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 activity

검색결과 1,921건 처리시간 0.028초

The Virulence of Vibrio vulnificus is Affected by the Cellular Level of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 Kang, In-Hye;Kim, Ju-Sim;Lee, Jeong-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8호
    • /
    • pp.1399-1402
    • /
    • 2007
  • The virulence of superoxide dismutase (SOD) mutants of Vibrio vulnificus, as test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into mice, decreases in the order of sodC mutant, sodA mutant, and sodB mutant lacking CuZnSOD, MnSOD, and FeSOD, respectively. The survival of SOD mutants under superoxide stress also decreases in the same order. The virulence of soxR mutant, which is unable to induce MnSOD in response to superoxide, is similar to that of the sodA mutant, as the survival of the soxR mutant under superoxide stress is similar to that of the sodA mutant. Consistently, the lowered survival of the soxR mutant is complemented not only with soxR but also with sodA. Thus, the virulence of V. vulnificu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ellular level of SOD activity, and an increase in SOD level through MnSOD induction by SoxR under superoxide stress is essential for virulence.

Uniconazole 및 Free Radical Scavenger처리가 양버즘나무의 $SO_2$ 피해경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Uniconazole and Free Radical Scavenger Treatments on Reduction of $SO_2$ Injury in Platanus occidentalis)

  • 조정희;구자형;최종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18
    • /
    • 1997
  • $SO_2$에 대한 양버즘나무의 내성을 증대시키고자 uniconazole, sodium benzoate 또는 ascorbic acid를 단용 또는 복합처리한 후 $SO_2$에 의한 가시피해정도, 엽록소함량 및 유리기 제거제로 활성산소의 독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superoxide dismutase(SOD) 및 peroxidase(POD)의 활성변화를 조사하였다. Uniconazole처리에 의한 $SO_2$ 피해경감 효과는 SOD불활성제인 diethyldithiocarbamate(DDTC)를 다시 처리하므로써 가시피해가 증가하였고 SOD와 POD의 활성도 감소하였다. 유리기 제거제인 sodium benzoate와 ascorbic acid처리는 SOD나 POD 활성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SO_2$의 피해를 경감시키고, DDTC의 $SO_2$피해증가 효과를 ascorbic acid 처리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uniconazole은 식물체내에서 산화방지물질의 역할을 하는 SOD의 활성을 증대시켜 $SO_2$가스의 피해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인정되며, ascorbic acid와 sodium benzoate의 내성 증대 효과는 식물체내의 SOD나 POD 활성 증진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duction of Superoxide Dismutase by Deinococcus radiophilus

  • Yun, Young-Sun;Lee, Young-Nam
    • BMB Reports
    • /
    • 제36권3호
    • /
    • pp.282-287
    • /
    • 2003
  • The production of superoxide dismutase (SOD) varied in Deinococcus radiophilus, the UV resistant bacterium, depending upon different phases of growth, UV irradiation, and superoxide treatment. A gradual increase in total SOD activity occurred up to the stationary phases. The electrophoretic resolution of the SOD in cell extracts of D. radiophilus at each growth phase revealed the occurrence of MnSOD throughout the growth phases. The SOD profiles of D. radiophilus at the exponential phase received oxidative stress by the potassium superoxide treatment or UV irradiation also revealed the occurrence of a single SOD. However, these treatments caused an increase in SOD activity. The data strongly suggest that D. radiophilus has only one species of SOD as a constitutive enzyme, which seems to be a membrane-associated protein.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Recombinant Superoxide Dismutase (PaSOD) from Psychromonas arctica in Escherichia coli

  • Na, Ju-Mee;Im, Ha-Na;Lee, Kyung-H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7호
    • /
    • pp.2405-2409
    • /
    • 2011
  • The psychrophilic bacteria Psychromonas arctica survives at subzero temperatures by having adapted several protective mechanisms against freezing and oxidative stresses. Many reactive oxygen species are likely generated in P. arctica as a result of reduced metabolic turnover rates. A previous study identified the pasod gene for superoxide dismutase from P. arctica using a series of PCR amplifications. Here, upon cloning into a His-tag fused plasmid, the sod gene from P. arctica (pasod) was successfully expressed by IPTG induction. His-tagged PaSOD was subsequently purified by $Ni^{2+}$-NTA affinity chromatography. The purified PaSOD exhibited a higher SOD activity than that of Escherichia coli (EcSOD) at all temperatures. The difference in activity between PaSOD and EcSOD becomes even more significant at 4$^{\circ}C$, indicating that PaSOD plays a functional role in the cold adaptation of P. arctica in the Arctic.

The Stud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SOD-mimic Compounds in Panax ginseng C.A.Meyer

  • / U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8-193
    • /
    • 1997
  • 고려인삼 1년근에서 5년근을 전기영동하였고 SOD 활성에 대한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13개의 구분되어지는 무색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밴드의 패턴은 1년근에서 5년근이 모두 동일 하였다. 이들 효소 중의 9개는 시아나이드 처리나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밴드가 제거되었고 클로로포름과 에탄올처리에 대해서는 안정했다. 이들 효소들은 CuZnSOD 효소들이다. 반면에 4개의 밴드는 시아나이드처리나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안정하고 클로로포름과 에탄올 처리에 의해서는 제거되었다. 그러므로 이들은 MnSOD 효소들이다. 인삼 1년근에서 5년근까지 SOD 활성의 비교를 광화학적 에세이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들 SOD 활성 측정의 결과에서 년수에 따른 SOD 활성의 유의성있는 차이는 보여지지 않았다. 모든 인삼 추출물의 총 SOD 활성은 대략 700-800units/g of fresh weight 이었다. 그러나 SOD 효소에 의해 SOD 활성은 대략 200-250 units/g of fresh weight 이었다. 그러므로 SOD 활성 유사 물질에 의해 활성이 SOD 효소에 의한 활성보다 높다. SOD 활성 유사 물질과 SOD 효소에 의한 활성의 비는 대략 2:1에서 3:1이다.

  • PDF

Comparison of Superoxide Dismutase and Peroxidase Activities in Rice Varieties

  • Chung, Ill-Min;Kim, Kwang-Ho;Ahn, Joung-Kuk;Lee, Jin-Oh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277-281
    • /
    • 2000
  • Fifty-four Korean native and 28 foreign varieties harvested in 1998 and 1999 were examined for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peroxidase (POD) activities. The SOD and POD activities of leaves extracts in Korean native and foreign rice varieties showed variation at the heading stage. The activities of SOD and POD changed with growth stage. In comparison of storage duration, the SOD and POD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three months stored seeds in Korean native (CV=53.3%) and foreign rice (CV=57.9%)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a year in seed extracts although the activities among varie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 Also, the averaged activity of foreign rice varieties (SOD=12.9%)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native rice varieties (SOD=10.7%). The test of activity at the enzymatic level related to antioxidative activity suggests that the rice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potentials can be developed and also may provide information with rice breeder to breed rice variety with a high antioxidative activity.

  • PDF

Superoxide Dismutase가 백서의 실험적 치은염과 3T3 섬유모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 ON EXPERIMENTAL GINGIVITIS AND ACTIVITY OF 3T3 FIBROBLAST)

  • 김윤성;유형근;강현구;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22-238
    • /
    • 1995
  • Inflammatory cells may produce active species of oxygen in antimicrobial defense. While such species can directly damage surrounding tissue, their major secondary role may be to mediat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Superoxide dismutase, antioxidant, have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rheumatoid arthritis, ischemic tissue injur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Increased oxidative product formation diseases. And superoxide dismutase produc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is resistant to killing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s of superoxide dismutase in 3T3 fibroblast and in experimental gingivitis in the rats. The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SOD) to cell morphology and cell activity was measured in cultured mouse 3T3 fibroblast. After experimental gingivitis were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LPb) and bovine serum albumin(BSA), injection of SOD were done. WBC count and histologic findings were observed at 1, 2, 3, and 7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LPS treated groups and SOD treated groups in 3T3 fibroblast morpholoy. 2.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nly SOD treated groups (except SOD 150U at 3days) and control in 3T3 fibroblast activity. 3. LPS $0.5{\mu}g/ml$ and SOD treated groups (except 150U) had decreased 3T3 fibroblast activit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 days. 4. LPS $5.0{\mu}g/ml$ and SOD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activity of 3T3 fibroblast than control group at 1 day(P<0.05). 5. In LPS induced gingivitis, the number of leukocytes in SOD 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in saline treated at 1 day(P<0.05). 6. In histopathologic findings of LPS or BSA induced gingivitis, inflammatorycell infiltration in SOD treated groups were less than in saline treated group at 1, 2 and 3 days.

  • PDF

식물의 냉해에 대한 생체방어기구로서 항산소성 효소의 유도 : (II) $Mn^{+2}$이온에 의한 세포내 SOD의 활성화와 벼 유묘의 내냉성 향상 (Induction of antioxygenic enzymes as defense systems in plant cells against low temperature stress : (II) $Mn^{+2}-induced$ SOD activation and enhancement of cold tolerance in rice seedlings)

  • 한창균;김종평;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68-173
    • /
    • 1991
  • 벼 유묘에 의 한 $Mn^{+2}$(Mn-SOD의 cofactor)의 흡수는 유묘조직중 SOD 활성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유묘의 냉해저항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으며, SOD 활성 증가정도와 냉해 저 항성 향상정도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Fe-SOD와 Cu/Zn-SOD의 cofactor들인 $Fe^{+3},\;Cu^{+2},$$Zn^{+2}$의 흡수는 조직내 SOD활성이나 식물의 냉해저항성에 어떤 유의성 있는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아마도 superoxide에 의해 유도되고 $Mn^{+2}$의 존재에 의해 활성화된 Mn-SOD가 (최소한 벼의 경우에는) 저온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생체방어 시스템의 중요한 子성분일 것이라는 점이다. 어느정도의 냉해억제효과가 있다고 인정된 Abscisic acid의 처리도 벼 유묘조직의 SOD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 관찰결과도 식물의 냉해 유발상황 하에서 세포내 SOD가 담당하는 중요한 생체방어 역할을 부각시키는 또 하나의 정보를 제공한 것이다.

  • PDF

SO2 노출된 4개 수종의 엽내 광색소 함량 및 SOD 활성 변화 (Changes of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s and SOD Activity in the Leaves of Four Tree Species Exposed to SO2)

  • 이재천;한심희;권기원;우수영;최정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23
    • /
    • 2003
  • 목본 식물을 대상으로 SO$_2$에 의해 나타나는 생리적인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소나무, 오갈피나무, 현사시, 상수리나무를 대상으로 SO$_2$를 500 ppb, 800 ppb로 하루에 8시간씩 7일간 처리하여 잎의 광색소 함량과 SOD 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SO$_2$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4개 수목의 엽 내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수종별, 처리별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오갈피나무와 상수리나무의 엽록소 b와 a의 비는 SO$_2$는 500 ppb 처리구에서는 증가하다가 800ppb 처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즉 500ppb에서는 엽록소 a가 파괴되며, 800ppb에서는 엽록소 b도 파괴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SO$_2$에 대한 민감성은 엽록소 a가 엽록소 b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수종의 잎 SOD활성은 수종별, 처리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오갈피나무와 상수리나무는 500 ppb 처리구에서는 SOD 활성이 증가하다가 더 높은 농도에서는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소나무와 현사시의 경우는 500ppb 처리와 800ppb 처리에서 높은 SOD활성을 유지하여 내성을 보인다. 그러나 광색소와 SOD 활성을 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SO$_2$에 대한 저항성은 현사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벼의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및 Diterpene cyclase 활성비교 (Comparision of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and Diterpene cyclase Activity under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in Rice)

  • 정형진;신동현;박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7-113
    • /
    • 2000
  • UV-B와 도열병병원균 접종들의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벼의 POD, SOD및 Diterpene cyclase등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여 해 본 결과, 일품벼에서 POD 와 SOD활성이 가장 놓았고, 도열병진전에 따른 PDO활성은 감수성 품종인 일품과 화성은 증가하였으나 저항성 품종인 다산은 감소하였다. 키토산 처리에의한 SOD의 활성 변화는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키토산 처리후 14일에서의 감수성품종인 화성의 SOD활성은 무처리 식물체에 비하여 높았다. UV-B조사 시간이 길수록 감수성품종인 일폼의 POD활성은 감소하였고, 저항성 품종인 다산은 증가하였다. 특히UV-B의 조사시간에 따른 다산의 POD활성은 차가 없었으나, 화성의 활성은 40분 조사처리시 2배 놓았다 UV-B처리에 비해 p.oryzae를 접종시는 diterpene cyclase의 활성이 놓아졌으며, 병원균 접종후 5일까지 효소활성이 검진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