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18

검색결과 1,076건 처리시간 0.034초

Alditol Acetates의 분자구조 (The Structures of Alditol Acetates)

  • 박영자;박명희;신정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7-526
    • /
    • 1990
  • D-glucitol hexaacetate 와 xylitol pentaacetate의 결정구조를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D-glucitol hexaacetate 는 공간군 P2$_1$, 단위세포 상수는 a = 10.275 (2), b = 8.363 (1), c = 12.560 (5) $\AA$, $\beta$= 95.97 $(2)^{\circ}$; Z = 2이고, xylitol pentaacetate는 공간군이 P2$_1$/C이고, a = 18.126 (1), b = 11.422 (2), c = 8.649 (1) $\AA$, $\beta$ = 95.03 $(1)^{\circ}$이며 Z = 4이다. 회절세기는 diffractomerer로 얻었고,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밝혔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두 분자에 결쳐 결합의 평균길이는 C($sp^3)-C(sp^3$)가 1.514 (10), C($sp^3)-O: 1.444 (6),\; C(sp^2)-O: 1.347 (9),\; C(sp^2)=O: 1.197 (6),\; C(sp^2)-C(sp^3): 1.479(9){\AA}$이고, 평균 결합각도는 C($sp^3)-C(sp^3)-C(sp^3): 114.6 (17),\; O-C(sp^3)-C(sp^3): 109.4 (23),\; C(sp^2)-O-C(sp^3): 117.4 (6),\; O=C(sp^2)-O: 122.6 (6),\; C(sp^3)-C(sp^2)-O: 111.8 (7), C(sp^3)-C(sp^2)=O: 125.5 (4)${\circ}$이다. 두 분자내의 탄소 사슬들은 extended zigzag chain으로 되어 있어 D-glucitol과 xylitol 분자들의 conformation과는 다르다. Acetate group들의 각 원자들은 모두 한 평편상에 놓여있다.

  • PDF

참전복 치패에 대한 부착성 규조류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Benthic Diatoms for Newly Settl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한형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3-161
    • /
    • 2000
  • 10종의 부착성 규조류를 대상으로 참전복 치패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유생의 부착율을 실험 1에서 Rhaphoneis sp.가 31.6%, 실험 2에서는 P. tricornutum가 16.4%로 가장 높았다. 부착성 규조류를 먹이로 한 치패의 생존율은 실험1에서 Raphoneis sp.가 62.7%로 가장 높았고, N. incerta, C. schroderi, N. closterium 는 각각 56.8%, 55.2%, 54.3%로 비교적 높았으며, Navicula sp. (B-38)는 30.5%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실험 2와 3에서는 C. schroderi, N. incerta, P. tricornutum 및 Raphoneis sp.는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C. schroderi는 67.6%, 49.4%로 가장 높았다. 반면, H. marina (40.4%, 15.7%), Nitzschia sp. (39.1%, 27.1%), N. closterium (35.2%, 18.0%)은 비교적 낮았다. 치패의 성장에 있어서 일간성장량은 부착율과 생존율이 높았던 C. schroderi에서 최고 83.3 ${\mu}$m로 가장 높았고, 생존율이 낮았던 H. marina와 N. closterium은 19.9~38.7 ${\mu}$m로 가장 낮은 일간성장량을 보였다.

  • PDF

족태음비경근(足太陰脾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고찰(考察) (Anatomy of Spleen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4호
    • /
    • pp.65-7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omponent of Spleen Meridian Muscle in human, dividing into outer, middle, and inner part. Lower extremity and trunk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 blood vessels and the others, displaying the inner structure of Spleen Meridian Muscl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Spleen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the muscle, nerve and blood vessels. 2. In human anatomy, it is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a term of nerve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uscle of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Meridian Muscle. 3. The inner composition of meridian muscle in human arm is as follows ; 1) Muscle; ext. hallucis longus tend., flex. hallucis longus tend.(Sp-1), abd. hallucis tend., flex. hallucis brevis tend., flex. hallucis longus tend.(Sp-2, 3), ant. tibial m. tend., abd. hallucis, flex. hallucis longus tend.(Sp-4), flex. retinaculum, ant. tibiotalar lig.(Sp-5), flex. digitorum longus m., tibialis post. m.(Sp-6), soleus m., flex. digitorum longus m., tibialis post. m.(Sp-7, 8), gastrocnemius m., soleus m.(Sp-9), vastus medialis m.(Sp-10), sartorius m., vastus medialis m., add. longus m.(Sp-11), inguinal lig., iliopsoas m.(Sp-12), ext. abdominal oblique m. aponeurosis, int. abd. ob. m., transversus abd. m.(Sp-13, 14, 15, 16), ant. serratus m., intercostalis m.(Sp-17), pectoralis major m., pectoralis minor m., intercostalis m.(Sp-18, 19, 20), ant. serratus m., intercostalis m.(Sp-21) 2) Nerve; deep peroneal n. br.(Sp-1), med. plantar br. of post. tibial n.(Sp-2, 3, 4), saphenous n., deep peroneal n. br.(Sp-5), sural cutan. n., tibial. n.(Sp-6, 7, 8), tibial. n.(Sp-9), saphenous br. of femoral n.(Sp-10, 11), femoral n.(Sp-12), subcostal n. cut. br., iliohypogastric n., genitofemoral. n.(Sp-13), 11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4), 10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5), long thoracic n. br., 8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6), long thoracic n. br., 5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7), long thoracic n. br., 4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8), long thoracic n. br., 3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9), long thoracic n. br., 2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20), long thoracic n. br., 6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21) 3) Blood vessels; digital a. br. of dorsalis pedis a., post. tibial a. br.(Sp-1), med. plantar br. of post. tibial a.(Sp-2, 3, 4), saphenous vein, Ant. Med. malleolar a.(Sp-5), small saphenous v. br., post. tibial a.(Sp-6, 7), small saphenous v. br., post. tibial a., peroneal a.(Sp-8), post. tibial a.(Sp-9), long saphenose v. br., saphenous br. of femoral a.(Sp-10), deep femoral a. br.(Sp-11), femoral a.(Sp-12), supf. thoracoepigastric v., musculophrenic a.(Sp-16), thoracoepigastric v., lat. thoracic a. and v., 5th epigastric v., deep circumflex iliac a.(Sp-13, 14), supf. epigastric v., subcostal a., lumbar a.(Sp-15), intercostal a. v.(Sp-17), lat. thoracic a. and v., 4th intercostal a. v.(Sp-18), lat. thoracic a. and v., 3th intercostal a. v., axillary v. br.(Sp-19), lat. thoracic a. and v., 2th intercostal a. v., axillary v. br.(Sp-20), thoracoepigastric v., subscapular a. br., 6th intercostal a. v.(Sp-21)

  • PDF

섬유소 분해능을 가진 불완전 균류의 분류 (Taxonomic Studies of Cellulose Decomposing Fungi Imperfecti)

  • 안원근;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70-76
    • /
    • 1990
  • Cellulose를 분해하는 균주를 자연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형태적 관찰, 생리적 특성 등을 검토하였고 F.P Cellulase, CMCase, ${\beta}-glucos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11속, 21종이 동정되었으며 속분류검색에 있어 기본적인 차이점을 보이는 5종을 선정하였다. 동정 결과는 Acremonium sp., Trichoderma viride., 미동정된 Trichoderma SP., Verticillium intertexum., verticillium malthousei 이었다. 효소활동은 Trichoderma viride로 동정된 균주가 비교적 높아보였다.

  • PDF

Aniline 분해균주 Burkholderia sp. HY1과 Delftia sp. HY99에서 유래된 Aniline Dioxygenases 유전자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iline Dioxygenase Genes from Aniline Degrading Bacteria, Burkholderia sp. HY1 and Delftia sp. HY99.)

  • 강형일;오계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4-11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단일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aniline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 Bukholderia sp. HY1과 Deiftia sp. HY99로부터 aniline의 첫 번째 분해 단계에 관련된 aniline dioxygenas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고 비교하였다. 한 개 이상의 플라스미드 DNA를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조사된 B.a sp. HY1에서 유래된 플라스미드의 curing 실험을 통해, B. sp. HY1의 aniline oxygenase는 플라스미드가 아닌 염색체 DNA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 sp. HY1과 D. sp. HY99에서 유래된 aniline dioxygenase small subunit는 146개 아미노산을 기준으로 약 79%의 상동성을 보였다. 특히, B. sp. HY1으로부터 얻어진 ado2는 aniline dioxygenase small subunit의 terminal dioxygenase에 속하는 것으로 Frateuria sp. ANA-18의 tdnA2와 99%, 그리고 Delftia sp. HY99의 ado2는 Delftia sp. AN3의 danA2와 99% 이상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두 균주에서 얻어진 catechol oxygenase의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B. sp. HY1은 catechol 1,2-dioxygenase에 의해 ortho pathway를 D. sp. HY99는 catechol 2,3-dioxygenase에 의해 meta pathway를 운영할 것이라는 이전 보고를 강력하게 뒷받침해 주었다.

Bacillus sp. SSA3 균주의 Expression Vector 개발 (Construction of Expression Vector of Bacillus sp. SSA3 Strain)

  • 조윤래;김종규;권대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7-641
    • /
    • 1992
  • 한국 재래식 된장.간장 발효균 Bacillus sp. SSA3 균주의 expression vector를 개발하기 위해 Bacillus sp. SSA3의 chromosomal DNA로부터 유전자의 promoter 부위를 cloning 하였다. Recombinant plasmid를 제작하기 위하여 Bacillus sp. SSA3의 chromosomal DNA을 HindIII로 절단한 단편을 pGR71 plasmid의 CAT gene과 pUC18 plasmid의 $\beta$-galactosidase gene의 전방에 삽입시킨 후, E.coli JM109에 형질전환하였다.E. coli JM109의 chloramphenicol 내성 clones으로부터 6 recombinant plasmid를 선별하였다. 이들 선별된 plasmid는 Bacillus sp. SSA3의 expression vector로 사용시 각 재조합 plasmid 중에 삽입된 promoter의 염에 대한 영향의 정도를확인하기 위해 10% NaCl이 첨가된 LB medium상에서 배양하였을 때, 이들 중 Bacillus sp. SSA3의 4 clones은 융합 CAT gene의 발현이 강하게 감소되었으나 2 clones은 약하게 저해되었다.

  • PDF

난 썩음병균 Fusarium sp. KS-01의 분리 및 계통학적 분석 (Isol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Orchid Rotting Fungus, Fusarium sp. KS-01)

  • 박인재;신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2-94
    • /
    • 2005
  • 동양란에 썩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병원균은 배양학적으로나 형태학적으로 Fusarium 속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고, PCR 기법을 사용한 18S rRNA 염기서열을 분석결과 Fusarium 속의 균류와 매우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계통학적 분석결과, 본 균주는 Fusarium sp. LP-A2/3(AF548314)과 가장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부패병변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Isolated from Rotted Onions (Allium cepa))

  • 이찬중;임시규;김병천;박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8-254
    • /
    • 2005
  • 경남 창녕, 의령, 함양지역의 양파 주산지에서 수집한 부패 양파로부터 분리한 세균 139 균주의 약 $18\%$가 CMCase 활성을, $53\%$가 PGase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분리균중 PGase를 생성하는 균주를 중심으로 선별한 45 균주 중에서 31 균주가 양파 부패 활성을 나타냈고, FAMEs분석에 의해 Pseudomonas속 18주, Bacillus속 11주, Yersinia속 7주 및 기타 9주로 분류되었다. 이 dendrogram상에서 Pseudomonas는 부패 활성 유무에 따라 clustering이 가능하였다. Bacillus속은 CMCase와 PGase활성이 높았으나 부패 활성은 약했으며, Pseudomonas속은 Bacillus속에 비해PGase의 활성이 훨씬 약했으나 양파 전체 조직을 연화시켜 물렁하게 만드는 강력한 부패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2}$ cfu 정도만 접종하여도 부패증상을 일으켰다. 병원성이 강한 Pseudomonas는 P. gladioli로 동정되었는데 양파부패균으로서 국내에서 분리 동정은 첫 보고로 생각된다. P. gladioli는 B. subtilis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균의 생육과 PGase활성이 양호하였다. 또 B. subtilis PGase의 활성 최적 pH가 9.0인데 비해 P. gladioli는 양파의 산도인 pH $5.0\∼6.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Pseudomonas속 세균이 저온 저장 중의 양파의 주요 부패 원인균의 하나라 추정된다.

한천 분해균(Cytohaga sp. ACLJ-18)이 생산하는 agarase의 정제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garase from Cytophaga sp. ACLJ-18)

  • 주동식;송해미;이정석;조순영;이응호
    • KSBB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320-324
    • /
    • 1998
  • Agar degrading enzyme-agarase-was purified from the culture fluid of Cytophaga so/ ACLJ-18, by acetone precipitation, DEAE-Cellulose, Sephadex G-100 and CM-Sephadex C25 column chromatographies. The molecular weight of purified agarase was estimated to be 24,700 dalton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agarase activity were 7.0 and 40$^{\circ}C$, respectively. this agarase was stable in the pH range of 6.5 - 8.0 and 40$^{\circ}C$, and required 0.35M NaCl for optimum activity. And this agarase was inhibited by metal ions such as Ba2+, Cu2+, Co2+, Mn2+, Hg2+, Zn2+, and showed specificity on agar.

  • PDF

A Novel PPARγ Agonist, SP1818, Shows Different Coactivator Profile with Rosiglitazone

  • Park, Yun-Sun;Choi, Ji-Won;Kim, Kun-Yong;Lim, Jong-Seok;Yoon, Suk-Joon;Yang,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1호
    • /
    • pp.77-82
    • /
    • 2010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is a ligand-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used as a target for anti-diabetic drug development. In a search for novel PPAR${\gamma}$ agonists, the $\beta$-carboxyethyl-rhodanine derivative SP1818 was identified. We report here the characteristics of SP1818 as a selective PPAR${\gamma}$ agonist. In transactivation assays, SP1818 selectively activated PPAR${\gamma}$, but the degree of PPAR${\gamma}$ stimulation was less than with $1{\mu}M$ rosiglitazone. SP1818 also stimulated glucose uptak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markers adiponectin, scavenger receptor CD36 and aP2 were weakly induced by treatment with SP1818, and TRAP220 subunit was specifically recruited into PPAR${\gamma}$ activated by rosiglitazone but not PPAR${\gamma}$ activated by SP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