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1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초

현악기의 물리적 모델링을 위한 최적의 멀티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 탐색 (Exploration of Optimal Multi-Core Processor Architecture for Physical Modeling of Plucked-String Instruments)

  • 강명수;최지원;김용민;김종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281-294
    • /
    • 2011
  • 물리적 모델링 기반 음 합성 알고리즘은 음 합성 시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며 이는 실시간 음 합성을 저해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모델링 기반 현악기 사운드 엔진을 멀티코어 프로세서에 구현하고, 사운드 엔진을 위한 최적의 멀티코어 프로세서 구조를 제안한다. 대상 현악기의 단위음을 합성하기 위해 각 프로세싱 엘리먼트 (processing element, PE)당 합성하는 샘플 (sample-per-processing element, SPE) 수를 변화시키는 실험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 (system performance), 시스템 면적 효율 (area efficiency), 에너지 효율 (energy efficiency)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멀티코어 프로세서 구조를 선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어쿠스틱 기타는 SPE가 5,513과 2,756일 때 가장 높은 시스템 면적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보였으며, 클래식 기타는 SPE가 22,050과 5,513일 때 시스템 면적 효율과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44.1 kHz의 샘플링율을 갖도록 대상 악기의 단위음을 합성한 결과 원음과 스펙트럼에서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울산대학교 대학원생 및 교수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MUSHRA 주관 청취 테스트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었다.

Sulfur Polymer Emulsion 및 보강용 섬유를 활용한 반강성 포장재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Semi-rigid Pavement Material Produced with Sulfur Polymer Emulsion and Reinforcing Fibers)

  • 이병재;서지석;노재호;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9-12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황폴리머에멀젼 (SPE)을 반강성 포장용 주입재의 아크릴레이트 대체재로서 활용가능성과 성능향상재료 (PVA섬유)에 대한 역학적 성능과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반강성 포장재의 충전률은 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충전률이 저하되었지만, 모든 배합조건에서 평균 92~94%로 측정되어 목표 성능인 90%를 만족하였다. 반강성 포장재의 마샬안정도 값은 최대 25.4kN으로 측정되어 반강성 포장재의 국내 기준인 5.0 kN 보다 약 4.7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강성 포장재의 동적안정도 평가결과, 휠 트래킹시험에 따른 변형저항성은 SPE를 대체한 배합조건이 보다 우수하였고, 모든 배합조건에서 45분 이후에는 변형량이 일정한 값에 수렴되어 동적안정도가 31,500회/mm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파단변형률은 최대 0.53% 정도로 나타나 아스팔트 포장재보다 우수한 강성으로 나타났다. 마모저항성 및 충격저항성 검토결과 모든 배합조건에서 손실률이 9.8~6.0%로 나타나 우수한 내마모성을 나타내었으며, 섬유를 0.3% 혼입한 경우 혼입하지 않은 Plain에 비하여 2.82배의 내충격성 향상을 나타내었다. 역학적성능 및 내구성능 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이 연구 범위에서는 SPE 대체율 30%가 적정 수준이고, 혼입률 0.3% 범위에서 PVA 섬유를 적용하면 우수한 인성을 갖는 반강성 포장재 제조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콩나물중 benzimidazole계 농약의 추출방법과 잔류성 (An extraction method and residues of benzimidazole fungicides in soybean sprouts)

  • 박준조;용금찬;정진아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6-31
    • /
    • 2000
  • 콩나물중 잔류농약의 효율적인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carbendazim과 thiabendazole을 0.1, 0.3, 0.5 mg/kg 씩 첨가하여 농약성분의 추출방법을 비교하였고, 잔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thiophanate-methyl 1.0, 2.0 g/L 용액에 수침시킨 콩으로 콩나물을 재배하면서 매일 잔류량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시중에 유통되는 콩나물중 benzimidazole계 농약의 잔류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추출방법에 따라 carbendazim의 회수율은 LLE $69.25{\sim}79.16%$, SPE $79.99{\sim}90.42%$, MSPD $92.40{\sim}98.48%$이었으며, thiabendazole의 회수율은 LLE $64.86{\sim}83.26%$, SPE $79.12{\sim}94.04%$, MSPD $65.44{\sim}73.92%$로 고체상 추출방법이 우수하였다. 또 재배기간별 carbendazim 잔류량은 콩나물 출하적기인 재배 5일 째 $0.10{\sim}0.25$ mg/kg이었으며, 출하적기를 넘긴 7일째에도 농약이 잔류되었다. 유통 콩나물 448건을 검사한 결과 6건에서 carbendazim이 검출되었고 검출량은 3건에서 0.1 mg/kg 미만이었으나 3건에서는 0.1 mg/kg을 초과하여 최대 0.37 mg/kg까지 검출되었다.

  • PDF

Antioxidant Properties and Diet-Related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Yogurt Supplemented with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Petal Extract

  • Hong, Heeok;Lim, Jeong Min;Kothari, Damini;Kwon, So Hee;Kwon, Hyuk Cheol;Han, Sung-Gu;Kim, Soo-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2-134
    • /
    • 2021
  • Recently, yogurt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o further enhance its functions using edible plant ex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safflower petal (SP) as a natural food additive can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yogurt with improved health benefits. SPs were extracted with ethanol (SPE) and hot water (SPW), and then safflower yogurt was prepared by adding 0%-1.0% of those extracts to plain yogurt. With an increase in the fermentation duration, the pH of SPE and SPW yogurt samples was decreased, whereas titratable acidity and microbial counts were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higher in SPW yogurt than SPE yogurt. Furthermore, α-glucosidase and lipase activity inhibitory effects of SPW yogurt were higher than those of SPE yogurt. In particular,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ROS inhibitory effect, and α-glucosidase activity inhibitory effe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W yogurt in a dose-dependent manner.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 extract possess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at it can downregulate α-glucosidase and lipase activities. The SP extract may have potential benefits as a natural food additiv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yogurt.

Recent Applications of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MIPs) on Screen-Printed Electrodes for Pesticide Detection

  • Adilah Mohamed Nageib;Amanatuzzakiah Abdul Halim;Anis Nurashikin Nordin;Fathilah Ali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14
    • /
    • 2023
  • The overuse of pesticides in agricultural sectors exposes people to food contamination. Pesticides are toxic to humans and can have both acute and chronic health effects. To protect food consumers from the adverse effects of pesticides, a rapid monitoring system of the residues is in dire need.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MIP) on a screen-printed electrode (SPE) is a leading and promising electrochemical sensing approach for the detection of several residues including pesticides. Despite the huge development in analytical instrumentation developed for contaminant detection in recent years such as HPLC and GC/MS,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are time-consuming and labor-intensive. Additionally, the imprinted SPE detection system offers a simple portable setup where all electrodes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strip, and a more affordable approach compared to MIP attached to traditional rod electrodes. Recently, numerous reviews have been published on the production and sensing applications of MIPs however, the research field lacks reviews on the use of MIPs on electrochemical sensors utilizing the SPE technology. This paper presents a distinguished overview of the MIP technique used on bare and modified SPEs for the detection of pesticides from four recent publications which are malathion, chlorpyrifos, paraoxon and cyhexatin. Different molecular imprint routes were used to prepare these biomimetic sensors including solution polymerization, thermal polymerization, and electropolymerizati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MIP-modified SPE are discussed and the comparison among the findings of the papers is critically reviewed.

액체 추출법과 고체상 추출법에 의한 수질 중 유해물질 농축법 비교 (Comparison of Liquid-Liquid Extraction and Solid-Phase Extraction Coupled with GC/MS for Determination of Priority Pollutants in Water)

  • 육근성;홍사문;김종호
    • 분석과학
    • /
    • 제7권4호
    • /
    • pp.441-453
    • /
    • 1994
  • 수질에서 유해물질을 농축하는 방법으로 액체 추출법과 고체상 추출법을 GC/MS를 검출기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비휘발성 유해물질 중 11종의 산과 44종의 염기/중성 화합물들을 reagent water에 첨가하여 분석한 결과, 액체추출법은 54종의 화합물에 대해 91%의 평균회수율과 4.6%의 평균상대표준편차를 나타내었으며, 고체상 추출법은 52종의 화합물에 대해 63%의 평균회수율과 8.9%의 평균상대표준편차를 보였다. 두 방법의 검출한계는 $1{\sim}5{\mu}g/l$였다.

  • PDF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분석을 위한 추출 및 전처리법 (Extraction and Preprocessing Methods for Ginsenosides Analysis of Panax ginseng C.A. Mayer)

  • 김금숙;현동윤;김영옥;이성우;김영창;이승은;손영득;이민정;박충범;박호기;차선우;송경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46-454
    • /
    • 2008
  • An advanced extraction method by ultrasonic extraction with applied solid phase extraction (SPE) has been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simultaneous eight major ginsenosides, namely ginsenosides Rg1, Re, Rf, Rb1, Rg2, Rc, Rb2, and Rd in the root of Panax ginseng. Four extraction methods including n-BuOH reflux extraction (Method A), 70% EtOH reflux extraction (Method B), 50% MeOH reflux extraction with SPE (Method C), and 50% MeOH ultrasonication with SPE clean-up process (Method D) were investigated for the determination of eight major ginsenosides. Total contents of ginsenosides were highest by extraction of Method C as $2.408{\pm}0.011%$. However, Method D was evaluated as relatively simpler and more efficient method due to short extraction time, small solvent consumption and less expensive, compared to conservative reflux method. Ginsenosides were also satisfactorily separated with good resolution and the accuracy range was between 1.05 and 4.06% a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by Method D. SPE condition and HPLC condition were further optimized for determination of eight major ginsenosides by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Conclusively, ultrasonic extraction of 2 g sample of ginseng using ultrasonic bath and 1 loading for SPE was evaluated as proper condition for extraction of ginseng.

MCM-41/Po1y(ethylene oxide) 복합체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와 전기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MCM-41/Poly(ethylene oxide) Composites)

  • 김석;강진영;이성구;이재락;박수진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403-40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mobil crystalline material-41(MCM-41)의 함량 변화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solid polymer electrolyte, SPE)의 이온전도도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poly(ethylene oxide)(PEO), 메조포러스 기공 구조를 가지는 MCM-41 분자체, 그리고 리튬염을 이용하여 SPE를 제조하였다. SPE의 결정화도는 X-선 회절분석(XRD) 및 시차주사열량계(DSC)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주파수반응분석(FRA)으로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여 이온 전도거동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MCM-41을 고분자 혼합물에 첨가함에 따라 PEO의 견정성 영역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는 MCM-41이 메조포러스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P(EO)_{16}LiClO_4$/MCM-41 전해질 복합체의 이온 전도도는 8$wt\%$의 MCM-41을 첨가한 경우 가장 큰 이온전도도를 가지며, 8$wt\%$이상에서는 다소 감소된 이온전도도를 가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온전도도의 특성은 MCM-41의 첨가에 따른 고분자의 결정화도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고체상 추출과 친화 크로마토 그라피-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한국인 혈청에서의 셀레노 단백질 정량 (Quantification of seleno proteins in Korean blood serum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and affinity chromatography-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 안지윤;권효식;박용남
    • 분석과학
    • /
    • 제27권2호
    • /
    • pp.92-9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고체상 추출법 (AE SPE; anion exchange solid phase extraction)을 사용하여 간섭요인을 제거한 후,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AF HPLC; affinit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유도결합 플라스마 질량분석법 (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을 사용하여 한국인의 혈청에서의 셀레노 단백질을 분리하고 정량하였다. 먼저 동위원소 희석법으로 셀레늄 총량을 분석한 결과, 건강한 한국 사람의 혈청내 평균농도는 $94.3{\pm}2.3ngg^{-1}$ 이었다. AE SPE와 AF 컬럼을 online으로 연결하여 셀레노단백질인 glutathione peroxidase (GPx), selenoprotein P (SelP), selenoalbumin (SeAlb)을 분리하고, 후 컬럼 동위원소 희석법 (PC ID; post column isotope dilution)으로 정량하였다. 혈청 인증표준물인 BCR-637을 분석한 결과 전체 셀레노 단백질의 합은 $85.4{\pm}3.4ngg^{-1}$으로 문헌값인 $81{\pm}7ngg^{-1}$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0 명의 건강한 한국인의 혈청에서 얻은 셀레노 단백질 GPx, SelP 및 SeAlb 의 농도는 각각 $12.1{\pm}1.4ngg^{-1}$, $57.2{\pm}2.0ngg^{-1}$, 그리고 $20.0{\pm}1.9ngg^{-1}$ 이었으며 이들의 합인 $89.3ngg^{-1}$은 셀레늄의 총량값인 $94.3ngg^{-1}$과 거의 같은 값으로 혈청에서의 셀레늄은 주로 셀레노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 중 GPx의 농도는 간섭을 제거하기 전인 $25.0ngg^{-1}$에 비해 50% 이상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로서 간섭은 주로 GPx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E SPE는 간섭요인인 Cl과 Br을 제거 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Isoflavone Extracted from Soybean Paste in Free Radical Initiator Treated Rats

  • Nam, Hye-Young;Min, Sang-Gi;Shin, Ho-Chul;Kim, Hwi-Yool;Fukushima, Michihiro;Han, Kyu-Ho;Park, Woo-Jun;Choi, Kang-Duk;Lee, Chi-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586-592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Korean soybean paste extracts (SPE) on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AAPH)-induced liver damage in rats. Thirty healthy Sprague Dawley ra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5 groups. Isoflavone contents were measured using HPLC technique.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in the plasma and liver of the rats with the following results. Levels of isoflavone in fermented soy paste, red pepper paste and soy sauce were 28.9, 30.3 and $3.4\;{\mu}g/g$ for daidzein and 244.3, 187.7 and $6.1\;{\mu}g/g$ for genistein, respectively. The activities of glutamate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APH-treated group in the SPE-AAPH group (p<0.0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APH-treated liver tissue (P<0.05).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catalase 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by AAPH administration. The glutathione (GSH)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SPE-treated (Ed- confirm)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other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 led to increased anti oxidative activities against AAPH-induced peroxyl rad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