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 monitoring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5초

Laser pose calibration of ViSP for precise 6-DOF structural displacement monitoring

  • Shin, Jae-Uk;Jeon, Haemin;Choi, Suyoung;Kim, Youngjae;Myung, Hyu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8권4호
    • /
    • pp.801-818
    • /
    • 2016
  • To estimate structural displacement, a visually servoed paired structured light system (ViSP) wa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The ViSP is composed of two sides facing each other, each with one or two laser pointers, a 2-DOF manipulator, a camera, and a screen. By calculating the positions of the laser beams projected onto the screens and rotation angles of the manipulators, relative 6-DOF displacement between two sides can be estimated. Although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has been verified through various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tests, it has a limitation that the accuracy of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depends on the alignment of the laser pointers. In deriving the kinematic equation of the ViSP, the laser pointers were assumed to be installed perfectly normal to the same side screen. In reality, however, this is very difficult to achieve due to installation errors. In other words, the pose of laser pointers should be calibrated carefully before measuring the displacement. To calibrate the initial pose of the laser pointers, a specially designed jig device is made and employed. Experimental tests have been performed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alibration metho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displacement with the initial pose calibration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6-DOF displacement estimation.

한국의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2020년 예찰조사 보고 (Reporting the Results of Monitoring Nine High Risk Insect Pests of South Korea in 2020)

  • 이효빈;김효중;이승환;홍기정;정철의;김동순;박종석;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57-361
    • /
    • 2021
  •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국 7개 권역, 78지역, 222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2,045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종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는 201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3년동안의 조사연구를 통해 7개 대학이 참여하는 전국단위의 외래해충 감시체계가 구축되었고 예찰조사 거점 지역들을 확보하였다.

실시간 지능형 운전자 건강 및 주의 모니터링 시스템 (Real-time Intelligent Health and Attention Monitoring System for Car Driver)

  • 신흥섭;정상중;서용수;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303-1310
    • /
    • 2010
  • 최근 운전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졸음운전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부품관련 센서개발 및 시스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운전자의 건강 상태 및 졸음운전을 점검하기 위해 체스트벨트 심전도 (ECG)와 손목착용형 산소포화도 (SpO2) 센서를 제작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심전도, 산소 포화도, 그리고 심장박동수 신호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수집, 전송 및 모니터링 등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원격지인 서버 PC와 연결된 베이스스테이션으로 수집된 심전도와 용적맥파 신호에서 HRV (Heart Rate Variability, 심박변이도) 신호를 검출하였으며, 검출된 HRV 신호를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을 통하여 운전자의 스트레스 지수 및 졸음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졸음상태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형태의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흐름 전위에 기초한 자연 전위 탐사법의 원리 및 활용 (A Technical Review on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elf-potential Method Based on Streaming Potential)

  • 송서영;남명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4호
    • /
    • pp.231-243
    • /
    • 2018
  • 흐름 전위는 지하 공극 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 전위로 이러한 흐름 전위를 이용한 자연 전위 탐사는 유체 흐름 뿐만 아니라 지층 유체에 대한 정보도 파악할 수 있는 탐사법이다. 지하 매질과 유체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 이중층과 같이 입자가 대전하고 있을 때 여러 원인에 의해 유체가 유동하여 발생하는 계면 동전기 현상 중 하나인 흐름 전위는, 발생 기작이 복잡하고 측정 전위 값이 비교적 작아 잡음에 취약하다는 어려움도 있지만 이를 이용한 자연전위 탐사는 인공적인 송신원이 없어 탐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반복성도 좋기 때문에 지층 유체 모니터링 탐사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흐름 전위의 발생 기작에 대한 연구와 지배 방정식들을 정리하여 설명한 뒤, 매질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따른 흐름 전위 반응 특성 및 다양한 국내외 유체 흐름 자연 전위 탐사의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기술보고에서는 흐름 전위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과 동시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분야를 소개함으로써, 국내에서의 흐름 전위를 이용한 자연전위 탐사의 현장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REVALENCE OF GASTRO-INTESTINAL NEMATODES IN GOAT AT CHITTAGONG HILLY AREAS OF BANGLADESH

  • Kamal, A.H.M.;Uddin, K.H.;Rahman,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343-345
    • /
    • 1993
  • Eight hundred and seventy on goats from Naikhongchari FSR site in Bandarban district were examined for gastro-intestinal nematodes. The parasites encountered in the region were Haemonchus Sp, Bunostomum Sp, Oesophagostomum Sp and Strongyloides Sp. The overall infection rate was 78.41%. Among various species found. Haemonchus Sp emerged as the most prevalent, although Oesophagostomum and Bunostomum were also found in this studies. The seasonal fluctuation in infection was assessed by monitoring the fecal egg count. The maximum values for the prevalence and overall mean EPG were observed after the heavy rain fall season and remained at a relatively high level from June to November. Haemonchus Sp and Oesophagostomum Sp appeared to be of major important parasites in the goats of this climatic zone which deserved proper treatment to attain higher production from goat.

신경계 중환자의 측정부위별 맥박 산소포화도의 비교 (Comparison of Arterial Oxygen Saturation Measured by Pulse Oximetry at Different Sensor Sites in Neurocritical Patients)

  • 전민정;황선경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4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peripheral pulse oxygen saturation (SpO2) values, measured at different monitoring sites, and arterial oxygen saturation (SaO2) of neurocritical patients. Methods : The study included 110 patients admitted to the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SpO2 values were measured in their index fingers, both second toes, both earlobes, and foreheads, using the patient monitoring system.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value of SaO2 measured using a blood gas analyze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valu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Lin's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s (CCC), and Bland-Altman plots. Result : Regardless of the measuring site, SpO2 was correlated with the paired measurements of SaO2 (r=.40~.60, p<.001, CCC range=.40~.58). No significant bias in paired measurements of SpO2 and SaO2 was observed at all sites (-0.06~0.19%, p>.05). SpO2 values at the left finger and right earlobe had the narrowest range, with a 95% limits of agreement (LOA) (left finger -3.04~2.93% and right earlobe -3.18~2.79%). SpO2 at the index finger, on the side without an arterial catheter, had a narrower range of 95% LOA than that of the opposing finger (-3.00~2.97% vs. -3.73~3.26%). Conclusion : SpO2 at the finger without an arterial catheter had the highest level of precision. This study suggests using the index finger, on the side without an arterial catheter, for pulse oximetry in neurocritical patients.

Monitoring of Microorganisms Added into Oil-Contaminated Microenvironments by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 JUNG SEONG-YOUNG;LEE JUNG-HYUN;CHAI YOUNG-GYU;KIM SA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1170-1177
    • /
    • 2005
  •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was used to monitor inoculated oil-degrading microorganisms during bioremedial treatability tests. A pair of universal primers, fluorescently labeled 521F and 1392R, was employed to amplify small subunit rDNA in order to simultaneously detect two bacterial strains, Corynebacterium sp. IC10 and Sphingomonas sp. KH3-2, and a yeast strain, Yarrowia lipolytica 180. Digestion of the 5'-end fluorescence/labeled PCR products with HhaI produced specific terminal-restriction fragments (T-RFs) of 185 and 442 bases, corresponding to Corynebacterium sp. IC10 and Y. lipolytica 180, respectively. The enzyme NruI produced a specific T-RF of 338 bases for Sphingomonas sp. KH3-2. The detection limit for oildegrading microorganisms that were inoculated into natural environments was determined to be $0.01\%$ of the total microbial count, regardless of the background environment. When three oil-degrading microorganisms were released into oil-contaminated sand microenvironments, strains IC10 and 180 survived for 35 days after inoculation, whereas strain KH3-2 was detected at 8 days, but not at 35 days. This result implies that T-RFLP could be a useful tool for monitoring the survival and relative abundance of specific microbial strains inoculated into contaminated environments.

2007년~2011년 하절기에 양식 넙치, 조피볼락, 참돔, 새우의 세균 및 기생충 감염 현황 (Monitoring of bacteria and parasites in cultured olive flounder, black rockfish, red sea bream and shrimp during summer period in Korea from 2007 to 2011)

  • 정승희;최혜승;도정완;김명석;권문경;서정수;황지연;김석렬;조영록;김진도;박명애;지보영;조미영;김진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1-241
    • /
    • 2012
  • 2007년~2011년 하절기에 국내 동 서 남해안과 제주의 육상양식장, 가두리 및 축제식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참돔 (Pagrus major),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의 총 2,413마리에 대하여 세균과 기생충의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2007년~2011년) 사이 어종별 병원체에 대한 감염양상을 종합하면, 기생충과 세균의 단독감염이 혼합 감염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단독감염 가운데 기생충이 세균보다 감염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넙치, 조피볼락, 새우에서 Vibrio spp. (V. harveyi, V. ichthyoenteri, Vibrio sp.)가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세균의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참돔에서는 Vibrio sp.와 P. damselae가 우점종 세균으로 검출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기생충은 넙치에서 스쿠티카충 (M. avidus)과 트리코디나충 (Trichodina sp.), 조피볼락에서 아가미흡충 (M. sebastes), 참돔에서 아가미흡충 (M. tai), 새우에서 섬모충 (Zoothamnium sp.) 으로 나타났다.

2019년 한국의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of South Korea in 2019)

  • 이지은;이효빈;김소라;김효중;이승환;홍기정;정철의;김동순;박종석;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03-207
    • /
    • 2020
  •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7개 권역에서 실시하였다. 총 7권역, 87지역, 288지점에서 총 12,285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완료하였으며, A. diospyri, B. dorsalis, B. minax, B. tsuneonis, C. pomonella, L. botrana, Proeulia sp., S. invicta,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 연구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고위험 해충의 전국단위의 감시체계를 구축 및 예찰조사 거점 지역을 확보하였다.

생체신호 측정에 의한 실시간 지능형 운전자 건강 및 주의 모니터링 시스템 (Real-time Intelligent Health and Attention Monitoring System for Car Driver by Measurement of Vital Signal)

  • 신흥섭;정상중;서용수;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5-548
    • /
    • 2009
  • 최근 운전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졸음운전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부품관련 센서개발 및 시스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운전자의 건강상태 및 졸음운전을 점검하기 위해 체스트벨트(ECG)와 손목착용형 산소포화도($SpO_2$) 센서를 제작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심전도, 산소포화도, 그리고 심장박동수 신호는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수집, 전송 및 모니터링 등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원격지인 서버 PC와 연결된 베이스스테이션으로 수집된 심전도와 용적맥파 신호에서 HRV(Heart Rate Variability, 심박변이도) 신호를 검출하였으며, 검출된 HRV 신호를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을 통하여 운전자의 스트레스 지수 및 졸음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졸음 상태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형태의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