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1

검색결과 2,048건 처리시간 0.032초

Intragastrically Applicated CCl4-Thiopental Sodium Enhanced Lipid Peroxidation and Liver Fibrosis (Cirrhosis) in Rat: Malonedialdehyde as a Parameter of Lipid Peroxidation Correlated with Hydroxyproline as a Parameter of Collagen Synthesis (Deposition)

  • Kim, Ki-Young;Cho, Syung-Eun;Yu, Byung-S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71-78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pathogenesis of liver tissue damage during the lipid peroxidation and fibrogenesis with the observation of correlations between the parameters of collagen synthesis (and deposi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liver fibrosis (cirrhosis) rats.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normal and $CCl_4$-thiopental sod. intoxicated group. And the one group was treated intragastrically with the mixture of $CCl_4$-thiopental sod. 3 times per week for 3 weeks. The liver tissue and sera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hydroxyproline (HYP), malonedialdehyde (MDA)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total-bilirubin and blood urea nitrogen (BUN) were measured.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collagen ${\alpha}1$(III) and $\beta$-actin mRNA was observed by RTPCR. The histological change in liver tissue was also observed by Masson's trichrome and H&E staining.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by Spearman's rho method. All biochemical parameters except total-bilirub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Cl_4$-thiopental sod. treated group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p < 0.01). In the $CCl_4$-thiopental sod. treated group, Hyp as a parameter of collagen synthesis (deposition) and MDA as a metabolite of lipid peroxidation,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y 1.98 and 2.11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p < 0.001)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SOD in the $CCl_4$-thiopental sod. treated group is decreased significantly by 44.8% (p < 0.001). And collagen ${\alpha}1$(III) mRNA was more expressed in the $CCl_4$-thiopental sod. treated group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expression of $\beta$-actin mRNA is showed similar in both of groups. A good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ent of hyp and MDA concentration (r = 0.70, n = 40) in the two group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hyp and SOD (r = -0.71, n = 25) is also reliable. However, no correlation were observed between MDA concentration and SOD (r = -0.40, n = 25) in the two groups. Elevated levels of MDA in $CCl_4$-thiopental sod. treated rats indicated enhancement of lipid peroxidation, which i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SOD activity. Moreover, we could confirm that the parameters of collagen synthesis (and deposition) is in good correlation with the metabolite of lipid peroxidation (MDA) and the lipid peroxidation antagonizing enzyme (SOD). Hence, we propose that (1) lipid peroxidation and collagen synthesis (and deposition) could be enhanced by intragastrically application of $CCl_4$-thiopental sod. during a short terms. And (2) the intoxication of $CCl_4$-thiopental sod. could be used for monitoring of lipid peroxidation and collagen synthesis (and deposition) for test of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agent.

Iron Superoxide Dismutase( Fe-SOD)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선발 및 배양 (Selection and Cultivation of Microorganism Producing Iron Superoxide Dismutase(Fe-SOD))

  • 이태호;정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20-1026
    • /
    • 1994
  • 비교적 연구가 미비한 Fe-SOD의 효소화학적 특성 및 그 생리적 기능을 검토하기 위해 여러 종의 세균을 대상으로하여 Fe-SOD의 고생산균주를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Fe-SOD를 대량 세포내에 생성하는 Pseudomonas polycolor를 선발하여, 이 균주의 효소생산 최적 배양조건을 설정하였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는 특이적인 저해제의 작용양식에 의해 Fe을 cofactor로 요구하는 Fe-SOD임이 밝혀졌다. SOD 생성을 위한 최적배지조성은 glycerin 3%, polypeptone 1%, meat extract 0.5%, KCI 0.2%이었고, 최적 초발 pH는 9.0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500ml용 shaking flask에 배지 100ml를 넣어 15시간 전 후 배양했을 경우가 효소생산량은 최대가 되었다.

  • PDF

Transduction of Familial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related Mutant PEP-1-SOD Proteins into Neuronal Cells

  • An, Jae Jin;Lee, Yeom Pyo;Kim, So Young;Lee, Sun Hwa;Kim, Dae Won;Lee, Min Jung;Jeong, Min Seop;Jang, Sang Ho;Kang, Jung Hoon;Kwon, Hyeok Yil;Kang, Tae-Cheon;Won, Moo Ho;Cho, Sung-Woo;Kwon, Oh-Shin;Lee, Kil Soo;Park, Jinseu;Eum, Won Sik;Choi, Soo 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1호
    • /
    • pp.55-63
    • /
    • 2008
  •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is a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selective death of motor neurons. Mutations in the SOD1 gene are responsible for a familial form of ALS (FALS). Although many studies suggest that mutant SOD1 proteins are cytotoxic, the mechanism is not fully understood. To investigate the role of mutant SOD1 in FALS, human SOD1 genes were fused with a PEP-1 peptide in a bacterial expression vector to produce in-frame PEP-1-SOD fusion proteins (wild type and mutants). The expressed and purified PEP-1-SOD fusion proteins were efficiently transduced into neuronal cells. Neurones harboring the A4V, G93A, G85R, and D90A mutants of PEP-1-SOD were more vulnerable to oxidative stress induced by paraquat than those harboring wild-type proteins. Moreover, neurones harboring the mutant SOD proteins had lower heat shock protein (Hsp) expression levels than those harboring wild-type SOD. The effects of the transduced SOD1 fusion proteins may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ssociation of SOD1 with FALS, and Hsps could be candidat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ALS.

Vitreoscilla $C_1$에서 paraquat와 Iron에 의한 Iron Superoxide Dismutase의 유도 (Induction of Iron Superoxide Dismutase by Paraquat and Iron in Vitreoscilla $C_1$)

  • 박기인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517-52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절대적 호기성인 Vitreoscilla가 지닌 FeSOD의 특성을 밝히고자 paraquat와 iron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Vitreoscilla에서 FeSOD의 활성도는 초산화 음이온을 생성하는 paraquat에 대해 커다란 영향 없이 일정하게 발현되었다. 이 결과는 Vitreoscilla는 호기적인 물질대사 동안 생성되어지는 초산화 음이온에 대해 방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FeSOD를 평상시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요소에 의한 FeSOD의 발현 가능성이 고려되어졌다. 보조 인자인 Fe 를 처리한 결과 활성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CN-resistant respiration을 증가시키는 초산화 음이온에 대한 조절 기작과는 달리 apoenzyme 상태가 보조 인자인 금속 이온 (Fe)에 의해 holoenzyme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PQ와 Fe를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FeSOD의 증가는 PQ에 의해서 생성된 초산화 음이온에 의해 apo 상태에서 hole 상태로 FeSOD의 활성이 증진되는 synergism effect로 설명되어진다. 결론적으로 metalloenzyme인 SOD의 경우는 이런 전환이 활성 속도를 제한하거나 조절할 수도 있는 posttranslational 수준의 조절 기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사람의 세포질 Superoxide Dismutase 유전자의 클로닝과 대장균내에서의 대량발현에 관한 연구 (Molecular Cloning and High-Level Expression of Human Cytoplasmic Superoxide Dismutase Gene in Escherichia coli)

  • 이우길;김영호;양중익;노현모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97
    • /
    • 1990
  • 생체내의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superoxide dismutase (superoxide : superoxide oxidoreductase E.C.1.15.1.1) 중 세포질내에서 그 활성을 지니는 인체의 세포질 superoxide dismuta~ie (SODl) 유전자를 사람의 간 cDNA library로부터 동위원소로 표지된 oligonucleotide probe를 이용, in situ plaque hybridization 방법으로 선별 분리하여 내장균 벡터로 클로닝하였다. 이 클론은 SOD1 유전자의 5"L"TR과 3’UTR을 포함한 1.6 kb 정도의 cDNA였다 SOD1 구조유전자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ATG를 포함하는 sense strand primer와 3’UTR 부위의 antisense strand primer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을 써서 SOD1 구조유전자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켰다. Taq DNA polymerase에 의해 증폭된 DNA를 벡터 pUCl9의 multiple cloning site (MCS) 내의 Hinc II 위치에 넣였으며 이 insert DNA를 M13 mp19으로 옮겨 dideoxy chain termination 방법으로 sequenase를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클론닝된 cDNA는 153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open reading frame (ORF)을 가셨다.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해 이때 증폭된 SOD1 구조유전자를 $\lambda P_{L}$ 프로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발현 벡터 pUPL에 옮긴 후 대장균에서 대량으로 발현시켰다. 이때 발현된 단백질 SOD1은 고유의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Sphingomonas sp. KS 301의 Superoxide Dismutase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in Sphingomonas sp. KS 301)

  • 강희정;정재훈;최지혜;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3-90
    • /
    • 2007
  • 유류오염 토양에서 난분해성 물질인 PA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들을 잘 분해하는 균주 중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이 높은 균주인 Sphingomonas sp. KS 301의 SOD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mmonium sulfate 침전, DEAE-Sepharose 크로마토그래피, Superose-12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Uno-Q1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SOD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Sphingomonas sp. KS 301은 DEAE-Sepharose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기존의 알려진 세균들과는 달리 서로 다른 5가지의 SOD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중 SOD III를 부분 정제하였다. 정제한 SOD III는 Mn type 및 Fe type Escherichia coli SOD와 비교했을 때 비활성도(specific activity)가 5배로 높게 나타났다. SOD III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는 23 kDa으로 측정되었으며 Superose-12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후 native 상태의 분자량은 71 kDa으로 정제한 SOD는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정제한SOD III의 최적 pH는 7.0 이었고 $20^{\circ}C$에서 최적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SOD의 종류를 알 수 있는 억제물질 $NaN_{3},\;H_{2}O_{2},\;KCN$를 이용한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더니 $NaN_{3}$에만 억제되어 Mn type의 SOD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효소의 아미노 말단의 아미노산 서열은 Psudomonase ovalis 및 Vibrio cholerae의 SOD와 가장 유사하였다.

상자파종에 의한 규격화된 잔디의 생산 (Standardized Sod Production Using Box Seeding)

  • 구자형;김태일;전대우;최종명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7-198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duce sod by box seeding for zoysiagrass or by vegetative propagation for zoysiagrass and manilagrass.1 Various ratio of peatmoss to sand(v /v) were prepared to find idea[ medium for fast and light weight sod production. Then, the days required for sod formation,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the growth of turfgrass, and the various storage methods for winter keeping of sods were also investigated. 1.The mixed medium of sand and peatmoss(v /v, 1 : 2) showed more biomass production than that of sand. 2.In comparison of seeding rate of zoysiagrass, the amount of log /$m^2$ was most effective in the fast and dense sod formation. The amount of 20g /$m^2$ also showed fast sod formation. But, it resulted in weak plant and less tillering. During April to June, about 100 days were required to form sod with seeding rate of 5g /$m^2$ regardless of seeding time. Whereas 80 days were required to form sod in the rate log /$m^2$, which was 20 days shorter than that of 5g /$m^2$. 3.More than 85% of shoots in sod stored in field or plastic house during the winter time resumed the growth in good appearance after transplanting. The whole covering of ground with sod resulted in less weeds and faster formation of lawn. 4.Vegetative propagation of manilagrass showed about 7 to 15 days faster formation of sod than that of zoysiagrass. Application of GA increased shoot growth and BA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tillering. However, the effects of the combined application of GA and BA were negligable.

  • PDF

오존 처리에 의한 벼 품종간 SOD, POD 활성과 기공저항성의 변화 (Change of SOD, POD Activity and Stomata Resistance for Ozone on Rice(Oryza sativa L.))

  • 정일민;김광호;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0-165
    • /
    • 2000
  • 오존$(O_3)$ 처리후 벼 품종의 SOD(Superoxide Dismutase)와 POD(Peroxidase)활성, 기공 저항성의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여 내성품종 선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을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D활성 조사에서 오존 처리 1시간 후 상남밭벼는 활성이 높아졌고, 백나와 일품벼의 경우 오존 처리 1 시간 후 보다 2 시간 후 활성이 증가하였다. 오존 처리 24시간 후에는 상남밭벼의 활성이 크게 감소하였고, 일품벼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한강찰벼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POD활성 조사에서 오존 처리 1 시간 후에는 한강찰벼, 상남밭벼, 일품벼등이 서로 비숫한 P0D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백나는 활성이 매우 낮았고 시간이 지날수록 POD활성은 증가하였다. 오존 처리 24 시간 후의 POD활성은 조사된 품종 모두에서 활성이 90 %이상을 나타냈다. 3. 기공 저항성 조사에서 오존 처리 1 시간 후에는 상남밭벼의 경우 기공 저항성이 감소하는 경향 나타냈다. 오존 처리 24 시간 후의 기공 저항성은 한강찰벼, 상남밭벼, 백나에서 조사 잎 모두 기공 저항성이 감소하였지만, 일품벼에서는 오존 처리 1 시간 후와 비슷한 높은 기공 저항성을 나타냈다.

  • PDF

한국잔디류의 혼식뗏장 생산기술 개발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for Mixed Lines Sod in Zoysiagrass)

  • 이재필;김종빈;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9-36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the utmost use of the good traits and to improve the poor traits of zoysiagrass through the production technology for mixed lines sod in addition to breeding. Mixed lines sod was produced by mixing broad or middle leaf line with narrow leaf line by volume, a ratio of 1 to 2. The mixed lines sod of zoysiagrass was superior to the single ling sod, which is used commonly, for the establishment rate, coverage rate, shoot density, texture, leaf color, dormancy period cnd color, and visual quality.

  • PDF

내독소에 의한 백서 폐장의 Superoxide Dismutase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Superoxide Dismutase Gene Expression in the Endotoxin-Treated Rat Lung)

  • 유철규;서지영;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15-221
    • /
    • 1994
  • 연구배경 : 산소기가 여러 종류의 급성 폐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생체내에는 여러 항산화 방어기전이 존재하는데, SOD는 두 개의 superoxide radical이 과산화수소와 산소로 dismutation되는 과정을 $10^4$배 촉진시키는 효소로서 산소기에 대한 일차적인 방어기전으로 작용한다. Eukaryotic 세포내에는 두 가지 종류의 SOD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세포질에 위치하고 이중체(dimeric)의 구조를 가지며 구리와 아연을 포함하는 효소(CuZnSOD)이고, 또 하나는 미토콘드리아에 있고 사중체(tetrameric)의 구조를 갖는 망간을 포함하는 효소(MnSOD)이다.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 모델에서 내독소 투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백서 폐장의 MnSOD와 CuZnSOD의 유전자 발현을 관찰하여 이를 급성 폐손상의 양상과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백서에 E. coli의 내독소를 투여한 후 0, 1, 2, 4, 6, 12, 18, 그리고 24시간 후에 백서를 희생시켜 폐장을 얻은 후 폐장의 총 RNA를 single step phenol extraction 방법으로 추출하였다(n=3, respectively). 총 RNA를 formaldehyde를 함유한 1.2% agarose gel 에 전기영동하고, gel의 RNA를 nylon membrane으로 transfer시켰다. Nylon membrane을 $^{32}P$로 labeling시킨 MnSOD와 CuZnSOD를 probe로 하여 hybridization하고 autoradiography를 시행하였다. 결과 : 내독소률 투여하고 4시간후부터 MnSOD mRNA가 발현되기 시작하여 6시간에 최고치를 보였고, 약 12시간까지 지속되었으며,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대조군의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CuZnSOD 유전자는 내독소를 투여하고, 1 시간후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24시간까지 지속되었는데, 18시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OD가 백서에서 내독소에 의해 유발된 급성 폐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에 관여 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