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4초

모바일 미디어 플레이어를 위한 대화형 멀티미디어 언어 (Interactive Multimedia Language for Mobile Media Player)

  • 김미하;류은석;정진환;유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19-22
    • /
    • 2003
  • 빨라진 프로세서와 충분한 메모리로 인하여 MPEG-1 MPEG-4 등의 동영상 표준을 기반으로 한 컨텐츠를 PDA 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단순히 플레이 시키는 일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제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미디어를 감상하는 차원을 넘어서 사용자가 참여 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원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SMIL2.0 을 기반으로 하는 대화형 멀티미디어 언어를 연구하고, 여기에 벡터 그래픽스(Vector Graphics)를 추가 시켰다. 또한, 트랜스래이터(Translator)를 구현하여 markup language 를 바이너리 포맷(Binary format)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좀 더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대화형 멀티 미디어 언어를 이용하여 대화형 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고 자체적으로 제작한 PDA 용 통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시킴으로써 대화형 멀티미디어 언어를 이용한 무선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 PDF

멀티미디어 동영상 강의 저작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for multimedia animation lectures)

  • 하얀;정선호;이승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13-520
    • /
    • 2004
  •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동영상 저작도구를 개발하여 가상 교육의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동기화 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통합하여 저작하고 편집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속성들로부터 XML문서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동영상 강의를 손쉽게 저작할 수 있으며, 웹 문서로의 빠른 전환이 가능하다.

  • PDF

XML 기반 리듬 편집 및 재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hythm Editing and Playing System Based on XML)

  • 손원성;이용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341-1350
    • /
    • 2000
  • Much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represent music information on computers. However, one problem of the previous approaches is that music information cannot be hared with other music systems since they have used their own representation schemes.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we have developed a new scheme for representing, editing, and playing rhythms among music information based on XML which is a web standard language. We present a RDML (Rhythm Description Markup Language) to exactly describe rhythm information such as beats, musical instruments, and performance information, which is much simpler thant previous representation schemes. Moreover, the RDML representation can be played by converting it into SMIL representation. Because our approach is based on the web standard, the music information can be shared on the web.

  • PDF

MPEG-4 제작 시스템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언어로의 변환기법 (Conversion Mechanism of variable Multimedia Languages in MPEG-4 Authoring System)

  • 임영순;김희선;깅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38-341
    • /
    • 2004
  • XMT 는 텍스트 형식의 MPEG-4 씬 기술 언어로 방송용 오디오/비디오 편집 및 사용자 중심의 미디어 컨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재생 환경에서 컨텐츠의 상호 교환을 지원하는 XMT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XMT 저작 시스템은 XMT의 두 가지 파일 포맷인 $\alpha$$\Omega$를 생성한다. 두 파일 포맷은 같은 객체를 표현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alpha$$\Omega$를 위한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두 개의 파일 포맷을 지원하는 내부 자료 구조를 정의하고, XMT-$\alpha$를 BIFS 로 변환하는 기능과 XMT-$\Omega$를 SMIL 과 XMT-$\alpha$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XMT 의 다양한 환경에서 멀티미디어의 상호 교환성을 제공한다.

  • PDF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Adaptation for the Mobile Learning System Based on CC/PP

  • Kim, Su-Do;Park, Man-G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883-890
    • /
    • 2008
  • It becomes enabled to provide variety of multimedia contents through mobile service with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nd handsets.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an be displayed in the presentation format which is unified the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text, audio, image, video, etc. It is applicable as a new type of ubiquitous learning. In this study we propose to design a mobile learning system by providing profiles which meets the standard of CC/PP and by generating multimedia messages based on SMIL language through the adaptation step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content type, and the device property of learners.

  • PDF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XML 문서의 DTD 공유 기법 (A Method of Sharing DTD for XML Documents by Using Mobile Agents)

  • 정길호;선승상;엄영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89-592
    • /
    • 2001
  • 최근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XML 을 이용한 기업간문서교류(Business-To-Business)에 관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DTD(Document Type Definition)는 인터넷 문서 포맷을 지정하는 W3C 같은 곳에서 지정된 XML, XSL, SVG, SMIL 과 같은 문서들에 대한 Scheme를 정의하는 문서로 Markup 언어의 Element 와 Attribute 등을 정의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에이전트 기술을 이용하여 BtoB에 적합한 DTD 공유 기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분산되어져 있는 DTD 서버간의 효율적인 연결 기법을 제시하고, DTD에 대한 검색 및 동기화에 대한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삼차원 시.공간을 이용하는 프레젠테이션 공동저작 시스템 (Collaborative Authoring System using 3D Spatio-Temporal Space)

  • 이도형;성미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6호
    • /
    • pp.623-63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시간 편집 환경과 공간 편집 환경을 하나의 삼차원 저작 환경으로 통합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공동 저작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저작 시스템은 하나의 삼차원 좌표계에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의 공간 속성과 시간 속성을 동시에 표현한다. 한 개의 축은 일반적인 시간 정보(T-zone)를 표현하고 나머지 두개의 축은 공간 정보(XY-zone)를 나타내며 시간적인 미디어 객체들은 삼차원 육면체로 표현하고 오디오 객체는 원통 모양으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자유자제로 삼차원공간을 이동하며 시간 편집과 공간 편집을 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공동 저작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공유 객체들에 대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동시성 제어 기법은 다중버전 기법(multiple versions)을 가시화하여 공동 저작에서의 사용자 인지(user awareness)를 높였으며 공유 객체에 대한 접근허가권(access permissions)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에서의 지연이나 장애로 발생할 수 있는 충돌(collision)을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이 동시성 제어 기법은 잠금 단위를 세밀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집 자유도를 최대한 보장하였으며, 공유 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낙관적 동시성 제어(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를 지원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동시 편집할 때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XML 기반 원격 교육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XML)

  • 이금우;이준욱;오광진;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699-702
    • /
    • 2000
  • 지금까지 컴퓨터를 강의실상에서의 교육의 보조 수단만 사용해 왔던 일 방향적인 교육의 제한적 메카니즘이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통신과 공간상의 제약을 뛰어넘은 적극적이고 다양한 교육전달의 시도가 이제 현실화되고 있다. 따라서 첨단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교육 시스템을 위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교육에서는 새로운 교육의 변화에 따라 시, 공간의 제약을 벋어난 가상교육 또는 원격 교육을 현실화 할 수 있는 중추적인 기반 구조 및 통합 시스템을 제공해야 하며 이 시스템이 제공하게 되는 중심적인 기능성은 실제 강의실 수업형태와 같은 효과 이상의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원격교육을 위한 통합 시스템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원격 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스쿨 구축의 기반을 이루는 학습컨텐츠 저작 시스템, 학습자 학습진행 프로그램 둥을 연구, 개발하였다. 또한 XML 에 기반한 SMIL을 멀티미디어들의 통합과 다양한 미디어들의 동기화를 표현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표준적이고 확장성이 높은 컨텐츠를 저작툴을 개발하였다.

  • PDF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EC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오이 양분흡수 모델링 (Modeling Nutrient Uptake of Cucumber Plant Based on EC and Nutrient Solution Uptake in Closed Perlite Culture)

  • 김형준;우영회;김완순;조삼증;남윤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5-76
    • /
    • 2001
  •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을 위한 양분흡수 모델링을 작성하고자 EC 처리(1.5, 1.8, 2.1, 2.4, 2.7 dSㆍm-1)를 수행하였다. 생육 중기까지 EC 수준에 따른 양액흡수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중기 이후 EC가 높을수록 흡수량이 감소되는 경항을 보였다(Fig. 1). NO$_3$-N, P 및 K의 흡수량은 생육기간 동안 처리간 차이를 유지하였는데 N과 K는 생육 중기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P는 생육기간 동안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S의 흡수량은 생육 중기 이후 모든 처리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생육 후기에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Fig. 2). 오이의 무기이온 흡수율에서와 같이 흡수량에서도 EC간 차이를 보여 EC를 무기이온 흡수량을 추정하는 요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기이온 흡수량은 모든 EC 처리간에 생육 초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육중기 이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 후 생육 후기의 높은 농도에서 그 차이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단위일사량에 따른 양액흡수량과 EC를 주된 변수로 한 오이의 이온 흡수량 예측 회귀식을 작성하였는데 모든 무기이온 흡수량 추정식의 상관계수는 S를 제외한 모든 이온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N, P, K 및 Ca에서 높았다. S이온에서의 상관계수는 0.47로 낮게 나타났으나 각 이온들의 회귀식에 대한 상관계수는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여 위의 모델식을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무기이온 추정식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Table 1). 이를 이용한 실측치와의 비교는 신뢰구간 1%내에서 높은 정의상관을 보여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Fig 3)..ble 3D)를 바탕으로 MPEG-4 시스템의 특징들을 수용하여 구성되고 BIFS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반면에 XMT-0는 멀티미디어 문서를 웹문서로 표현하는 SMIL 2.0 을 그 기반으로 하였기에 MPEG-4 시스템의 특징보다는 컨텐츠를 저작하는 제작자의 초점에 맞추어 개발된 형태이다. XMT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저작 정보들을 손쉽게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XMT 파일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API 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MT 형태의 중간 자료형으로의 저장 및 조작을 위하여 XML 에서 표준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고 있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XMT 문법에 적합하게 API를 정의하였으며, 또한, XMT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API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공된 API는 객체기반 제작/편집 도구에 응용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사용되었다.x factorization (NMF), generative topographic mapping (GTM)의 구조와 학습 및 추론알고리즘을소개하고 이를 DNA칩 데이터 분석 평가 대회인 CAMDA-2000과 CAMDA-2001에서 사용된cancer diagnosis 문제와 gene-drug dependency analysis 문제에 적용한 결과를 살펴본다.0$\mu$M이 적당하며, 초기배발달을 유기할 때의 효과적인 cysteamine의 농도는 25~50$\mu$M인 것으로 판단된다.N)A(N)/N을 제시하였다(A(N)=N에 대한 A값). 위의 실험식을 사용하여 헝가리산 Zempleni 시료(1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