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MIL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Multimedia Content Authoring Tool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

  • 이혜정;정성태;정석태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5
    • /
    • pp.955-963
    • /
    • 2003
  • In this paper, in order to help one to write contents for education in such a way to increase effectiveness, we implement SMIL editor, which helps anyone to author contents for education and multimedia text in an easy way based on multimeda language SMIL. Thanks to its interface which utilizes WYSIWYGT, this editor allows teachers or other users who do not know SMIL to write contents for education and multimedia text in an easy way and to check in a real time how a partially completed document work and to revise when it is not satisfactory. It also allows one to write contents with explanations to help learning because usable multimedia objects can be inserted. This editor helps the user to reduce his inconvenience that he has in memorizing SMIL tags and to reduce his time and offers in writing the documents.

Implementation of SMIL Editor for Multimedia Broadcasting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SMIL 편집 시스템 구현)

  • 장대영;김창수;정회경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3
    • /
    • pp.622-629
    • /
    • 2004
  • Recently, as digital broadcasting and internet are spreaded out of the world, we can easily use informations with less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s, concerns for the ways of representing multimedia data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users demand the services with integrated document that takes not only simple text and image but also time varying audio-visual data. Therefore, in 1998, W3C presented an international standard, SMIL in order to solve multimedia object representation and synchronization problems. By using SMIL, various multimedia elements can be integrated as a multimedia document with proper view in a space and time. Using this SMIL document, we can create new internet radio broadcasting service that delivers not only audio data but also various text, image and video. In this paper, we describe on a SMIL document editor for the common users to be able to represent time varying multimedia data with special layout and synchronization of time and space.

A SMIL-based Web Editor for Multimedia Teaching Aids (멀티미디어 교안 제작을 위한 SMIL 기반 웹 에디터)

  • 장성호;손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495-497
    • /
    • 1999
  • 웹이 인터넷을 대표하는 서비스가 되고 많은 사람들이 웹을 사용하면서 HTML의 많은 한계가 지적되었다. 그중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DHTML, JAVA 등의 기술이 도입되었으나 네트워크의 과부하나 브라우저의 부하 등의 단점이 나타났다. 이에 W3C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한 SMIL의 표준을 제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간 시공간적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SMIL 문서 에디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SMIL 문서 에디터는 멀티미디어 교실에서 활용되는 교안을 제작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멀티미디어교안 작성 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여러 미디어들이 동기화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교안을 작성할 때 교사들의 컴퓨터 조작 능력을 고려하면서도 교육의도를 완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WYSIWYG 방식과 Drag & Drop 방식을 채택하였다. 익숙하지 않은 교사들이 쉽게 SMIL로 멀티미디어 웹 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주로 설계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 PDF

Verification of SMIL 2.0 Document using a Functional Transformation (함수적 변환을 이용한 SMIL2.0 문서의 검증)

  • Kim, Kyu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84-28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문서인 SMIL 2.0 문서를 함수적 변환을 이용하여 문서의 검증방법을 제안한다. SMIL 2.0 문서는 기존 SMIL 1.0보다 더 많은 시간 관계의 기술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문서 작성의 융통성은 높아지지만 상호작용에 따른 잠재적인 모순의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다. 특히 비결정행위에 따른 미디어 객체간 상호 참조 및 이벤트 참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모순 검증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검증 방범은 SMIL 2.0 문서를 함수적 표현으로 변환하고 객체간 상호참조를 탐색하여 모순 유무를 나타내는 검증 프로토타입이다. 적용 예로는 상호작용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문서의 검증이다.

  • PDF

SMIL Extensions for Representation and Streaming of Lecture Contents (원격강의 컨텐츠의 표현과 스트리밍을 위한 SMIL 확장에 대한 연구)

  • 최용준;정상준;권은영;구자효;김종근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6 no.3
    • /
    • pp.527-538
    • /
    • 2003
  • The contents of remote lectures are written by authoring tools or animation tools. Written contents then integrate existing medias, and are stored in a file type, which is added to the lecturing activities of lecturers. These files are stored according to the kinds of each authoring tool. So, there is no interchange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each media is not so good. Due to these structural features, it is not possible to do streaming lectures in on-line environments. In this study, a technique was suggested, which guarantees the interchangeability of remote lecturing contents using SMIL which is a synchronizing multimedia language. The suggested technique is an extended type of SMIL, and includes tags to represent the lectures of tutors which are the specific feature of remote lectures. Additionally, a model, which does streaming SMIL remote lecture contents through on-line, and which transfers control techniques are suggested. The remote lecture contents established by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all authoring tools for remote lectures just by installing conversion modules, and can be a kind of expression model of the synchronizing model for streaming service in on-line environment.

  • PDF

SMIL Authoring System for Multi-media synchronization and representation (멀티미디어 동기화 및 표현을 위한 SMIL 저작 시스템)

  • Ham, Jong-Wan;Jin, Du-Seok;Choi, Bong-Kyu;Cao, Ke-Rang;Park, Man-Seob;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653-656
    • /
    • 2009
  • Currently with development of development and the hardware of the superhigh speed network about increase is spreading out at the rapid pace the many multimedia contents quite from internet. The production environment is growing about the multimedia contents because of such as circumstance, as well as multimedia contents will increase. However, Numerous voice, the picture, with text etc. the time of the same multimedia contents and problem of spatial synchronization occur, started.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solves like this problem point presented the method for. Does so,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where puts a base i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will be able to compose the expression of the multimedia contents which is various standard was proposed. SMIL the individual multimedia object of chain with time will be able to integrate with the multimedia presentation which is synchronized spatial in order. In this paper a variety of multimedia content and synchronization of the time and space, to be represented by integrating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IL authoring system.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Integrated web Multimedia Contents Server and Client System (웹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클라이언트 통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Won, Duck-Jae;Kim, Se-Young;Noh, Kang-Rae;Shin, Yong-Tak;Shin, Dong-Kyoo;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11-614
    • /
    • 2001
  • 최근 인터넷 사용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웹 상에서 유기적으로 통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1998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는 통합 멀티미디어 표현 언어인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을 발표하였고, SMIL-Boston으로 진행했던 SMIL 1.0 확장 프로젝트를 SVG(Scalable Vector Graphics)의 애니메이션 기능의 도입 및 기능 확장으로 2000년 9월 SMIL 2.0으로 최종 Working Draft안을 발표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MIL컨텐츠 저작을 위한 자동 생성 모듈 및 전용 저작 도구를 제공하고, SMIL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재생기와의 통합으로 원활한 SMIL 컨텐츠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웹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통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Multimedia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MIL (SMIL을 이용한 Web기반의 멀티미디어 교육환경의 설계 및 구현)

  • 박영조;부창희;방혜자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1-414
    • /
    • 2000
  • 멀티미디어와 웹이 발전해감에 따라 많은 교육부분에서 이러한 컴퓨터 분야를 접복하기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왔다. 여러 멀티미디어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HTML로는 동기화를 표현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Markup Language를 만든 것이 바로 SMIL이다. 본 논문에서는 SMIL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교육환경을 사용자에게는 교육효과의 극대화를 획득할수 있고, 개발자에게는 교육환경의 변화수용속도의 증가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IL-based Multimedia Authoring Tool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

  • 김태현;김경일;이승원;정병달;이영진;이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420-422
    • /
    • 2000
  • Web의 등장으로 디지털 정보의 표현이 텍스트 위주의 단순한 미디어에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급격히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를 통합 표현하기 위한 요구가 확산되어 1998년 XML을 기반으로 한 SMIL이라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합을 위한 동기화 정보 기술 언어의 표준이 W3C에 의해 발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문 분야의 정보를 가진 사용자들이 SMIL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만으로 쉽게 멀티미디어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도구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Design of Mobile Interact ive Language (모바일 환경을 위한 대화형 언어의 정의)

  • Yun, Min-Hong;Ryu, Eun-Seok;Yoo, Chun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612-614
    • /
    • 2003
  • SMIL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은 멀티미디어(multimedia) 객체(object)간의 동기화를 목표로 만들어진 markup language 이다. SMIL 은 시간과 사용자의 동작 포함한 많은 것들을 사건(event)으로 정의하여 사건의 발생에 따라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배열과 상영시간을 결정한다. 그렇지만 SMIL의 최대 목표는 동기화(synchronization)에 있기 때문에 대화형 언어(interactive language)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MIL 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고 SMIL을 기반으로 모바일(mobil) 환경을 위한 대화형 언어를 정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