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Advertising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4초

SNS 기반 e커머스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Commer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 이동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53-158
    • /
    • 2018
  • 본 논문은 인터넷 쇼핑 상품의 허위 사용 후기, 과장 광고, 상품이나 공급업체에 대한 신뢰도 부족 등 커머스 서비스가 가지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SNS 서비스에 내재된 신뢰형 서비스 개념을 커머스 도메인과 융합하여 "신뢰성 높은 SNS 기반 커머스 서비스"라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내용은 첫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용 커뮤니티 기능과 둘째, 커머스 기능 그리고 셋째, SNS와 커머스 연계 기능 개발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신뢰성 있는 상품 정보를 통해 판매자는 상품에 대해 객관적인 안심구매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가능성을 높여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구매자는 안심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양질의 제품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어 만족도가 커지고, 서비스 제공자는 신뢰성 있는 사이트로 구매 회원들에게 알려지게 되어 전자상거래 활성화 및 새로운 커머스 시장 개척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켓통신 기반의 Kinect를 이용한 표정인식 및 영상제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ystem Using Kinect an Expression of Recognition and Advertising Media Control System)

  • 이호재;윤철준;임유혁;김현식;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4-90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광고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Kincet를 이용한 표정인식 및 미디어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기존에는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광고를 전달하는 방식 이였다면, 현재는 인터렉티브 광고를 지향한다. 즉,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의미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Kincet를 활용하여 표정인식을 하였고, 눈썹, 눈, 입, 턱으로 얼굴을 인식 한다. 현재 사용한 Kinect버전은 표정인식이 불안정하여 눈썹, 눈, 턱의 3가지의 부분을 정확히 구분하기가 어려워 제일 구분이 쉬운 입모양만을 활용하여 웃음, 무표정을 구분하여 미디어 제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소비자들의 표정인식을 하여 미디어제어와 동시에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사진전송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광고에 대한 각인을 시켜줌으로써 광고의 효율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SNS 마케팅 활동이 소비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Food-Service Franchise's SNS Marketing Activities on Customer Behavior Intention)

  • 이주연;이민지;권다정;정승연;허순범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0권1호
    • /
    • pp.43-52
    • /
    • 2019
  • Purpose - Many companies use the Internet to conduct their business to maintain and acquire their customers. SNS is used as a site where users can create profiles, build personal networks, and then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s. Not only do people use SNS for their self-promotion, but they also promote their services by creating SNS pages. SNS is recognized as a medium for implementing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ies and is being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promoting the company.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 franchise firms on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and examine their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s-60s respondents who have used SNS for restaurant visit using Google survey. A total of 159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Smart PLS 3.0 was used for the hypothesis test. Results - As a result of an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playfulness and affordability of information on the utilitarian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teraction and up-to-dat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utilitarian value. Interaction, affordability, and up-to-date have no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hedonic value. The playfulness of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edonic value. Both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NS marketers of restaurant franchisors should focus on the playfulness, affordability, and up-to-date rather than the interactivity of SNS. In marketing through SNS, the act of presenting the basis of information and enhancing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rough objective criteria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practical value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iated contents which cause customers interest and fun and to induce many customers' purchase intent by providing objective and realistic inform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s toward the food service business, customers should maximize the hedonic value and practical value felt through information. It should also focus on providing information that customers are receptive to, rather than providing prompt information.

k-평균 군집화 기법을 활용한 SNS의 부적절한 광고성 콘텐츠 탐지 (Detection of inappropriate advertising content on SNS using k-means clustering technique)

  • 이동환;임희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70-573
    • /
    • 2021
  • 오늘날 SN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도 많아지고 종류도 매우 다양해졌다. 하지만 유익한 정보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 반사회적, 사행성 등의 부적절한 콘텐츠가 공존한다.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적절한 콘텐츠를 필터링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Instagram을 대상으로 콘텐츠의 해시태그를 수집하여 데이터화 했다. 또한 k-평균 군집화 기법을 적용하여, 유사한 특성의 콘텐츠들을 군집화하고, 각 군집은 실루엣 계수(Silhouette Coefficient)와 키워드 다양성(Keyword Diversity)을 계산하여 콘텐츠의 적절성을 판단하였다.

패션광고 유형과 패션브랜드 확장, 소비자 혁신성이 광고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advertising credibility)

  • 김선아;황선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5호
    • /
    • pp.714-72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ype of advertisement,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credibility of fashion advertisements. The factorial design is constructed as a 2(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general vs. cross-media) ${\times}2$(consumer innovativeness: high vs. low) ${\times}2$(the type of fashion brand extension: similar vs. dissimilar) three-way mixed design in which consumer innovativeness is the between-subjects variabl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1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resid in Seoul and had SNS experiences.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three-way ANOVA, and simple interac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credibility. Cross-media advertisements had a more positive effect than general advertisements on all of the dependent variables. Also, the type of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credibil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and consumer innovativeness was significant. Lastly,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rand extensions on advertising credi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sumer innovativeness. Thus, a marketing strategy using cross-media advertising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gaining consumer trust for a fashion brand.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Advertising Effects of Celebrity Models using Big data Analysis)

  • 김유나;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99-106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유명인과 브랜드의 이미지 유사도가 광고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결정변수가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고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SNS상의 키워드 네트워크 구조에 기반하여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도를 정량화하고, 학습 데이터를 통해 이미지 유사도를 독립변수로, 광고효과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형을 반복 실시하여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예측모형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해 예측 데이터에서 얻은 광고효과 예측값과 비교 기준으로서의 서베이값을 비교한 결과, 타당도를 판단하는 기준치인 75%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본 광고효과 예측 모델링의 타당성은 확보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성 구조를 소셜 네트워크 구조로 설명하고 그 효과를 기계학습을 통한 예측 모델링으로 검증하여 빅데이터 기반 모델링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적 대안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과 제품 속성에 대한 사용자 반응 (User Responses to the Formats and Product Properties of Contents Advertised on Facebook)

  • 우수진;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9권1호
    • /
    • pp.111-126
    • /
    • 2016
  • 최근 페이스북 광고의 마케팅 가치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들은 브랜드 및 상품 홍보를 위해 성공적인 페이스북 광고제작 방안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과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의 시지각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변인 요인을 설정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접목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이 사용자 반응(시지각 인지,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콘텐츠 포맷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의 시지각 인지 패턴과 구매 행동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광고 제품속성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행동 반응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고 콘텐츠 제공자 혹은 개발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SNS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기업명성과 SNS 진정성의 영향력 연구 (Power of SNS Authenticity on Company Reputation)

  • 조정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73-81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마케팅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SNS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목표로 진행됐다. 특히 증가하는 위기발생가능성에 주목, SNS 페이스북 팬페이지 이용자가 지각하는 진정성이 기업위기 시 기업명성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함으로써 SNS 진정성에 대한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SNS의 매체특성 상 이용자의 지속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성이 기업명성과 기업이미지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함께 검증하였다. 페이스북 팬페이지 이용자 289명이 최종 참여했다. 분석결과 페이스북 팬페이지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해당기업의 진정성은 중요한 기업의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소 인지하는 진정성이 높은 사용자들은 기업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에도 그 기업의 명성이나 이미지에 대한 변화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반면에 팬페이지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성은 위기상황에서 오히려 부정적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었다. 높은 상호작용성을 특성으로 하는 사용자들의 기업평가가 더 크게 변화했기 때문이다. 상호작용성이 높다는 것이 활발하 참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활발한 의견조정과도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로 새로운 논의의 필요성이 주목된다. 이 부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스마트폰광고 이용자의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인지가치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Context Awareness Value on the Smartphone Adopter' Advertising Attitude)

  • 양창규;이의방;황운초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73-91
    • /
    • 2013
  • 스마트폰 광고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그간 광고태도연구에서 주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었던, 재미(Entertainment), 정보(Information), 짜증(Irritation)과 같은 일반적으로 광고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외에 스마트폰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상황인지가치(Context Awareness Valu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간 상황인지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주로 위치(Location)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는데, 스마트폰을 통해 발생하는 상황인지가치는 위치 이외에도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무선인터넷기술의 활용을 통한 SNS 활용, 유심카드를 이용한 개인 확인, 다양한 앱의 활용 등의 변화는 기존의 모바일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활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인지가치의 요인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동통신시장의 광고채널이 스마트폰으로 전환되면서 발생하는 상황인지가치의 영향을 고려한 분석을 실시하여, 이전 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했던 최근 광고시장 상황이 반영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전의 광고태도 연구에서 주요한 요인이라고 여겨졌던 재미와 짜증은 영향은 적어지고, 여전히 정보가 미치는 영향은 크게 작용되고 있어 이는 현재의 정보화시대에서 정보의 중요성 및 영향력에 대한 이해와 분석도 여전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인한 광고시장변화에 따라 활동(Activity), 시기(Timing), 위치(Location) 등과 같은 상황인지가치가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신원은 영향이 없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가치와 상황인지가치는 스마트폰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광고 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이용자의 상황에 최적화시켜 스마트폰 광고를 실시하여야만,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가치 인식 연구: 신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 Value Perception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Focus on Smartphone Brands)

  • 김형중;김진화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3-146
    • /
    • 2017
  • 소비자들이 SNS에 공유하는 정보는 소비자들의 구매나 선택에 대한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가치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가치 인식을 계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광고전략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스마트폰 브랜드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과 긍 부정 이미지 분석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가치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별 소비자의 가치 인식에 대한 감성적인 측면과 이성적인 측면에서 차별적인 내용을 선별할 수 있었다. 갤럭시 S7과 아이폰 6S의 경우 출시일 이전에는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출시일 이후에는 이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LG G5의 경우 출시일 이전이나 이후 모두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가치 인식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광고전략 2가지 안을 제안할 수 있다. 갤럭시 S7의 경우 광고전략 개발 시 제품속성에 대한 성능이나 차별화된 기능 등 이성적 측면을 강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LG G5의 경우 광고전략에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느껴지는 행복감, 설레임, 즐거움, 재미 등의 감성적 측면을 광고전략 개발에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가치 분석을 통해 실제 광고전략에 좋은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고전략은 주로 직감이나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 분석으로 광고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 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