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of SOD, POD Activity and Stomata Resistance for Ozone on Rice(Oryza sativa L.)

오존 처리에 의한 벼 품종간 SOD, POD 활성과 기공저항성의 변화

  • 정일민 (건국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광호 (건국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강병화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to select the tolerance in rice varieites for ozone treatment through comparing SOD, POD and stomata resistance. In SOD Acivity, Sangnambatbyeo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n 1 hr after ozone treatment and after 24 hr, SOD activity was decreased. SOD activity of Hangangchalbyeo was not different in observed all times after ozone treatment. In POD activity, Hangangchalbyeo, Sangnambatbyeo and Ilpumbyeo were similar to POD activity but Baeknabyeo was the lowest activity on 1 hr after ozone treatment. Also, all varieties represnted the highest activity (above 90 %) an 24 hr after ozone treatment. In stomata resistance, Sangnambatbyeo was decreased stomata resistance on 1 hr after ozone treatment. Hangangchalbyeo, Sangnambatbyeo and Baekna were decreased stomata resistiance on 24 hr after ozone treatment except Ilpumbyeo.

오존$(O_3)$ 처리후 벼 품종의 SOD(Superoxide Dismutase)와 POD(Peroxidase)활성, 기공 저항성의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여 내성품종 선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을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D활성 조사에서 오존 처리 1시간 후 상남밭벼는 활성이 높아졌고, 백나와 일품벼의 경우 오존 처리 1 시간 후 보다 2 시간 후 활성이 증가하였다. 오존 처리 24시간 후에는 상남밭벼의 활성이 크게 감소하였고, 일품벼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한강찰벼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POD활성 조사에서 오존 처리 1 시간 후에는 한강찰벼, 상남밭벼, 일품벼등이 서로 비숫한 P0D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백나는 활성이 매우 낮았고 시간이 지날수록 POD활성은 증가하였다. 오존 처리 24 시간 후의 POD활성은 조사된 품종 모두에서 활성이 90 %이상을 나타냈다. 3. 기공 저항성 조사에서 오존 처리 1 시간 후에는 상남밭벼의 경우 기공 저항성이 감소하는 경향 나타냈다. 오존 처리 24 시간 후의 기공 저항성은 한강찰벼, 상남밭벼, 백나에서 조사 잎 모두 기공 저항성이 감소하였지만, 일품벼에서는 오존 처리 1 시간 후와 비슷한 높은 기공 저항성을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