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콘텐츠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7초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피로감과 중단: 문화와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Social Networking Service Fatigue and Cessation: Focusing on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 최철환;테라 마호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47-559
    • /
    • 2020
  • 소셜네트워크 시스템(SNS)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주고 있으며, 사람들의 생활과 뗄 수 없는 존재가 된 지 오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권 남녀들의 SNS 피로감을 분석함과 동시에 그러한 피로감이 SNS를 중단하려는 의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도 알아봤다. 연구결과, (a) 여성들이 SNS 활동으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과 평판 걱정, (b) 동양 문화권의 참여자들은 관계 부담, (c) 서양 문화권의 참여자들은 사생활 염려에 관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SNS 피로감과 중단 의도는 통계적인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이는 사람들이 피로감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SNS를 중단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에서 문화와 성별이 SNS에 대한 사람들의 피로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으며, 피로감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사람들만이 SNS를 중단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 김윤성;이지민;박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89-196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486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온라인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SNS 중독경향성, 거부민감성,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남자집단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으로 인한 SNS 중독경향성이 남자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한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녀 집단에서 SNS 중독경향성을 확인하는데 거부민감성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SNS 활용에 따른 학교폭력 대응방안 연구 -사이버불링(따돌림)을 중심으로- (A Study on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of SNS Utilization - Focused on the Cyber bullying -)

  • 신승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68
    • /
    • 2014
  • 스마트기기의 대중화와 SNS의 활용은 우리 사회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를 활용함으로써 나타는 폐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폭력, 허위정보의 양산, 각종 범죄 등에 노출되는 부작용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의 SNS 활용실태와 현재 경찰의 4대악 척결의 하나인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SNS의 급격한 확산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이버불링(따돌림)의 실태에 대해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 SNS 매인화면 GUI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중심으로 (A Study of Mobile SNS Mainpage's GUI Design)

  • 석우;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4
    • /
    • 2014
  • "카카오톡"이 세계시장으로 확대하기를 위해서 중미일의 대표적인 모바일 SNS(Facebook, Wechat, Linkedln)와 대비를 통하여 GUI디자인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카카오톡 GUI디자인의 특징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굵은 선으로 아이콘 구성하는 방법이 전체 스타일에 영합하지만 화면이 복잡해 보이는 측면이 있다. 둘째, 서브메뉴에서 아이콘과 앱링크, 광고이미지 등 다양한 요소를 한꺼번에 놓으면 혼란한 측면이 있다.

  • PDF

SNS 기반 패션 콘텐츠 앱 설계 (Design of Fashion Contents Application based on SNS)

  • 강지훈;백상민;황소영;유동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58
    • /
    • 2013
  •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여러 성공 사례도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도메인 중 SNS와 결합한 패션 콘텐츠 앱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앱은 기존 온라인 쇼핑몰의 통일되지 않은 치수 정보를 보완하고 SNS와의 결합을 통해 패션정보 공유 및 교류를 가능하도록 한다.

  • PDF

5G 시대 군(軍) SNS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시지 형태가 장병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my SNS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of 5G Age - Focusing on the effect of message form on the perception of soldiers -)

  • 김태웅;이동희;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1-42
    • /
    • 2019
  • 본 논문은 5G시대와 전 장병이 일과 후 병영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SNS를 활용한 효과적인 군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SNS 메시지의 형태가 장병들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메시지의 수용도, 군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실험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 연구하였으며 실무적 함의를 제시했다.

  • PDF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 전략 (Strategic Use of SNS in PR for Improving Trust in Government Policy)

  • 차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3-116
    • /
    • 2013
  • 그 동안 정부기관은 소위 대민홍보를 중심으로 하는 일방향적 커뮤니케이션 구성과 방식에 익숙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정부의 공공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용자들의 태도가 극히 드물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스마트 단말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인해 정부기관의 공공정책에 대한 PR 방식이 SNS, 어플리케이션 제작 등으로 다각화되고, 이를 통해 관련 정보에 대한 수용자의 이해도는 물론 참여를 적극적으로 높이는 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정부 등 공공기관이 SNS를 통한 PR 캠페인 활동을 좀 더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국내 및 미국의 사례를 통해 정부정책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 전략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했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 정구철;문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46-156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을 조사하였으며, 매개효과는 Preacher와 Hayes(2008)의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붓스트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일상생활장애, 몰입 및 내성,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SNS채널속성에 따른 검색의도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earch index on Purchase behavior by SNS channel attributes)

  • 손정일;허철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35-1544
    • /
    • 2018
  • 본 연구는 SNS채널속성에 따라 검색의도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고자 SNS채널을 최근 1년 이내에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구매행동을 설문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SNS채널속성에서 정보제공성과 정보상호작용성은 검색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정보의 신뢰성은 검색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NS채널의 이용자를 통해 구매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신뢰성과 정보제공성도 주요시되고 있으나 그 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SNS채널 검색의도라고 볼 수 있다. 검색의도는 정보신뢰성과 정보제공성을 높이는 조절효과를 함으로 단순히 SNS채널의 속성을 높이는데 이어 정보제공성과 정보상호작용을 높여 검색의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짐바르도 시간관과 삶의 만족도가 기관 SNS 태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Zimbardo's Time Perspective and Life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SNS Attitude and Word-of-Mouth Effect)

  • 이진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14-131
    • /
    • 2022
  • SNS를 통한 정부 중앙 부처 및 공공기관의 효과적인 대국민 소통이 나날이 중요해지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이들 기관 임직원의 시간관과 삶의 만족도가 기관 운영 SNS 태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 연구는 총 136명의 현직 임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 과거긍정적, 현재쾌락적, 미래지향적 시간관은 삶의 만족도와 기관 SNS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거부정적 시간관은 삶의 만족도에만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운명론적 시간관은 삶의 만족도와 SNS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삶의 만족도는 기관 SNS 태도를 통해 구전효과에 순차적으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정부 중앙 부처 및 공공기관 임직원의 시간관 및 삶의 만족도가 기관 SNS 태도 및 구전효과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으로써 대국민 소통 및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