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ME GC-MS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6초

재래종 및 개량종 돼지 등심의 진공포장 냉장중 품질특성 및 향기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roma of M. Longissimus from Korean Native Black Pigs and Modem Genotype Pigs during Vacuum Packaged-Chilling)

  • 강선문;이성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7-255
    • /
    • 2007
  • 본 연구는 재래종 및 개량종 돼지 등심의 일반 품질특성 과 SPME-GC/MS 및 전자코에 의한 신선육의 향기를 진공 포장 냉장저장중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출하체중 64 kg의 재래종 돼지(거세돈) 5두와 114 kg인 개량종 돼지($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거세돈) 5두를 도축하고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진공포장한 다음 $2{\pm}0.3^{\circ}C$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을 분석하였다. 지방 함량은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높았던 반면(p<0.05), 지방산 조성중 C14:0, C18:3, C20:5 함량은 개량종보다 낮았다(p<0.05). 저장기간동안 재래종의 pH와 보수력 모두 개량종보다 낮았으며(p<0.05), 표면육색은 재래종이 저장기간 동안 개량종보다 붉고 진하였다. TBARS 는 재래종에서 더 빨리 촉진되었으며, 조직감은 재래종이 저장기간 동안 개량종보다 단단하였다. SPME-GC/MS 및 전자코에 의해 저장 12일에 두 품종 간 hexanoic acid, 3-methyl-1-butanol, 2-ethyl hexanol, m-xylene의 성분 및 저장기간 동안 패턴 차이가 분별되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솔잎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Determination of Aroma Components in Pinus densiflora (Pine Needles) Studi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재곤;이창국;백신;권영주;장희진;곽재진;이문수;이계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68
    • /
    • 2006
  •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headspace(DHS, RPHS)법, SPME법, SDE법, SFE법과 최근에 개발된 PDE법으로 솔잎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성분을 Ge/MS를 이용하여 총 65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terpene류 25종, alcoholfb류 16종, carbonyls류 9종, esters류 6종, acids류 7종, esters 화합물이 2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Headspace(DHS, RPHS)법과 SPME 법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ethyl acetate, 2-ethyl furan, $\beta$-myrcene 등과 같은 저비점 휘발성 성분들이 많이 추출되었다. 반면에, 고비점 휘발성 성분들인 nerolidol, spathulenol, benzoic acid 등은 휘발 성분 추출시 열이 가해지는 SDE법, SFE법, PDE법 등에서는 확인되었으나 headspace법과 SPME법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6가지 추출방법에서 저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headspace(DHS)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SDE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개발된 PDE법은 SDE법에 비해 추출효율 변에서 약간 떨어지나 전처리 방법이 간단하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Protopectinase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늘 단세포화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 Suspensions Using Protopectin Hydrolytic Enzymes)

  • 백구현;김성수;탁상범;강병선;김동호;이영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1-356
    • /
    • 2006
  • 마늘 가공 공정시 발생하는 품질손실과 저장기간 감소, 급속한 변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PPase를 적용해 식물조직의 단세포를 유리시켰다. 마늘의 단세포화를 위한 최적조건은 250 rpm으로 $37^{\circ}C$의 조건에서 pH 8.0으로 150분 동안 활성화 시킬 때 최적 수율의 단세포화물을 얻었다. 단세포화물과 기계마쇄물의 품질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마늘의 주요 활성요소 성분인 alliin의 함량은 기계 마쇄물이 11 mg/g에서 6.6 mg/g으로, 단세포화물이 8.5 mg/g에서 7.0 mg/g으로 기계 마쇄물에 비해 약 20% 정도 이상의 alliin 유지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SPME와 GC/MS를 이용한 마늘의 향기성분은 확인된 23종 중 총8종의 증감이 있었던 기계마쇄물에 비해 18종 중 4종의 증감이 있었던 단세포화물이 보다 안정한 향기 성분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관능검사 결과를 보더라도 $4^{\circ}C$에서 24일 경과후에도 향기성분 자체의 변화가 거의 없는 단세포화물의 시료가 전체적인 기호도 등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좋은 점수를 얻었다.

멸치(Engraulis japonicus) 액젓 부산물로부터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유도 된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Derived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Residues through Maillard Reactions)

  • 김진현;차용준;유대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4-181
    • /
    • 2023
  •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optimal Maillard reactions (MR) derived with the addition of precursors (AP), control (without AP) and raw a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residue were identifi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MR was produced by adding 1% (w/w) glucose and mixed amino acids (threonine 0.543%, glutamic acid 0.194%, glycine 0.382%, w/w) to raw (100 g of anchovy sauce residue and 100 mL of distilled water), and heating at 110 ℃ for 2 h. Among 65 flavor components detected, 7 compounds were produced through Maillard reaction to change in content. A total of 7 volatile flavor compounds, including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dimethyl disulfide, methylpyrazine, dimethyl trisulfide, methional, and 2-furanmethanol, tended to increase in the order of raw, control, and MR, but methylpyrazine was not detected in control. Amounts of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dimethyl disulfide, methylpyrazine, dimethyl trisulfide, methional, and 2-furanmethanol having positive odors (dark chocolate-, garlic-, hazelnut-, cooked potato-like) were 11.04, 50.15, 3.25, 8.38, 4.60, 9.59, and 3.08 times higher, respectively, in MR than those in raw.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검출기와 고체상미량추출법을 이용한 물 중의 MTBE 미량분석

  • 전치완;이정화;정영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95-198
    • /
    • 2005
  • A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the extraction and analysis of methyl-tert-butyl ether has been described. methyl-tert-butyl ether was extracted from aqueous solution using SPME fiber coated polydimethylsiloxane and analysed by GC-MS with capillary column. Extraction parameters and chromatographic separa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The applied method represented good analytical performance in terms of precision (3-8%, RSD) and accuracy(93-102%, mean recovery) with a method detection limit of 0.03 ppb.

  • PDF

SPME에 의한 소엽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9-74
    • /
    • 2003
  • 우리나라의 고유한 향신료로 활용되고 있는 소엽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 적합한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 fiber를 선정하기 위하여 carboxen/polydimethylsiloxane(CAR/PDMS)과 polydimethylsiloxane(PDMS)의 2종류 fiber를 이용하여 향을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CAR/PDMS fber에 소엽의 향을 흡착시켜 분석한 결과, 39종의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PDMS fiber를 이용하였을 때는 20가지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특히 PDMS fiber를 사용하였을 때 CAR/PDMS fber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perillaldehyde (40.50%), limonene (27.32%), E,E-,${\alpha}-famesene$ (10.22%) 및 ${\beta}-caryophyllene$ (8.02%)의 소엽의 주요 향기성분이 선택적으로 많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향성 식용식물인 소엽의 향기를 SPME법으로 추출할 때는 PDMS fiber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잎담배 종류별 휘발성 향기성분 특성비교 (Comparis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different tobacco type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장미;이정민;이창국;복진영;황건중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7-87
    • /
    • 2010
  • Traditional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 and solid-phase micro extraction(SPME) methods using GC/MS were compar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the extrac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different tobacco leaves types(flue-cured, burley, oriental).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lue-cured and burley tobacco were similar such as neophytadiene, solanone, megastigmatrienone isomers, ${\beta}$-damascenone and ${\beta}$-ionone. On the other h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such as norambreinolide, sclareolide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in oriental tobacco. Each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responses of some analytes from real samples and standards in order to provide sensitivity comparisons between two techniques. Among three types of SPME fibers such as PDMS(Polydimethylsiloxane), PA(Polyacrylate) and PDMS/DVB (Polydimethylsiloxane/Divinylbenzene) which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selectivity and adsorption efficiency, PDMS/DVB fiber was selected for the extraction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due to its effectiveness.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DE method(130 species) was much more than that in SPME method(85 species). SPME method was more efficient for all the highly volatile compounds than SDE method, but on the other hand, low-volatile compounds such as fatty acids or high-molecular hydrocabons were detected in SDE method. SPME method based on a short-time sampling can be adjusted to favor a selected group compounds in tobacco. Furthermore this results could be used to estimate the aroma characteristics of cigarette blending by using a different type of tobacco with more effectiveness and convenienc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한 향미 유전자원의 방향성 화합물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Aromatic Compounds in the Aromatic Rice Germplasm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 김정순;조점래;곽재균;김태산;안상낙;이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8-103
    • /
    • 2009
  • 국내 육성향미자원과 도입 향미 유전자원의 2AP 함량을 비교분석하여, 2AP 함량이 높고 농업적 형질이 우수한 자원을 30품종의 향미 유전자원에서 방향성 화합물을 SPME 추출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각 자원이 가지는 방향성 화합물을 비교분석 및 동정하였다. 1. 3종류의 유기용매의 2AP 추출효율은 ethanol > acetonitl > methanol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ethnaol의 경우 $30{\sim}90^{\circ}C$의 온도범위에서 3가지 유기용매 중 ethanol이 2AP 추출효과가 가장 뛰어났고, 특히 $90^{\circ}C$에서 30분간 추출하였을 때 2AP 추출함량이 가장 높았고 추출 시간이 경과할수록 2AP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현미의 분쇄정도에 따른 2AP 추출함량은 5초간 분쇄하였을 경우 가장 높았으며 분쇄 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 선발자원의 향에 대한 관능검사는 국내 향미자원 5품종 중 Hyangmibyeo1ho, Arnaghyangchalbyeo가 중간 정도의 향을 띄었고 인디카형 도입자원 19품종 중에서 11품종과 자포니카형 도입자원 6품종 중 2품종이 중간 이상의 향을 나타났다. 3. 30품종의 평균 2AP함량은 국내 육성 향미자원이 도입 향미자원에 비해 낮았으며 도입자원에서는 인디카형이 자포니카형 보다 높은 2AP 함량을 나타내었다. 4. 156종의 방향성 화합물 기능기별로 분류하면 alcohol류 33종, acid류 23종, ketone류 24종, hydrocarbon류 20종, ester류 16종, aldehyde류 16종, ether류 4종, amine류 5종 phenol류 3종, base류 2종, 및 기타 10종으로 분류되었다. 5. 156종의 방향성 화합물 중 생태형별 출현빈도가 50% 이상인 방향성 화합물을 살펴보면, 국내육성 향미자원에서는 2-acetyl-1-pyrroline 외 28종, Japonica type 도입 향미자원에서는 9,12-octadecadienoic acid 외 31종, Indica type 도입 향미자원에서는 naphthalene 외 23종이었다. 6. GC-MS 분석결과 검출된 국내 육성 향미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의 수는 평균 38개($36{\sim}41$개), 평균 total peak area는 61.1%($51.6{\sim}79.3%$)이었다. 도입 자포니카형 향미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의 수는 평균 39개($26{\sim}45$개), 평균 total peak area는 63.2%($40.9{\sim}81.9%$)이었다. 도입 인디카형 향미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의 수는 평균 39.6개($26{\sim}53$개), 평균 total peak area는 72.8%($33.8{\sim}98.8%$)이었다. 7. 30 품종으로부터 검출된 156종의 방향성 화합물의 출현 유무(0/1)를 기본 matrix로 하여, UPGMA/Neighbor-join tree 분석을 통해 분류한 결과, 7개의 그룹(Group $I{\sim}VII$)으로 나눠어졌다. 각 그룹의 66% 이상의 자원에서 나타난 향(aroma/odor)성분을 살펴보면, alcohol, aldehyde, acid, ether류 등의 휘발성 성분들의 비율이 품종별로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는 대량의 향미 유전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에 대한 GC/GC-MS분석결과로, 향후 우수한 향미 품종 육성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Evaluation of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Pork Loin (Longissimus dorsi) as Affected by Fiber Type of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Preheating and Storage Time

  • Park, Sung-Yong;Yoon, Young-Mo;Schilling, M. Wes;Chin, Koo-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9-58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ting, fiber type used in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two phase vs three phase) and storage time on the volatile compounds of porcine M. longissimus dorsi (LD). Volatile compounds were measured using a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GC/MS) with a quadrupole mass analyzer. Among the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aldehydes (49.33%), alcohols (24.63%) and ketones (9.85%) were higher in pre-heated loins ($100^{\circ}C$/30 min), whereas, alcohols (34.33%), hydrocarbons (22.84%) and ketones (16.88%) were higher in non-heated loins. Heating of loins induced the formation of various volatile compounds such as aldehydes (hexanal) and alcohols. The total contents of hydrocarbons, alcohols, and carboxylic acids were higher in two phase fibers, whereas those of esters tended to be higher in three-phase fibers (p<0.05). Most volatile compounds increased (p<0.05) with increased storage time. Thus, the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were affected by the fiber type, while heating and refrigerated storage of pork M. longissimus dorsi increased the volatile compounds derived from lipid oxidation and amino acid catabolism, respectively.

녹차와 후발효차의 유리형 및 결합형 향기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Free and Bound Aroma Compounds in Green and Fermented Teas)

  • 이혜진;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7-4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녹차와 녹차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발효차의 유리형 및 결합형 향기성분을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HS-SPME)-GC/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녹차가 미생물학적 발효과정을 거치는 중에 녹차에 존재하는 aldehyde류와 ketone류는 감소하였고 linalool과 geraniol은 증가하였다. 녹차와 후발효차 잎에 추가적으로 효소를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녹차에서는 (Z)-3-hexen-1-ol>benzaldehyde>3-hexenyl acetate>geraniol순으로 향기성분이 증가되었고, 후발효차에서는 (Z)-3-hexen-1-ol>benzaldehyde>geraniol>3-hexenyl acetate>1-hexanol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녹차보다는 후발효차에서 효소에 의해 증가되는 향기성분이 많았다. 효소양을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때 녹차와 후발효차 모두 효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휘발성 향기성분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효소처리를 통해 녹차와 후발효차의 향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녹차와 후발효차의 향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