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 monitoring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3초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뱀장어(Anguilla japonica) 질병 모니터링: 혈관내피세포감염바이러스(JEECV)와 Edwardsiella anguillarum의 중요성 (Monitoring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diseases from 2021 to 2023: significance of Japanese Eel Endothelial Cells-infecting Virus (JEECV) and Edwardsiella anguillarum)

  • 김현경;장문희;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9-250
    • /
    • 2023
  • 최근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서 발생하고 있는 질병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병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는 폐사가 발생한 7개의 양만장 유래의 뱀장어를 7회 검사하였다. 모든 양만장에서 JEECV가 검출되었고 양만장마다 1-2종의 세균 (Edwardsiella anguillarum, E. piscisida, Aeromonas sp., Citrobacter freundii, Lactococcus garviae 혹은 Vibrio sp.)이 복합감염이 일어나 있었다. 2022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는 전라남도 영광의 한 양식장에서 매달 정기적으로 총 22회 검사를 실시하였다. JEECV가 22회 검사 중 10회 검출되었고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시기에도 꾸준히 검출되었다. 세균으로는 E. anguillarum, C. freundii, Aeromonas sp.와 Vibrio sp가검출되었으나 E. anguillarum이 분리된 개체만이 간의 농양과 출혈 병소가 일관되게 관찰되었고 다른 세균은 임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모니터링의 결과를 종합하면 양만장에서의 폐사는 JEECV 단독감염보다는 JEECV가 세균과 복합감염일 경우에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뱀장어의 폐사를 줄이기 위해서는 JEECV와 E. anguillarum의 관리에 중점을 두고 복합감염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배과원에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과 유사종 복숭아순나방의 페로몬 트랩 교차 유인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in Korean Pear Orchards and Cross-trapping of Its Sibling Species, Grapholita molesta, to a Pheromone Lure)

  • 정충렬;안정준;엄훈식;서정흔;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79-484
    • /
    • 2012
  • 최근 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의 발생이 보고되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는 이와 유사한 복숭아순나방(G. molesta)이 발생하는 또 다른 기주에서도 동시에 발생이 가능하다고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여러 지역의 배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이 있음을 보고한다.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종 동정은 형태적 특징과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이들 두 종의 공통된 성페로몬 주성분으로 상호 교차 포획이 이뤄질 수 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페로몬트랩에 복숭아순나방붙이와 복숭아순나방이 포획되고, 복숭아순나방 페로몬트랩에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가 포획되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트랩에 이뤄진 교차 포획비율은 지역적으로 다른 배과원에서 상호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더욱이 이 두 종의 발생 피크도 조사한 모든 야외 지역에서 시기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배 과수원에서 두 종의 성페로몬 트랩으로 얻은 모니터링 자료는 각각 서로 다른 종의 포획이 혼재하며, 이는 해당종의 발생빈도와 발생밀도가 확대 해석될 수 있음을 본 연구 자료는 제시하고 있다.

해수침투 저감을 위한 담수주입시험 및 지구물리 모니터링 (Fresh Water Injection Test to Mitigate Seawater Intrusion and Geophysical Monitoring in Coastal Area)

  • 박권규;신제현;황세호;박인화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4호
    • /
    • pp.353-36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담수 주입에 의한 해수침투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담수주입 현장 실증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담수 주입 효과 및 거동 평가를 위해 시추공에서의 다채널 전기전도도 모니터링과 물리검층, 지표에서의 전기비저항 및 자연전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담수주입 전후 및 주입 기간 중 수행된 물리검층과 다채널 전기전도도 모니터링 결과 담수 주입에 따른 공내수 및 대수층의 전기전도도의 감소 양상과, 이러한 주입효과가 수개월 이상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수주입에 따른 지하수의 유동 탐지를 목적으로 한 자연전위 모니터링의 경우, 현장 기상 여건 및 비분극 전극의 장기간 활용에 따른 문제로 인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전기비저항탐사 모니터링의 경우에는 주입 담수에 의한 영향이 주입정 주위의 전기비저항 증가 양상으로 관측되어 담수체 거동과 영향 반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담수주입에 의한 담수체의 거동 평가와 개선효과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지구물리 기법들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평가기술에 기반 한 최적설계가 이루어질 경우 담수주입기술이 해수침투 피해 개선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ison of Seed Viability Among 42 Species Stored in a Genebank

  • Lee, Ho-Sun;Jeon, Young-Ah;Lee, Young-Yi;Lee, Sok-Young;Kim, Yeon-Gy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32-43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eed viability among 42 species after ten years of storage in the midterm storage complex ($4^{\circ}C$, 30-40% RH) at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C) Korean genebank maintain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Republic of Korea and to suggest the relative seed longevity and suitable monitoring intervals. The germination data from initial tests and after ten years of storage were compared to measure changes in viability during storage. The decline in seed viability varied greatly among seeds from -11.5% for Triticum sp. to 80% for melon. Coriander, crowndaisy, safflower, cosmos, Chinesebellflower, waxgourd, melon, castorbean, Welch-onion, hollyhock, wild barley, and tallfescue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viability of 34.2%, 73.4%, 36.5%, 30.0%, 40.2%, 71.3%, 80.0%, 65.9%, 45.5%, 51.4%, 53.0%, and 33.5%, respectively. Gardenpea, soybean, perilla, onion, wild rice, Italian-ryegrass, and pepper showed a 15-30% decline in viability, while the viability of morningglory, adzukibean, maize, and Capsicum sp. decreased by 15% to 5%. Chicory, radish, Chinese-cabbage, bottlegourd, watermelon, cucumber, pumpkin, Cucurbita sp., groundnut, kidneybean, clubwheat, sesame, wheat, Triticum sp., rice, barley, orchardgrass, buckwheat, and wild tomato showed changes in viability of <5%. The changes in storage viability also varied within families. The wild types of rice and barley showed rapid viability loss and presented different aspects from cultivars. Since seed viability of species, classified as index 1 or 2, showed germination losses >15% after ten years of storage, a viability test should be conducted with five year intervals, while species with germination loss of <15% (in index 3 or 4) can be retested at ten year intervals.

교차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정화제품에서 미생물 오염도 분석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Air Purifier for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 염승목;김영목;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1-209
    • /
    • 2016
  • 실내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기청정 기능과 습도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춘 제습기와 공기청정기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공기정화제품을 사용하게 될 시에는 필터가 오염되어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사용한 공기정화제품을 수거하여 주요 부위별 미생물 오염도 및 주요 오염 미생물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 종류의 공기정화제품에서 오염도가 높은 부위는 필터부위, 물이 직접 닿는 부위 및 공기가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입구부위 등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공기정화제품은 사용하는 환경과 조건에 따라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오염 미생물의 성상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공기정화제품들에는 공통적으로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그리고 Bacillus sp.의 세균과 Cladosporium sp. 및 Penicillium sp.의 진균이 공통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우점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흐름 전위 특성을 고려한 수리시설물에서의 자연 전위 탐사 사례 고찰 (A Review on Past Cases of Self-potential Surveys for Dikes and Embankments Considering Streaming Potential)

  • 송서영;조아현;강경철;남명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1-17
    • /
    • 2021
  • Self-potential (SP) surveys measure naturally occurring differences in electrical potential in the absence of artificial sources and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since the first application in mineral explorations. Among various causes of SP occurrences, streaming potential is generated by the flow of groundwater, and makes SP surveys suitable for the exploration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fractures, sinkholes and landslide occurrences. Recently, there has been many studies that applied SP surveys to monitor water leakage through dikes and embankments. In this review paper, we first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streaming potential in saturated or unsaturated porous media to introduce it in the embankment among various application field. After the review of the background theory, we review the past cases of field SP surveys on dikes and embankments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streaming potential data in the surveys. Further, by analyzing past studies of qual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SP survey data, we show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streaming potential data obtained on dikes and embankments. Consequently, it is hope that this review paper helps researches on SP surveys on dikes and embankments, and provides basis for interpretation methods of the SP data to identify leaked area and further leakage rate (or permeability).

비데용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the ubiquitous health care module for a bidet)

  • 한영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31-9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비데에 장착하여 체지방 및 심박동수 혈중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노인, 만성피로환자, 심장질환자, 과로한 업무종사자 등의 사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체지방 혈중산소포화도 평균심박동수 등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급작사를 예방할 수 있도록 비데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모듈을 제작하였다.

Monitoring of Algal Bloom at Seomjin River Estuary, Southern Coast of Korea

  • Yoo, Jong-Su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61-363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eomjin River estuary to identify the causative species of algal bloom and their blooming cycle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4 stations in every week from April to December of 1999. Thirty species were observed as the causative species of alga bloom.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 and microflagellate spp. (mixed red tide: Chroomonas sp. and two species of Prasinophycea) made algal blooms during the present study period. In addition, toxic algal species of diatom Pseudo-nitzschia multiseries and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minata were observed. The algal blooms were caused by microflagellate spp. in June, Thalassiosira sp. in July and Skeletonema costatum in August. Generally, the algal blooms persisted for about 5 days in this area.

맥박산소측정기(pulse oximetry)를 이용한 치수 생활력 측정과 기존 방법과의 비교 (Pulp Vitality Evaluation and Comparison with Old Methods Using Pulse Oximetry)

  • 권익재;서광석;김정욱;장주혜;공현중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3
    • /
    • 2012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pulp vitality of anterior permanent teeth using pulse oximetry (PO), which is already used for monitoring of patient's $SpO_2$ and pulse rates (PR). Also we compared with ice tests and electric pulp test (EPT). Methods: 9 teeth, endodontic treated, were selected as non-vital teeth group. 17 vital teeth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Our aim is to compar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ice test, electric pulp test and pulse oximetry, respectively. Pulse oximetry has two test results, $SpO_2$ and pulse rates. Also we calculated correl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s by Pearson's test between EPT and pulse oximetry. Results: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were calculated on each tests. Ice test has results of 1.00, 0.89, 0.94 and 1.00, respectively. EPT has results of 0.94, 0.78, 0.89 and 0.88 respectively. $SpO_2$ has results of 0.94, 1.00, 1.00 and 0.90, respectively. PR has results of all 1.00. Conclusions: PO showed relatively accurate, stable and objective results on both $SpO_2$ and PR. Percentage of ability of accurate diagnosis for vital teeth is 94% for ice test, 89% for EPT, 100% for $SpO_2$ and PR. Percentage of ability of accurate diagnosis for non-vital teeth is 100% for ice test, 88% for EPT, 90% for $SpO_2$ and 100% for PR. In additions, PR could be more accurate and significant tests than $SpO_2$.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for Standard Precaution of Healthcare Workers of General Hospital for Infection Control)

  • 오지은;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1-249
    • /
    • 2018
  • 본 연구 목적은 종합병원 의료종사자 감염관리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환경 및 인지도가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으로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대상은 종합병원 의료종사자 262명으로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환경, 인지도 및 수행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주의에 대한 수행도는 태도(r=.18, p=.003), 안전환경(r=.42, p<.001), 인지도(r=.63, p<.001)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beta}=0.57$)와 안전환경(${\beta}=0.31$)이었다. 따라서 표준주의 수행 향상을 위해 인지도와 안전환경을 향상시키고 직종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과 모니터링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