히 '초안'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표현술을 문장의 차원에서 논증들을 언어화하는 작업 또는 그와 관련된 기술을 뜻한다. 기억술은 이상과 같이 작성된 담론을 청중들에게 이야기하기 위해 그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기억해두는 데 필요한 기술을 뜻한다. 연기술은 변론가에 의한 전반적인 담론의 연출에 관계되며 변론가가 취해야 할 동작이나 목소리, 억양 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담고 있다." 과 3대 설득요소 박성창(2009:45-46): "설득의 방향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것으로 설정할 것인가 아니면 정감적으로 설정할 것인가의 문제와 관련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세 가지 방향들을 구분한 바 있다: 에토스(ethos), 파토스(pathos), 로고스(logos). 아리스토텔레스는 설득의 세 가지 방식들인 에토스·로고스·파토스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연설 자체에 의해서 제공되는 설득의 수단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화자의 인품에 있고, 둘째는 청중에게 올바른 태도를 자아내는 데 있으며 셋째는 논거 자체가 그럴싸하게 예증되는 한에 있어서 논거 그 자체와 관련을 맺는다.(Rhétorique, I, 1356a)." 에토스는 청중의 관심을 끌고 신뢰를 획득하기 위해 변론가가 지녀야 할 '성격'을 뜻하며 두 번째 방식인 파토스는 청중의 심리적 경향·욕구·정서 등을 포괄한다. 마지막으로 설득의 이념적이고 합리적인 방향에 속하는 로고스는 논증 또는 논거(argument)의 방식들에 관련된다." 로 나눌 수 있다. 5대 영역에는 착상(Invention), 배열(Disposition), 표현(Elocution), 암기(Memory), 발표(Action delivery)가 해당하며, 3대 설득요소에는 에토스(Ethos),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가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