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RA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7초

SIDRA6를 이용한 Two Signals Roundabout 분석방법 제안 (A Proposal of Two Signals Roundabout Analysis Method Using SIDRA6)

  • 안홍기;;김동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111-1121
    • /
    • 2015
  • 회전교차로는 각 접근로의 진입교통량이 불균형할 경우 주 접근로의 대기행렬이 길어지게 됨으로 회전교차로 전체의 용량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보통 1대의 신호등으로 운영되는 Metering 회전교차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2대의 신호등에 의해 운영되는 Metering 회전교차로의 연구는 미흡하다. 교차로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SIDRA6 또한 2대의 신호등으로 구성된 회전교차로의 분석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2대의 신호등으로 운영되는 호주 Adelaide의 Old Belair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4-nodes Intersection을 이용한 새로운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구축 방법에서 4개의 독립 교차로 연결, 기하구조 반영, 방향별 교통량 입력, 우선권 및 신호현시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정산방법에서는 PFF, Critical Gap, Follow-up Headway 그리고 Extra Bunching 값의 적용에 대하여 제시 하였다. 그 결과 회전교차로의 효과척도인 지체시간 및 서비스 수준의 분석이 가능하며 그 외 포화도 및 상충교통량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HCM 분석방법과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신호교차로의 차로별 분석방법 연구 (Assessing Signalized Intersection Performance by Individual Lane Level Using Current HCM Methods and Software)

  • 이재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49
    • /
    • 2008
  • 현재 HCM 신호교차로의 운영평가는 차로군 단위로 이루어져 차로별 고유 특성을 일반화하여 실제교통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추가적인 자료수집을 요구하지 않고 현 HCM 분석방법과 관련 software를 활용하여 신호교차로 운영을 차로별로 분석하는 단계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차로별 분석결과는 현재 HCM 차로군 분석결과와 차로별 분석이 가능한 호주 HCM 분석방법을 따르는 aaSIDRA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차로별 분석방법은 현 HCM 방법에 비해 HCM 지체도 산정공식중 증분지체의 민감도에 따른 영향으로 미미하게 높은 지체도를 보였다. 포화도와 대기행렬길이 등의 부가적인 효과척도는 두 방식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aaSIDRA와의 결과비교에서는 비보호좌회전차로의 분석결과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차로별 분석방법은 보다 미시적인 신호교차로 분석을 통해 현 분석 방법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진입교통량을 고려한 회전교차로 Signal Metering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undabout Signal Metering Operation by Considering Entry Lane's Traffic Volume)

  • 안우영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75-181
    • /
    • 2012
  • 회전교차로(roundabout)는 용량 이하의 상태에서 접근로별 교통류가 균등할 경우 기존 신호교차로에 비해 운영효율성이 증대되나 토지이용변화로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접근로별 교통류가 불균등 해질 경우(차로 당 450대/시 이상) 주접근로에서 회전교차로 내부로의 진입이 어려워져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1차로형 4지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회전교차로 설치이후 교통량 증가로 신호교차로 설치에 대한 재검토를 하기 전에 회전교차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Signal Metering 전환기준 및 운영방법을 제시하고 효과분석(지체 및 대기행렬)은 SIDRA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총 진입교통량이 1,800~2,000pcu/시 이고 주접근로의 진입교통량비가 60~70%일 때 지체는 30~40% 그리고 대기행렬은 30~60% 감소하였다. 또한 주접근로에 가장 인접한 부접근로에 Metered Approach를 설치하고 한 쌍(pair)으로 묶어서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량 불균형을 고려한 회전교차로와 신호교차로간 최적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mal Distance between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Roundabouts Considering Unbalanced Traffic Conditions)

  • 안홍기;김동선;배기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707-714
    • /
    • 2021
  • 회전교차로 주변 지체 유발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교통량 불균형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연구에서는 교통량 불균형을 규명하는 연구에 있어 상충교통량보다 진입교통량 비율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회전교차로 건설 시 지체와 관련한 인접 교차로와의 적정거리에 관한 연구도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통량 불균형이 발생하고 신호 교차로와 인접한 이천시 가좌로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교통량 불균형 및 적정거리 산정 연구를 SIDRA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좌로 회전교차로는 상충교통량 측면에서 불균형 상태로 인해 회전교차로의 지체가 발생하였고 신호교차로와 거리가 850 m일 때부터 모든 접근로에서 대기행렬이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회전교차로 활성화를 위한 적정교통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ropriate Traffic Volume Calculation for Revitalizing Roundabout Installation)

  • 이동민;유정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3-52
    • /
    • 2013
  • 회전교차로는 교차로 중앙의 원형교통섬을 우회하며 교차로를 통과하고, 진입차량이 회전차량에게 양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교차로 유형이다. 회전교차로는 교통운영 및 안전측면에서 다른 교차로 유형에 비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매년 약 100여개의 회전교차로가 전국적으로 시범 설치 운영되어 모니터링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분석용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임 SIDRA를 이용하여 교통류 조건에 따라 회전교차로 계획, 및 설계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유형별 적정 교통량 기준을 마련하였다. 교통시뮬레이션 분석결과 방향별로 진입교통량이 100-150대/시 이상인 1차로 비신호교차로(TWSC, AWSC)와 진입교통량이 400-500대/시 이하인 신호교차로 경우에는 회전교차로 전환에 따라 교통운영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좌회전 교통류율이 30%가 넘는 교차로에서는 회전교차로 보다는 신호교차로를 설치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회전교차로의 적정교통량 수준 산정결과는 회전교차로 도입의 적절한 위치 선정에 도움에 되어 회전교차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회전교차로와 4지 신호교차로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odern Roundabouts and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 박병호;김태영;한상욱;양정모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7-35
    • /
    • 2009
  • 회전교차로(roundabout)는 영국에서 교통서클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영국은 1966년 모든 회전교차로에서 "우선권(give-way)"제도를 도입하였는데, 그것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은 교차로 내에서 가장 멀리 회전하는 차량에 우선권을 주거나 양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나 유럽에서 사용되는 회전교차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전교통량의 변화를 반영하여 분석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회전교차로와 신호교차로를 SIDRA를 이용하여 평균제어지체를 분석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2,000pcph 이하일 때,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둘째, 2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3,200pcph 이하일 경우에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셋째, 좌우회전 전용차로 설치 교차로일 경우 회전교차로의 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 PDF

다이아몬드 입체교차점에서의 회전교차로 도입에 따른 운영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Applicability of Roundabout to the Diamond Interchange)

  • 김태영;박상혁;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3-6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이아몬드 입체교차점에서 회전교차로의 도입가능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입체교차점에서 회전교차로와 비신호교차로 및 신호교차로의 효과를 aaSIDRA를 이용하여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지 교차로 분석에서는 총 진입 교통량이 480pcph이상에서 1차로 회전교차로가 비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으로 분석되며, 진입교통량이 $480{\sim}1,880pcph$에서 2차로 회전교차로가 일반교차로보다 효과적으로 분석된다. 둘째, 3지 교차로 분석에서 1차로 교차로일 경우 총 진입교통량이 980pcph이상에서, 2차로 교차로의 경우 총 진입교통량이 $1,600{\sim}3,680pcph$에서 회전교차로가 다른 일반교차로보다 효과적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입체교차지점에서 회전교차로 설치 시 교차로 진입교통량의 범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근로별 포화도를 고려한 Roundabout Signal Metering 운영방법에 관한 연구 (Roundabout Signal Metering Operation Methods by Considering Approach Lane's Degree of Saturation)

  • 안우영;이소영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17-226
    • /
    • 2013
  • PURPOSES : Under the capacity conditions with balanced approach flows, roundabouts give less delay th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s; however, flows over 450 vehicles/hour/lane with unbalanced approach flow conditions, roundabouts efficiency drops due to the short time difference between the critical gap and the follow-up head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roundabout Signal Metering operation method by considering approach lanes degree of saturation. METHODS : A four-way-approach with one-lane roundabout is selected to compare the Signal Metering performance for the case of 16 different unbalanced flow conditions. Based on these traffic conditions,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for 64 different cases of Signal Metering combinations by using SIDRA software. A degree of saturation(V/C ratio) sum for two adjoined approaches is used for the performance index of choosing Metered Approach and Controlling Approach. RESULTS : When the V/C ratio sum is 0.29~0.81 and Metered Approach flow is less than Controlling Approach flow, the average delay saving per vehicle is about 7 seconds; however, after this rage the delay saving decreases gradually until the V/C ratio sum reaches around 1.0. The range of V/C ratio sum 0.93~1.09 provides average delay saving per vehicle about 3 seconds. In case of V/C ratio sum is grater than 1.0 and the flows of Metered Approach is grater than Controlling Approach, the average delay per vehicle increases 3~11 times respectively. CONCLUSIONS : As expected, the Signal Metering provides substantial improvements in delay saving for the case of V/C ratio sum is 0.3~1.0 under the traffic flow conditions of Metered Approach is less than Controlling Approach.

교차로 형태에 따른 차량 당 탄소가스 배출량 비교 (Vehicles' CO2 Emissions by Intersection Types)

  • 김다예;오흥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23-133
    • /
    • 2013
  • PURPOSES : The present paper is to compare vehicles' $CO_2$ emissions in roundabouts and signalized intersections. METHODS : The present paper uses the SIDRA software with variables of traffic and road condition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hen entering traffic volumes are more than 1600pcph, vehicle's $CO_2$ emissions in roundabouts are lower than those of signalized intersections regardless of the left turn ratio. Second, When entering traffic volumes are more than 2800pcph, vehicles's $CO_2$ emissions in 2-lane approaches are lower than those of 1-lane approaches in signalized intersection. Third, when entering traffic volumes are more than 1600pcph, vehicle's $CO_2$ emissions of CASE B are lowest. (CASE B is the condition with one exclusive left-turn lane and one exclusive straight lane and one shared straight lane with right-turn.) Also, CASE A is the condition that vehicle's $CO_2$ emissions in roundabouts are lower than those of signalized intersections between 1600pcph and 3600pcph. (CASE A is the condition with one exclusive left-turn lane and one shared straight lane with right-turn.) But, when entering traffic volumes are more than 4000pcph, vehicle's $CO_2$ emissions in signalized intersections is lower than those of roundabouts. CONCLUSIONS : It may be concluded that vehicle's $CO_2$ emissions on roundabouts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signalized intersections, especially, when entering traffics volumes are between 1600pcph and 3600pcph in 1-lane or 2-lane approaches.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Roundabout Capacity Model)

  • 안홍기;김동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2호
    • /
    • pp.143-150
    • /
    • 2021
  • 회전교차로는 신호 교차로와 비교 시 용량증대, 안전성 증대 및 대기오염 감소 등의 장점으로 인해 국내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1년 시작된 국내 회전교차로의 역사는 어느덧 10년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불명확한 통행우선권 및 부족한 자료의 축적 그리고 해외 용량분석과 비교시 차이점으로 인해 회전교차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연구는 회전교차로 용량모형에 관한 연구보다는 회전교차로 설치 시 효과분석에 집중된 성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회전교차로의 대표적 모형인 경험적 모형과 간격수락 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호주의 SIDRA 모형과 미국의 USHCM 2010 모형을 국내 도로용량편람 2013 모형과 비교해 보았다. 향후 국내 회전교차로 용량의 예측 시, 더욱 정확한 용량분석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