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like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5초

다양한 감광제와 아미노산의 조합 반응에서 nitro blue tetrazolium의 환원특성 평가 (Reduction of nitro blue tetrazolium by combined reaction of various photosensitizers with amino acids)

  • 이은빈;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형광등 빛 조사 하에 각종 감광제와 아미노산의 조합에 의한 NBT의 환원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존 SOD 활성 측정에 이용된 Rb-Met 반응계는 증류수나 Tris보다는 PBS 용매 상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빛 조사 하에 Rb에 의한 NBT 환원을 위해서는 Met과 His 등의 아미노산이 필요하며, 감광제로서는 isoalloxazine 계열의 Rb와 thiazine 계열의 MB가 효과적인 환원 반응을 유도했다. 하지만 각종 감광제나 아미노산의 조합, 그리고 반응 용매에 따라 NBT 환원정도가 상이하며, 특히 Rb-Met in PBS와 MB-His in Tris 반응계가 가장 큰 반응을 유도하였다. Rb에 의해 유도된 NBT 환원반응은 SOD 및 gallic acid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으나, Tris 상에서 MB-His에 의한 NBT 환원은 SOD 및 gallic acid에 의한 저해효과가 미미하여 Rb와는 다른 기작에 의해 NBT 환원이 유도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결과는 감광제와 아미노산에 따라 빛 조사 하에 다양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며, NBT 환원을 유도하는데 superoxide anion 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도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양파 음료 제조를 위한 기능성 성분 추출 최적화 (Extractive Optimiz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for Processing of Onion Health Promotion Drink)

  • 허원녕;고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03-409
    • /
    • 2004
  • 복합음료의 재료인 양파, 솔잎, 뽕잎, 당귀, 감초, 대추를 물과 methanol로 상온에서 각각 추출하여 전자공여능, thiosulfinate함량, ascorbic acid 함량, SOD유사황성 및 pH 1.2와 3.0에서 아질산 소거능 등을 조사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methanol 추출이 우수하였고, 아질산 소거능은 물 추출이 우수하였고 다른 기능성 항목은 재료에 따라 추출방법에 대한 우열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3 hr동안 hard boil한 물추출이 thiosulfinate의 함량을 제외한 모든 기능성을 상온에서 물추출보다 증가 시켰고, 특히 상온에서 methane이 물 추출보다 높은 값을 보였던 양파, 뽕잎, 대추의 전자공여능과 당귀의 ascorbic acid 함량은 methanol 추출보다도 높은 추출 효율을 보였으므로 hard boil에 의한 물추출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휘발성인 thiosulfinate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그 함량이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므로 이 성분은 저온에서 추출하여 혼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hard boil에 의한 적정한 추출시간을 조사한 결과, 6 hr이면 thiosulfinate를 제외한 기능성분은 거의 용출 되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저장중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저온저장시 ascorbic acid만이 약간의 손실이 더 있는 편이고 다른 기능성 성분은 상온 저장과 거의 같거나 저온저장이 유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양파의 기능성 강화 복합음료의 제조는 thiosulfinate를 제외하고 6 hr 물로 고와서 추출하고 저온 저장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복분자 열매에 대한 화학적 조성 및 생리활성 비교 (Chemical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Fruit of Natural Bog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신공식;박필재;부희옥;고정연;한성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7
    • /
    • 2003
  • 복분자 열매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재배복분자와 야생복분자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재배복분자 완숙과와 야생복분자 미숙과에서 각각 222, 190mg/g 이었고, 다당체 함량은 야생 북분자 미숙과가 320 unit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열매의 전자공여능은 야생복분자 미숙과가 100 $\mu\textrm{g}$/mL 농도에서 95% 이상으로 높은 활성을 보여 미숙과가 완숙과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야생복분자 미숙과가 81%, 재배복분자 완숙과가 77%를 나타내어, 총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추세를 보였으며, 과산화지질 형성억제능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인 $\alpha$-tocopherol과 같은 억제수준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열매의 고혈압 완화효과로써 ACE 활성 저해율은 야생복분자 미숙과와 재배복분자 완숙과가 추출농도 1% 범위에서 98% 이상의 높은 ACE 활성 저해율을 보였다.

쇠비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Helicobacterpylori에 대한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 박소해;김대광;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6-3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위궤양 유발 병원균으로 잘 알려진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쇠비름의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TBARS 등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쇠비름의 총 페놀 함량은 약탕기 추출물에서 72.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91.8%와 methanol 분획물이 90.6%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2.5 mg/$m{\ell}$의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 17.4%와 petroleum ether 분획물 16.4%로 높게 나타났다. 쇠비름의 TBARS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Paper disc 법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 항균 활성의 경우, 쇠비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inhibition zone 크기가 증가하였고, 쇠비름의 petroleum ether 분획물 10,000 ppm 농도에서 가장 큰 활성이 나타났다.

추출조건에 따른 늙은 호박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5-171
    • /
    • 2010
  • 늙은 호박의 부위를 나누고 추출용매를 증류수, 50% EtOH, 100% EtOH로 달리하여 건물 중량의 25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추출용매를 증류수로 사용한 추출물들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섬유질 추출물이 1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 작용의 경우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52.37%의 높은 전자 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100% EtOH에 의해 추출된 과육 추출물이 42.48%로 다른 추출물보다 높은 유사활성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121.49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에서 모든 추출물이 pH 1.2에서 소거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의 경우 모든 과육 추출물이 11.36~19.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에 비해 매우 낮은 저해능을 보였다. ACE 저해활성에서도 전자공여능과 페놀함량 측정결과와 같이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교산과 구성약재에 대한 항암 및 항산화효과 (Cytotoxic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Yeonkyo-san and Its ingredients)

  • 이진태;이창언;손준호;이진영;박태순;이인철;천순주;편정란;지선영;조철훈;안봉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27
    • /
    • 2005
  • Objectives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Yeonkyo-san and its ingredient were investigated for industrial application. Methods : We experimented radical scavenging effect, superoxide dismutase and cytotoxicity effect of various cancer cell. Results : The result were obtained as follows : Primary testing of cytotoxicity of Yeonkyo-san and ingredient was done for G361. B16F10, MDA and A549 cell lines. Yeonkyo-san and ingredient water extract, ethanol extract showed cytotoxicity of over 90% respectively against cell line.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of water extract from the Yeonkyo-san was higher than 60%, ethanol extract from the Yeonkyo-san was over 80% at 1000 ppm.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of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from the Yeonkyo-san ingredients were increased as well. SOD-like activity was high as 75% in 700 ppm, it was increased. All the other samples showed less than 40% SOD-like activity.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of Yeonkyo-san and ingredient can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 with biological functions in cosmetic and food composition.

  • PDF

망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Erigeron canadensis L.)

  • 전춘표;박세철;이준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5-98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망초의 생리활성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 추출물이 42.19 mg/g으로 다른 부위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이 74.26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 mg/mL의 농도에서 잎, 꽃, 전초 그리고 뿌리 추출물에서 각각 91.75%, 86.95%, 83.95% 및 83.43%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농도에서 부위별 추출물이 7.91~13.54%를 나타내었으며 꽃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망초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이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Cherry Elaeagnus (Elaeagnus multiflora Thunb.) Leaf Extracts

  • Shin, Seung-Ryeul;Hong, Ju-Yeon;Yoon, Kyung-Y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08-612
    • /
    • 2008
  • In Korea and China, cherry elaeagnus (Elaeagnus multiflora Thunb.) has been used traditionally to treat cough, diarrhea, itching, and foul sor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cherry elaeagnus leaves were examin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The ethanol extract of the cherry elaeagnus leaves contained more phenolics than the water extract. All the cherry elaeagnus leaf extracts ha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at concentrations of $250-1,000\;{\mu}g/mL$. The ethanol extract also showed higher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Furthermore, the SOD-like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amounted to 89% of that of ascorb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500\;{\mu}g/mL$.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XOI)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 In particular, the ethanol extract had higher XOI activity than ascorb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단기속성 청고추장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Short-term Green Gochujang)

  • 신경은;최수근;김동석;김하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57-66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sauce products by producing short-term green gochujang with cheongyang pepper powder. To determine it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we examined vitamin C, capsaicinoid,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electron-donating, SOD-like, ferrous ion-chelating,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Vitamin C content of short-term green gochujang was higher in CON-M than in the sample, whereas capsaicinoid content increased as the amount of cheongyang pepper powder increased.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electron-donating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r in the sample than in CON-M, and the contents increased as the amount of meju powder increased. Green gochujang containing the highest amount of cheongyang pepper powder showed the highest SOD-like, and ferrous-ion chelating activities as well as superior nutrient contents, compared to red gochujang.

Antioxidant Effect of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Extract on Oxidative Stress-Mediated Cytotoxicity In Cultures

  • 하대호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2008
  • In order to examine oxidative stres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CRP) extract, human skin melanoma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H_2O_2$). Antioxidant effect of CRP extract on $H_2O_2$-induced cytotoxicity, cell viability,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In this study, $H_2O_2$ decreased cell viability of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and then, midcytotoxicity value (MCV) was determined at $60\;{\mu}M$ after human skin melanoma cells were cultured for 5 hours in the media containing $20{\sim}60\;{\mu}M$ of $H_2O_2$, respectively. The $H_2O_2$ was o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because MCV of $H_2O_2$ was lower than $100\;{\mu}M$. In the antioxidant effect of CRP extract, CRP extract increased cell viability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H_2O_2$ was very toxic o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And also, CRP extract has the antioxidant effect on $H_2O_2$-induced cytotox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