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검색결과 2,367건 처리시간 0.032초

SNS 정보특성과 사이트특성이 이용자의 외식업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SNS Site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Restaurant)

  • 정선미;김영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9-173
    • /
    • 2015
  •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하여 자신의 이용목적에 부합하는 외식업체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혹은 자신이 이용하고 싶은 외식업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SNS 정보의 특성, SNS 사이트 특성, 정보유용성 그리고 방문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NS 정보특성, SNS 사이트특성, 정보 유용성, 방문의도에 관하여 문헌고찰을 진행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해 실증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NS 정보특성인 정보의 신뢰성, 유희성, 중립성 요인은 정보유용성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보의 중립성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SNS 사이트특성인 상호작용성, 이용용이성, 사이트신뢰성요인은 정보유용성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S 사이트 특성요인 중 상호작용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SNS 사용자가 지각하는 정보유용성이 해당 업체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유형과 이용강도에 따른 광고 메시지 형태 및 정보원별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ceptive Attitude of Advertising Message Forms and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SNS' Type and Use Intensity)

  • 김화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255-265
    • /
    • 2018
  • 본 연구는 SNS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SNS 유형 및 SNS 이용강도에 따라 어떤 광고 메시지 형태와 정보원이 더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메시지 형태별 실험적 광고물을 개발하고 정보원별 상황을 설정한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메시지 형태별 광고효과는 SNS 유형과 이용강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사실적 메시지는 관심사기반 SNS와 이용강도가 높은 이용자에서 더 크고, 평가적 메시지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 없이 관계기반 SNS 이용자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별 광고효과는 SNS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여 친구 및 동료와 SNS로 아는 사람인 경우는 관계기반 SNS 이용자에서 더 크고, 기업인 경우는 관심사 기반 SNS 이용자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SNS 이용강도에 따라서는 차이 없이 친구 및 동료인 경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무적 측면에서 SNS를 이용한 광고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바가 있으며, 향후에는 연구대상 SNS와 조사대상자를 보다 다양하게 하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SNS 이용자의 폐쇄형 SNS로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SNS Users' Switching Intention Toward Closed SNS)

  • 박현선;김상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35-160
    • /
    • 2014
  • SNS는 소통의 매체이자 공유와 인맥관리를 위한 도구로서의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개방형 SNS에서 불특정 다수와의 소통에 대한 피로감과 사생활 노출에 대한 불안감 증가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SNS 이용자들은 서비스 이용중단을 결정하거나 특정 지인들과 그룹을 형성하여 소통하는 폐쇄형 SNS로 서비스 전환을 결정한다. 하지만 개방형 SNS가 약한 연결 관계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관계를 확산시키고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경제 및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SNS 이용자들이 개방형 SNS에서 폐쇄형 SNS로 이동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이주를 설명하는 유용한 프레임워크로 알려진 Push-Pull-Mooring 모형을 근거로 SNS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SNS의 부정적 요인으로 제안한 푸쉬 효과의 약한 연결성과 프라이버시우려, 폐쇄형 SNS의 긍정적 요인으로 제안한 풀 효과의 즐거움, 소속감이 폐쇄형 SNS으로의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자의 상황적 요인으로 제안한 무어링 효과 중 SNS 피로감은 푸쉬 효과와 SNS 전환의도 간의 관계를, 그리고 사용자저항은 풀 효과와 SNS 전환의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가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 이용자들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NS 사용자 중독 형성 매커니즘과 중독 예방 전략 (Understanding the formation mechanism of SNS addiction and its prevention strategy)

  • 김병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4호
    • /
    • pp.27-47
    • /
    • 2019
  •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mechanism of SNS addiction. Based on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we considered relationship maintenance, perceived enjoyment, and self-expression as main desires to induce SNS addiction. The characteristics of SNS users were also considered as major factors affecting SNS addiction. In particular, self-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s were considered to be prevention factors that could reduce SNS addiction, while SNS relational intimacy was considered to be a facilitator that would increase SNS addi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ethod was used to test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a sample of 224 Facebook users who have used it more than 6 months.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Findings Relationship mainten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sclosure intention and SNS addiction, respectively. Perceived enjoy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disclosure intention, while it was in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However, self-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self-disclosure intention and SNS addiction.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both self-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s had negative effects on SNS addiction. The analysis results found that SNS relational intim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SNS addiction.

SNS 효능감, 사회비교 성향,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Effects of SNS Self-Efficacy,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Missing Out on SNS Addiction Proneness :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 이장근;임한;유가우;정용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37-149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 242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의 성향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개인의 성향을 SNS 효능감, 사회비교 성향, FoMO로 구분하고 각 성향이 일상생활장애 및 조절실패, 가상세계 지향성 및 금단, 몰입과 내성 등 중독 경향성의 3가지 하위 차원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FoMO는 SNS 중독경향성의 모든 하위차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SNS 효능감과 사회비교 성향은 일부 차원과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네트워크 특성이 스트레스 요인과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Fatigue and SNS Stresses based on the Smart Phone)

  • 노미진;장성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4호
    • /
    • pp.163-17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s between SNS fatigue and stress of smartphone SNS, with SNS characteristics. The study focuses on two types of SN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nd systems characteristics. We examine SNS stress factors that includes the communication and system overload.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mart PLS 3.0. The study conducted A sample of 286 participants was collected from SNS users. Find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relevance in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had an effect on the communication overload, but it had not an effect on the system overload. The information accuracy had an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nd system overload. The app pace of change influenced the communication and system overload, but the app complexity influenced the system overload. Finally, the SNS stres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NS fatigue. Th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this results.

SNS 품질 특성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 김병곤;윤일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1호
    • /
    • pp.35-51
    • /
    • 2014
  • The popular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providing web sites has increased continuously by using a variety of mobile device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security of SNS, efficiency of SNS, safety, empathy of SNS quality, easy of use of SNS, assurance of SNS, service variety of SNS are having positive impact to some degree on the user satisfaction. Further, the user satisfaction of SNS us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SNS users. This results show that various SNS qualities are necessary to actively explore and obtain further information that users intend to find, while they are insufficient in function to provide the information other users require or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through the SNS.

구조적 및 관계적 사회 자본이 SNS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적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tructur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on SNS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 김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87-2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SNS 공간에서 사회적 자본이 어떻게 형성되고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고, 나아가 구조적 및 관계적 사회 자본이 이용자만족도와 지속적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연대감(구조적 사회 자본)은 관계적 사회 자본(SNS 사이트 신뢰, SNS 이용자 신뢰 및 상호호혜성)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관계적 사회 자본 중 SNS 사이트 신뢰가 이용자 만족도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SNS 이용자 신뢰 및 상호호혜성은 이용자 만족도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계적 사회 자본 중 SNS 사이트 신뢰, 상호호혜성은 지속적 정보공유 의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SNS 이용자 신뢰는 지속적 정보공유 의도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SNS 공간에서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SNS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Use of SNS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Marketing)

  • 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41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SNS 마케팅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현장에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NS를 학교도서관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서교사 10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학교도서관 SNS 마케팅 운영 현황, 계기 및 목적, 전략,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들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 플러스 친구 등의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SNS를 활용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자 증가, 이용자의 요구 파악 등 학교도서관 활용 증대 및 이용자와 소통을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NS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는 학교도서관 이용안내, 독서 프로그램 홍보 등이며, 마케팅의 대상은 주로 학생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케팅 협의체의 필요성, SNS 마케팅 대상의 확장, SNS 활용에 대한 전문성 신장 등 학교도서관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노인의 SNS 활동을 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연구 (An Evaluative Study on Communication Enhancement Program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of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 신지원;권지성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8호
    • /
    • pp.151-17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SNS 활동을 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을 평가하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소통교육, SNS 활동가 만남, SNS 교육과 실습, SNS 활동과 홍보, 시연회, SNS 활동가 발대식, 오프라인 모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참여자들로부터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과정과 성과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활용을 통한 사회참여의 기회 확대, SNS 활성화를 통한 소통증진, 노인복지의 새로운 대안문화 창출, 세대 간의 긍정적인 인식변화 등 본 프로그램이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SNS 활동을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