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T N-value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양방향재하시험에서 재하장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int Selection for Loading Cells in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 윤민승;김준우;김명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0호
    • /
    • pp.11-16
    • /
    • 2013
  • 양방향재하시험의 성공여부는 상향력과 하향력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재하장치 위치 선정에 달려있다. 상향력과 하향력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발휘되는 단위주면마찰력과 단위선단지지력의 산정이 중요한데, 국내에서 시행되는 양방향재하시험은 주로 사용말뚝에 적용되어 극한지지력까지 재하되지 않고 설계지지력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국내 외 제안된 암반층의 극한단위주면마찰력 및 허용단위주면마찰력 산정식은 암반의 일축압축강도를 기반으로 되어있고, 또한 국내 풍화암층과 RQD가 극히 낮은 연암층은 일축압축강도시험을 할 수 있는 코아를 얻기가 어려워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었던 양방향재하시험에서 얻은 각 지층별 발휘된 단위주면마찰력과 환산된 SPT N/cm과 관계도표를 제안하고 이 관계도표를 이용하여 실제 국내 현장의 양방향재하시험을 위한 상향력과 하향력의 균형위치를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균형위치에 양방향재하장치를 설치한 후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측정된 각 지층의 발휘된 단위주면마찰력 값들과 균형위치 선정 시 적용한 관계도표의 값들을 비교하여 관계도표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풍화토층과 풍화암층에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연암층에서는 재하장치 상부연암층과 하부연암층에서 발휘된 측정값(상부 $1,151kN/m^2$, 하부 $1,500kN/m^2$)의 평균값($1,325kN/m^2$)도 산정값($1,250kN/m^2$)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관계도표는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준설매립지반의 액상화 간편예측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Scheme of Simplified Liquefaction Potential Evaluation for a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 정민형;김주현;정상국;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8호
    • /
    • pp.47-57
    • /
    • 2007
  • 본 연구는 사질토로 준설매립된 지반의 액상화 평가를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초기 밀도특성을 분석하였고, 국내 내진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SPT-N을 이용한 액상화 간편예측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시공사례를 토대로 매립 직후 준설매립지반의 밀도특성을 분석한 결과, 상대밀도와 초기 N값은 대체로 각각 $40{\sim}50%,\;5{\sim}8$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액상화 간편예측에 있어서 유효상재압 보정의 Liao & whitman식은 항상 지진에 취약한 상부층이 하부층보다 액상화 저항응력이 크게 산정되어 Skempton식의 적용이 추천된다. 또한, 설계단계에서 준설매립 지반의 심도별 N값을 산정할 경우에는, 유효응력에 따른 N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누승함수 $N=1.35{\sigma}^{'0.75}$를 이용하여 액상화 간편예측을 실시할 것을 추천한다.

석탄회를 활용한 저강도고유동화재의 공유수면매립현장에 대한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n Field Application of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 Made of Coal Ash in Reclamation Site)

  • 공진영;정혁상;조삼덕;김주형;현재혁;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2호
    • /
    • pp.27-3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석탄회를 주재료로 하고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저강도고유동화재(CLSM)를 개발하여 공유수면매립용으로 사용하고자 ${\bigcirc}{\bigcirc}$매립공사현장에서 현장매립실험을 실시하였고, 저강도고유동화재로 매립된 지반의 강도 및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약 3개월에 걸쳐 표준관입시험, 콘관입시험, 환경영향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저강도고유동화재 매립지반의 N값, 관입저항력값은 원지반보다 더 크거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석탄회 매립지반의 경우 원지반보다 낮았다. 토양 및 해수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pH를 제외하고는 토양오염도와 해수오염도에서 요구하는 시험항목의 기준값보다 낮게 나타났다. pH의 경우도 지하수법에서 정하는 공업용수 기준 pH 5.0~9.0 이내를 만족하였다.

펄스 방전 기술에 의한 지반 확공 현상 수치해석 모사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 Expansion Induced by Pulse Discharge Technology)

  • 박현구;이승래;김선주;조규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25-3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펄스 방전 기술의 적용에 따른 지반 확공 현상에 대한 수치해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 펄스 방전 시험을 통하여 충격파 발생을 측정하였으며 수중 폭발 모델을 바탕으로한 유제-구조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실내 시험에서 계측된 충격파를 모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T N값으로부터 경험적으로 얻어지는 지반 물성이 적용된 점성토 지반에 대한 확공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시험과 유사한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평판재하시험과 이론적 침하량 예측식의 비교를 통한 N치 보정방법 검토 (A Study on the Modified N-value by the Comparison Plate Load Test with Calculated Settlement)

  • 안창윤;김원철;황영철;남현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5-34
    • /
    • 2005
  • 사질토상의 직접기초는 기초의 지지력보다 침하량이 기초의 설계에 있어 주요 지배요소이다. 침하량을 산정함에 있어 토질 특성치 중 표준관입시험 N치가 주된 요소이다. 그러므로, 침하량 예측시 장비 효율에 대한 적절한 N치의 보정이 이루어질 때 예측 침하량의 정확성이 확보된다. 특히, N치가 50/30이상인 지반의 경우 롯드의 30cm 관입시 타격수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50회 타격시 롯드의 관입량으로 N치를 기록하고, 침하량 산정시 N치 50을 일률적용함으로 실측 침하량과 큰 오차를 보이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치 50/30이상인 지반의 침하량 산정을 위한 N치 보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보정 N치, 보정 N치를 적용하여 탄성이론에 근거한 4가지 방법과 7가지의 경험적 제안식으로 산정한 침하량을 평판재하시험 실측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풍화지반(풍화암)에서 탄성이론에 근거한 방법 중에는 Original Elastic Theory, 경험적 제안식 중에서는 Terzaghi-Peck(1948, 1967) modified 1 방법이 평판재하시험 실측치에 가까운 값을 보였다.

  • PDF

LRFD 설계를 위한 국내 항타강관말뚝의 저항계수 산정 (Resistance Factors of Driven Steel Pipe Piles for LRFD Design in Korea)

  • 박재현;허정원;김명모;곽기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C호
    • /
    • pp.367-377
    • /
    • 2008
  • 국내 기초구조물에 대한 하중저항계수설계법 개발의 일환으로 신뢰성에 기반한 항타강관말뚝의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국내 정재하시험 및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측정 지지력 확인이 가능한 57개 자료에 대해서 선단부 N치 50을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N<50, $N{\geq}50$). 구조물기초설계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두 가지 정역학적 설계공식에 대해서 대표 측정지지력과 설계지지력을 비교함으로써 저항편향계수를 평가하였다. 저항편향계수의 통계특성을 이용하여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엄밀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분석 결과 및 국내 말뚝기초의 설계, 시공 실무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하였다. 무리말뚝의 여용성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 2.0, 2.33, 무리말뚝의 여용성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2.5의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하였고,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마이크로터널링으로 인한 활주로 기층의 전단 강성의 변화 : 크로스흘 시험과 SASW 실험에 의한 평가 (Evaluation of Subgrade Stiffness after Microtunnelling Operations at JFK Airport by Crosshole and SASW Tests)

  • 조성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2호
    • /
    • pp.67-78
    • /
    • 1998
  • 마이크로터널링은 비교적 연약한 사질토 지반을 통과하는 소규모의 터널을 시공할 때 적용하는 공법으로, 터널 시작 위치에서 일련의 짧은 원형 콘크리트 관을 유압으로 밀어서 전구간을 관통하는 공법이다. 미국 뉴욕의 JFK공항의 활주로에서는 활주로 하부를 통과하는 전력구의 설치를 위하여 이러한 마이l터널링 공법을 시도하였다. 마이크로터널링 공법에서는 콘크리트관을 전진시키기 위해 강력한 유압으로 벤토나이트를 분출하는데, 이로 인하여 활주로 하부의 지반이 교란될 가능성이 있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시공으로 인한 교란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SASW 기법과 크로스흘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조물 비파괴 건전도 기법인 SASW 기법으로는 활주로 기층 부위의 지반강성 변화 정도를 평가하였고, 크로스흘 시험으로는 활주로 인접 지반의 깊이별 5파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JFK 공항 부지에서 결정한 5파 속도-N 치의 부지특유 관계식을 통하여 5파 속도를 N치로 변환함으로써 지반강성의 변화를 지반강도 변화의 측면으로도 지반교란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 PDF

B.G.I 지반보강 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of B.G.I)

  • 유남재;서승오;김동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B호
    • /
    • pp.73-80
    • /
    • 2009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ffect of B.G.I (Best Grouting Innovation) method on reinforcing ground. In this thesis,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summarize theoretical backgrounds of grouting and to compare the applicability of different grouting methods. Unconfined compression test with specimen prepared by injecting different grouts of B.G.I, S.G.R and L.W methods and by changing the curing time were carried out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initial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mobilized in the early stage. As results of test, the compression strength increases with curing times and specimen prepared with grouts of B.G.I method show greater values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s, the measured values of pH are in the range of 7-10 during tests. In field, preliminary construction to main construction at several site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ground by application of B.G.I method. From the results of permeability test in field, SPT test and phenol reaction test, it was found that N values after grouting are greater than those before grouting and values of permeability in grouted ground is reduced significantly.

  • PDF

표준관입시험 N값을 활용한 지반정수의 경험적 산정 (Empirical Estimations of Soil Constants Using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 강병주;황범식;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12
    • /
    • 2018
  • 국내설계기준에서는 표준관입시험을 통해 산정된 N값으로 여러 지반 설계정수를 산출할 수 있는 경험식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렇게 산출된 지반 설계정수는 시공현장과 기본설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통용되고 있는 경험식은 대부분 국외에서 연구되어 제시된 것으로, 국내 지반조건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반조사기술이 적용된 자료에 대한 적용성과 타당성을 검토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에 제공하는 시추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질시험에서 얻어진 설계정수값과 N값을 이용해서 경험식에서 얻어진 설계 정수값을 비교 분석하여 기존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경험식을 검증하였고 국내의 지반조건을 고려한 경험식과 산정지표를 제안하였다.

말뚝의 설계하중 결정방법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the methods used in determining the pile design load)

  • 이명환;윤성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깊은 기초의 연구와 실무(RESEARCH AND PRACTICE OF DEEP FOUNDATIONS)
    • /
    • pp.69-102
    • /
    • 1992
  • 말뚝의 지지력 결정은 그 결과로 부터 설계내역이 결정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말뚝의 지지력 결정방법에는 수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실무에는 극히 일부분만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 실태조사에 의하면 SPT N 값을 기준으로 한 Meyaerhof공식이 거의 모든 설계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시공중에는 항타공식과 Eoh는 말뚝 재하시험도 실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3가지 방법들을 분석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말뚝재하시험 이외에는 그 신뢰도가 극히 불량하였다. 그리고 말뚝 재하시험 결과의 분석에 있어서,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을 분리측정하지 않으면 결정적인 오차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의 분리측정에 의한 말뚝재하시험이 가장 신뢰도가 높은 말뚝지지력 결정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