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Typ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1초

메시지 방향성과 유형이 SNS 구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ssage Polarity and Type on Word of Mouth through SNS (Social Network Service))

  • 이주양;장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129-135
    • /
    • 2013
  • SNS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구전(word-of-mouse)의 중요성과 유용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메시지의 방향성(긍정, 부정, 중립)과 유형(사실적, 평가적)이 SNS를 통한 구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 SNS인 트위터 메시지 1천3백만 개를 수집하였으며, 이중 1번 이상 리트윗(retweet)된 1백만 개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시지 방향성과 유형, URL, 해시태그 포함여부가 구전범위(리트윗 횟수)에 유의한(<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시지 방향성은 다른 세 개 요인들과 유의한 교호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메시지 유형과 URL, 해시태그 포함여부는 구전속도(리트윗 속도)에 유의한(<0.05)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the Motivator of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 Cho, Namjae;Ko, Geonil;Oh, Seunghe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3호
    • /
    • pp.31-42
    • /
    • 2013
  • With a focus on Facebook, the most popular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which type of motivation makes users to spend more time on the SNS and in the same vein, which type of motivation makes users to believe that they will continue to use the SNS. The result shows that the need for play (entertaining) and image as social reputation affect the current amount of use, while the needs for information search, building relationship, and entertainment would make them continue to use.

관광 SNS 효익이 관광 SNS 가치를 통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ourism SNS Benefits on the Customer's Intention to Reuse through the Value of Tourism SNS)

  • 김대석;홍정인;서영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3-26
    • /
    • 2021
  • 본 연구는 관광 SNS 효익의 하위요인(경제적 효익, 고객화 효익, 심리적 효익)과 관광 SNS 가치의 하위 요인(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관광산업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 고객에게 지속적인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증대를 도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고객 유지 및 확보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통해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세 이상의 성인 326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SNS 효익 하위요인(경제적 효익, 고객화 효익, 심리적 효익)과 관광 SNS 가치의 하위요인(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의 관계에서 관광 SNS 효익의 하위요인이 관광 SNS 가치의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광 SNS 가치의 하위요인(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과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SNS 가치의 모든 하위요인이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관광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객 강화를 위한 장기적인 관계 형성이 필수이다. 모빌리티 앱(App)과 같은 콘텐츠를 개발하여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고객이 인지하는 관광 SNS 효익과 관광 SNS 가치를 극대화한다면 관광상품의 재이용의도가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SOCKET기반 모바일SNS 연동시스템 설계 및 구현 (SOCKET-based mobile SNS interlock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고완기;고석용;김제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367-373
    • /
    • 2013
  • 모바일SNS 소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최근, 모바일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을 한다. TALK나 PUSH는 메시지나 데이터 소켓을 거쳐 운영체제 상에 존재하는 TCP/IP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SNS와 모바일 융합은 필연적이며 SNS의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켓방식을 이용한 위치기반 SNS을 연동하여 클라이언트간의 TALK 및 PUSH 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특성과 사용자의 이용 목적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ocial Network and the Purpose of Customers' Use : A Comparison of Cyworld, Facebook, and Twitter)

  • 서보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2호
    • /
    • pp.109-125
    • /
    • 2013
  • As the number of SNS users is increasing, it has been very important how companies use SNS strategically. As a result, studie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utilization of SNS. Most of the studies, however, focused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SNS and did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NS. This study classified the main purpose of SNS use as relation-oriented purpose and information-oriented purpose, and identified the types of SNS from two viewpoints : service type and opennes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yworld, Facebook, and Twitter respectively,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purpose of SNS us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rvice.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users had the information-oriented purpose in the order of Twitter, Facebook, and Cyworl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lation-oriented purpose among the three services. The analyses of the motive to join a group or a party made similar results.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es showed that the ratio of users with many acquaintances was high in the order of Facebook, Twitter, and Cyworld. In addition, more users checked their timeline or news feed more frequently in the order of Facebook, Twitter, and Cyworld.

해시태그 유형이 인플루언서 및 패션 정보 평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shtag Type on Evaluations of Influencer and Fashion Information and Consumer Responses)

  • 김우빈;김동섭;박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6
    • /
    • 2019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hashtag type on consumer response via evaluations of SNS fashion influencer and information in the context of fashion product communic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hashtag content and fashion product image on information evaluation was also investigat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responses from 152 Instagram users were coll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shtag type (informative vs storytelling) affects the evaluations of influencer and information. First, the informative hashtag has a positive effect on influencer's expertise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Meanwhile, storytelling typ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miliarity of the influencer. This study also verified the mediated paths from hashtag type to consumer response through the evaluations of SNS fashion influencer and information. The influencer's expertise and familiarity mediated the effect of hashtag type on consumer response. In the information evaluation,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usefulness was significant. Finally, the high condition of the perceived fit between hashtag content and fashion product image was found to highly evaluate the trust of information.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fashion communication research from various angles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hashtag as a new type of information source.

Th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 Jung, Myung-Hee;Bae, Dong-In;Yun, Jae-Chul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4권3호
    • /
    • pp.19-25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social network service (SNS) characteristics' effect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liability, but also the effect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liability on purcha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s comprised 274 SNS users in their twen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hree weeks from October 16, 2013 to November 6, 2013, using questionnaires. A total of 267 copies were collected; 255 copies were used after excluding unsuitable copies. Results - Marketers who used SNSs should establish a bi-directional community and SNS page information exchange. SNS marketers should exchange useful information quickly through SNS page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competitors. Enterprises should use SNSs for marketing, considering not only continuous use intention but also reliability, to elevate product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 The study had limitations. Most subjects were students aged 24 to 28 years; the findings cannot be generalized. Second, personal computers (PCs) and smartphones had similar influence. Third, the preferences and/or characteristics of each SNS type were not reflected in marketing.

A Study on the Customer Value of Airline's SNS: Focused on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by Customer Value Type

  • YIM, Youn-Jae;PARK, So-Yeon;PARK, Hye-Yoon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5-56
    • /
    • 2021
  • Purpose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 values of customers using airline SNS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By finding out which characteristics of customer values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gaining trust, research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various airlines to utilize such characteristics to maintain customers through S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20 for two months from the people who used SNS operated by domestic airlines. 342 samples were selected and used as final samples for the study. Result -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values and customer satisfaction amongst those who use airlines' SNS show that practical, pleasure and social components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values and customer trust amongst those who use airlines' SNS show that practical and pleasure compon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trust while social component didn't yiel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trust. Conclusion -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SNS users' value structure and providing specific guidelines for customer value components can help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alue components,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Also, evidence of applicable customer value theory could be provided.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 김남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223-25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 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x^2$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 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국방정보보호를 위한 군(軍) SNS 보호프로파일(PP)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ilitary SNS Protection Profile for National defense)

  • 유덕훈;김승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1-52
    • /
    • 2013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 Social Network Service)는 다양한 정보의 빠른 전달과 함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친밀감을 형성해 조직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SNS의 사회적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군에서도 SNS를 통해 자발적 참여와 신뢰관계 구축을 바탕으로 군내 외 유대감 강화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방 SNS 도입시 개인정보의 노출이나 프라이버시 침해, 군사자료의 유출 등과 같은 역기능은 군에 치명적인 요인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SNS 도입을 위해 SNS 기능별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구조를 분석하여 국방 SNS에 필요한 보안기능요구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