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S Chromotes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19초

감마선 조사된 장류의 SOS Chromotest에 의한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Korean Soybean Fermentation Foods by SOS Chromotest)

  • 육홍선;김동호;이주운;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8
    • /
    • 2001
  • 우리나라 전통 장류의 위생화와 저장.유통안정성 확보를 위해 20 kGy 감마선 조사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의 독성학적 안전성을 SOS Chromotest로 측정하였다. 대사활성계(S-9 mix) 존재 유무의 조건하에서 Escherichia coli PQ37을 SOS Chromotest 균주로 사용하였다. 시료는 물추출물, 용매추출물을 준비한 후 농축하여 S-9 mix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조건에서 SOS Chromotes에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10,00$\mu\textrm{g}$/assay의 투여 농도에서 1.5이하의 IF값을 유지했으며 조사된 모든 시료는 비조사구와 차이가 없었고, 20 kGy로 조사된 전통장류에서 어떠한 돌연변이원성도 발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OS Chromotest에 의한 사과의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Browning Products Reacted with Polyphenol Oxidase Extracted from Apple by Using SOS Chromotest)

  • 백창원;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8-624
    • /
    • 1990
  • 사과(Jona gold)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와 polyphenol 화합물인 catechol, hydroquinone, homocatechol, hydroxyhydroquinone 그리고 pyrogallol 용액과 반응시켜 얻어진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였다. SOS spot test와 SOS chromotest에 사용된 균주는 E. coli PQ37/plasmid pKM101 균주이며 spot test에서 위 다섯 종류의 시료 모두 갈변용액의 농도를 증가시켜 줌에 따라서 mitomycin C(MMC), 4-nitroquinoline-1-oxide(4NQO), 그리고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등의 발암물질들에 대해서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SOS chromotest에서도 발암물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갈변용액의 농도증가에 따라 MMC, MNNG, 4 NQO 그리고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 (Trp-P-1) 등에 대해서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게르마늄 수용액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ity of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 김은정;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30-935
    • /
    • 2004
  •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유기 게르마늄과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였다. 균주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B$_1$에 의하여 유발된 돌연변이는 Ge-132와 게르마늄 가루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기 게르마늄을 20 mg/plate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87%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똑같은 실험계에서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즙액과 methanol 추출물은 수돗물로 재배한 콩나물에 비하여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와 4-NQO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는 일반콩나물의 즙액을 200 $\mu$L/plate 첨가하였을 때 각각 37∼39%, 38∼48%의 저해효과를 나타낸 반면 같은 농도에서 게르마늄 콩나물의 즙액은 61%와 75%의 억제율을 나타내어 게르마늄 첨가 콩나물은 간접 돌연변이원뿐만 아니라 직접 돌연변이원에 의해서 유발된 돌연변이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E. coli PQ37 균주를 사용한 SOS chromotest에서 유기 게르마늄은 사용된 농도의 증가에 따라 돌연변이 유발억제작용이 증가하였으며, 게르마늄 콩나물의 methanol 추출물은 일반 콩나물에 비하여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통하여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은 수돗물로 재배한 콩나물에 비하여 항돌연변이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Ames 실혐계 및 SOS Chromotest에서 Linolenic acid의 돌연변이유발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Linolenic Acid on the Mutagens-Induced Mutagenicities in Ames Assay System and SOS Chromotest)

  • 임선영;이슥희;박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21-125
    • /
    • 1995
  • To determine whether the omega 3 family, linolenic acis(LnA) is effective to inhibit carcinogens/mutagens-induced mutagenesis, we employed the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of TA100 and the SOS chromotest using Escherichia coli PQ37 strain. The inhibitory effect of LnA shown in the Ames assaying system was 95%, 78% and 73% when the mutagenicities were mediated by AFB$_{1}$, MNNG and 4-NQO, respectively. LnA shows a strong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indirect mutagen of AFB$_{1}$, whereas the same concentration of LnA exhibited weaker inhibitory effects on the direct mutagen of MNNG and 4-NQO than that of AFB$_{1}$. However. LnA reduced more than 80% of SOS responses induced by MNNG and 4-NQO when the adding concentration increased to 5%. We conclude that LnA contains in vitro antimutagenic properties and that this finding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both in vitro and in vivo to assess its possible chemotherapeutic potential.

  • PDF

된장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와 in vivo 초파리 돌연변이 검출계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Mutagenicity Using in vitro SOS Chromotest and in vivo Drosophila Mutagenic System)

  • 임선영;이숙희;박건영;윤희선;이원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2-1438
    • /
    • 2004
  •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 ${\mu}$g/assay 첨가시 9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87%의 억제효과를 가졌고, 청국장, 미소, 원재료인 콩과 콩/밀가루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즉 헥산,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100 ${\mu}$g/assay 첨가했을 때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각각 73%, 73%, 91%, 95%, 82%, 73%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높았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초파리의 wing hairs spots 시스템의 small mwh spots의 경우, $AFB_1$ 단독 처리군을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 100%로 기준해서 된장 메탄올 추출물 2.5%, 5%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22%, 30%의 낮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들 중 가장 활성이 높았던 된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10%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97%의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가짐으로 낮은 농도에서부터 강하게 체세포 돌연변이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large mwh spots의 경우는 된장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의 낮은 농도에서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이나 mwh+ 좌위에 유전자 돌연변이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in vitro SOS chromotest에서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 작용을 나타냈고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 vitro와 in vivo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된장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는 분획물로 추정되어진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s)

  • 함승시;강신태;최근표;박원봉;이득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59-36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utagenecity and antimutagenic effects from crude extract, heating extract and alcohol extract of Korean mistletoe(Viscum album L.) on the bacterial short-term tests, such as Ames test, spore rec-assay, SOS spot test and SOS chromotest by using several kinds of mutagens. In the Ames test, each extract did not show any mutagenesis, but each extract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80∼95% and 70∼94% against mutagenesis induced by 3-amino-1, 4-dimethyl-5H-pyrido[4,3-b] indole(Trp-P-1) and 2-aminofluorene(2-AF)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respectively. In th spore rec-assay, mistletoe ectracts showed antimutagenic effect with inhibiton zone in the range of 5∼11mm against mutagenicity induced by mitomycin C(MMC, 18mm)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ne (MNNG, 24mm), respectively. The heating and alcohol extracts in the SOS chromotest showed 96% and 70% inhibition against benzo-α-pyrene[B(α)P] and Trp-P-1 induced mutagenesis, respectively.

  • PDF

SOS Chromotest 및 Ames test에서의 Chloropropanol류의 변이원성 (Mutagenicity of Chloropropanols in SOS Chromotest and Ames Test)

  • 송근섭;한상배;엄태붕;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64-1469
    • /
    • 1998
  • 3-Chloro-1,2-propanediol (3-MCPD), 1,3-dichloro-2-propanol (1,3-DCP), 2,3-dichloro-1-propanol (2,3-DCP)과 같은 chloropropanol들이 일부 식품에서 검출됨으로서 위해성 논란이 제기되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미생물 시험계에서의 chloropropanol류의 유전독성 및 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E. coli PQ37에서는 1,3-DCP를 제외한 3-MCPD와 2,3-DCP는 뚜렷한 용량반응 관계를 보이며 SOS반응 유도활성을 나타내어 유전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3-MCPD보다는 2,3-DCP가 강한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 PQ35 (PQ37 $uvrA^+)$에서는 SOS반응 유도활성이 E. coli PQ37에서 보다 매우 낮은 반면에, E. coli PQ243 (PQ37 tagA alkA)에서는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서 이들 물질에 의하여 유도되는 DNA 손상은 절제수복에 의해 수복될 수 있는 손상과 절제수복에 의해 수복되지 않으며 adaptive response를 유도할 수 있는 3-methyladenine 또는 이와 유사한 손상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도 3-MCPD와 2,3-DCP는 뚜렷한 용량반응 관계를 보이며 강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으나 SOS Chromotest에서와는 달리 1,3-DCP 또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냈으며, 변이활성정도는 2,3-DCP>3-MCPD>1,3-DCP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 typhimurium TA98과 TA97a에서는 돌연변이활성이 미미하게 나타남으로서 chloropropanol류에 의한 돌연변이는 주로 염기치환에 의한 작용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S. typhimurium TA1535 (-R factor plasmid)에서 3-MCPD와 2,3-DCP의 돌연변이활성이 S. typhimurium TA100에 있어서 보다 상당히 낮은 결과로부터 이들 물질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은 주로 SOS수복 의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Amestest와 SOS Chromotest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3-MCPD와 2,3-DCP는 3-methyladenine 또는 이와 유사한 DNA 손상에 의한 SOS수복 비의존성 돌연변이 및 SOS반응 유도성 손상, 특히 절제회복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손상에 의한 SOS수복 의존성 돌연변이를 동시에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차(韓國茶) 원료(原料)에 대한 독성(毒性) 연구(硏究) -변이원성(變異原性) 검색(檢索)- (Toxicological Study on Korean Tea Materials: Screening of Potential Mutagenic Activities by Using SOS-Chromotest)

  • 방형애;이용욱;서난주;장일무
    • 생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3-87
    • /
    • 1990
  • In terms of regulatory toxicology, especially for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problems can be arise from a fact that there is no distinctive barrier between herbal drugs and food/beverage. An example is that many kinds of Chinese herbal materials have been also used as tea materials in Korea, China, Japan and Vietnam. Sixteen tea materials (also used as herbal materials)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 extract further partitioned with chloroform and water. Those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were subjected to the SOS-Chromotest to examine potential mutagenicity. It was found that ethanol extract of Chaenomelis Fructus (Chaenomeles japonica Lindley, 木瓜, Rosaceae) and both ethanol extract and water fraction of Cassiae Semen (Cassia tora Linne, 決明子, Leguminosae) showed relatively high mutagenic activities in SOS-Chromotest.

  • PDF

메주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Meju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박건영;이숙희;최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6-81
    • /
    • 2007
  • 메주의 헥산 및 메탄올 추출물과 그것을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들에 의한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항돌연변이 효과 및 SRB assay를 이용한 인체 암세포들의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OS chromotest 실험계의 경우, 첨가농도 $100{\mu}g/assay$에서 메주의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91%, 91%로 MNNG에 대하여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와 Hep 3B 인체 간암세포를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실험한 결과, 메주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은 첨가농도 $200{\mu}g/assay$에서 각각 93% 및 91%로 암세포 성장을 크게 저해시켰고 그 저해 효과는 디클롤메탄 분획물보다 더 높았다. 인체 위암세포인 AGS를 이용한 SRB assay을 이용한 억제 효과 실험에서 메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인체 위암 및 간암세포의 증식을 각각 64% 및 71%로 억제하여 분회물들 중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고 헥산 및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그 다음으로 억제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메주와 된장이 여러 종류의 미생물, 곰팡이류와 세균류들에 의해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재료인 콩에서는 없었던 혹은 함량이 적은 성분들이 생성되거나 증가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