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6

검색결과 7,326건 처리시간 0.035초

p$\cdot$Si-전해질 접합의 광기전력 효과 (Photovoltaic Effects of the p$\cdot$Si-Electrolyte Junction)

  • 한석용;김연희;김화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2-54
    • /
    • 1982
  • p·Si-전해질 접합을 전해질로 6N H2SO4, 6N H2SO4(Ti3+), 6N H2SO4(Ti4+), 6N H2SO4(Ti4+/Ti3+)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이들 전해질중 6N H2SO4(Ti4-/Ti3+)을 사용할 때 p·Si 광음극이 안정하게 동학하며 높은 광전 감도를 가지고 있었다. p·Si-electrolyte junction are prepared by using p·Si photocatode in four different electrolytes such as 6N H2SO4, 6N H2SO4(Ti3+), 6N H2SO4(Ti4+), 6N H2SO4(Ti4+/Ti3+) respectively. Among those electrolytes 6N H2SO4(Ti4-/Ti3+) shows very good results, in which p·Si photocathode is stable.

  • PDF

Mg-6Zn-2Cu 및 Mg-6Zn-1.5Si합금의 미세조직 및 석출거동 (Microstructure and Precipitation Behaviour of Mg-6Zn-1.5Si Alloys)

  • 김유영;안인섭;남태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2-367
    • /
    • 1998
  • Mg-6Zn-2Cu 및 Mg-6Zn-1.5Si(wt%)합금의 미세조직 및 석출거동을 조사하였다. 합금은 $4 x 10^{-4}$ 의 진공분위기에서 제조하였고 용체화처리는 $435^{\circ}C$에서 8시간 행하였다. Mg-6Zn합금에 1.5wt.%Si를 첨가한 합금에서는 입계 및 입내에 $10\mu\textrm{m}$-2$\mu\textrm{m}$크기의 구형의 $MgZn_{2}$$Mg_{2}$Si상이 존재한다. 시효경화거동은 용체화처리된 Mg-6Zn-2Cu 및 Mg-6Zn-1.5Si합금에서 조사되었다.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6Zn-2Cu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으나, 시효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Zn-Si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다. 시효처리 후 생성된 석출상들은 투과전자현미경 분석결과 Mg-6Zn-2Cu합금에서는$ Mg_{2}$$Zn_{3}$이었고 Mg-6Zn-1.5Si 합금에서는 $Mg_{2}$$Zn_{11}$ /이었다.

  • PDF

Si 함량에 따른 Fe-Si 압분코어의 자기적 특성 (Variation of Magnetic Properties of Fe-Si Compressed Cores with Si Content)

  • 장평우;이봉한;최광보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7
    • /
    • 2010
  • 연자기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잘 알려진 Fe-6.5 % Si 합금을 분말로 제작하여 성형한 Fe-6.5 % Si 압분코어에서도 좋은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Fe-3, 4.2 그리고 6.8 % Si 압분코어를 각각 제작하여 교류와 직류 자기특성, 미소경도 등을 분석하였다. 실리콘 함량이 증가할수록 와전류손실은 감소하나 이력손실은 증가하여 Fe-6.8 % Si에서 최소손실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실리콘함량이 증가할수록 코어의 전기비저항과 분말입자의 미소경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 때문에 충진율은 감소하였다. B2와 $DO_3$상이 Fe-6.8 % Si 분말에서만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6.8 % Si보다 낮은 실리콘 함량에서 코어손실이 더 낮은 것을 절연체와 분말입자의 비저항 비율, 미소경도변화에 따른 충진율 저하와 반자장 효과 등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플라즈마 화학증착법으로 제조된 수소화된 비정질 탄화실리콘 박막의 물성에 대한 붕소의 도핑효과 (Effect of boron doping on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carbide thin films prepared by PECVD)

  • 김현철;이재신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4-111
    • /
    • 2001
  • $SiH_4$, $CH_4$, $B_2H_6$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화학증착법으로 비정질 탄화실리콘(a-SiC:H) 박막을 증착하였다. 기상 doping 농도를 0에서 $2.5\times10^{-2}$ 범위에서 변화시켜 얻은 박막의 물성을 SEM, XRD, Raman 분광법, FTIR, SIMS, 광흡수도와 전기전도도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B_2H_6$/($CH_4+SiH_4$) 기체유량비가 증가할수록 붕소의 도핑효율와 미세결정성은 감소하였다. 증착 중 $B_2H_6$ 기체가 첨가됨에 따라 비정질 탄화실리콘 박막의 Si-C-H 결합기의 강도는 감소하였으며, 이의 영향으로 박막내의 수소함량은 $B_2H_6/(SiH_4+CH_4$) 기체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16.5%에서 7.5%로 단조감소하였다. $B_2H_6(CH_4+SiH_4$) 기체유량비가 증가할수록 a-SiC:H 박막의 광학적 밴드갭과 전기활성화 에너지는 감소하였고,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다.

  • PDF

저탈각 (100) Si 기판의 열산화 및 적층 결함 (Thermal oxidation and oxidation induced stacking faults of tilted angled (100) silicon substrate)

  • 김준우;최두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5-193
    • /
    • 1996
  • (100) Si wafer를 $2.5^{\circ},\;5^{\circ}$ 기울인 뒤, dry $O_{2}$ 분위기에서 산화시킴으로써, 시편들 간의 산화 거동 및 산화에 의한 적층 결함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시편을 $900~1200^{\circ}C$에서 산화시키고 ellipsometer로 두께를 측정한 결과 저탈각 (100) Si이 (100) Si보다 산화 속도가 빨랐으며, $5^{\circ}$ off면이 $2.5^{\circ}$ off면보다 더 빨랐다. 결정방향에 따른 산화속도 차이는 산화 온도가 높아질수록 줄어들었다. 각 시편의 속도 상수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포물 성장 속도 상수의 경우 (100) Si, $2.5^{\circ}$ off (100) Si, $5^{\circ}$ off Si이 각각 27.3, 25.9, 27.6 kcal/mol이였고, 선형 성장 속도 상수는 58.6, 56.6, 57.4 kcal/mol이였다. 또한, 두 시편에 대해 산화막을 선택 식각하 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100) Si에 비해 $5^{\circ}$ off된 면의 산화에 의한 적층 결함 밀도가 훨씬 낮음을 확인하였고, 적층 결함 간의 각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 PDF

Inhibition of Cervical Cancer Cell Growth by Gene Silencing of HPV16 E6 Induced by Short-interfering RNA

  • Park, Sang-Muk;Lee, Sun-Kyung;Kim, Yoon-Sik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89-97
    • /
    • 2011
  • The Human Papilloma Virus (HPV) infection has been strongly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of uterine cervix carcinoma. HPV type 16, a causative agent of uterine cervix carcinoma, encodes the E6 and E7 oncogenes, expression of which is pivotal for malignant transformation and maintenance of malignant phenotypes. To develop a gene therapy for HPV-related carcinoma,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6 short-interfering RNA (E6 siRNA) on the expression of this oncogene and on the growth of HPV 16-related uterine cervix carcinoma cells. SiHa cells, a uterine cervix carcinoma cell line, which contain a single copy of HPV 16 integrated in the chromosome and express the E6 and E7 oncogenes. Before 24 hr of transfection, cells were seeded and transfected with control plasmid or E6 siRNA-expressing plasmid. The mRNA was analysed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cell growth rate was investigated by MTT method. The E6 mRNA level in SiHa cells was decreased in HPV 16 E6 siRNA-expression vector transfected cells and a decrease in the growth of these cells was also observed. From these results. it is evident that E6 siRNA played a role in suppression of growth of SiHa cells and has a fair chance as a candidate for gene specific therapy for HPV related uterine cervix carcinoma.

  • PDF

화학기상증착에 의한 Fe-6.5wt%Si철심재료의 특성평가 (Characteristics of Fe-6.5wt%Si Core Material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 윤재식;김병일;박형호;배인성;이상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12-518
    • /
    • 2001
  • 6.5wt%Si강판을 낮은 철손실, 고투자율 그리고 자왜가 거의 0으로 우수한 자성재료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화학기상증착 (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6.5wt%Si 강판을 만들었다 이 과정은 튜브 노내에서 실리콘의 함량이 낮은 Si강판에 SiCl$_4$가스를 반응시킨다. 이때 SiCl$_4$가스에서 분해된 Si의 원자들은 모재인 강판 표면에 증착되어 표면층에 Si가 풍부한 층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고온에서 확산과정을 통하여 모재 내부로부터 실리콘의 함량이 균일한 강판을 얻을 수 있다. 0.5mm두께를 갖은 6.5wt%Si 강판의 철손실은 고주파수에서 약 8.92W/kg를 나타냈으며 투자율은 53,300으로 일반 실리콘강판, 즉 2.5wt%Si강판의 투자율 37,100보다 약 두배 가량 증가하였다. 또한 기계적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일반 0.5wt%Si강판과 773K의 온도에서 수시간 열처리한 강판을 인장실험 하였다. 따라서 수 시간 열처리한 시편에서 연신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파단면을 관찰한 결과 입 계파단면이 현저히 감소했음을 알았다

  • PDF

저압에서의 사알렌과 디사일렌의 열분해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yrolysis of Silane and Disilane at Low Pressure)

  • 한재현;문상흡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0-357
    • /
    • 1995
  • SiH4와 Si2H6를 1-3 Torr 정도의 저압에서 열분해시켰을 때, 반응물의 농도 변화를 살펴보고 이로부터 열분해의 반응 기구를 예측하였다. 분석기로는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였으며, 분해 온도 범위는 SiH4의 경우는 $350~475^{\circ}C$, Si2H6의 경우는 275-375$^{\circ}C$이었다. SiH4의 분해 양상은 1차 비가역 반응에 잘 들어 맞았으며, 그 속도 상수는 문헌에 보고되어 있는 상압에서의 속도보다 작았다. Si2H6는 낮은 온도 범위에서도 잘 분해되었으며, 중간 생성물로 많은 양의 SiH4를 만들었다. 그리고, SiH4는 고분자화되는 반응을 거치지 않고 고체실리콘을 생성하지만, Si2H6는 중간 생성물로 만들어진 SiH4와 SiH2에 의하여, 고분자화 반응을 거쳐서 고체실리콘을 만들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원거리 플라즈마 화학증착을 이용한 규소 박막의 결정성 (The crystallinity of silicon films deposited at low temperatures with Remote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RPECVD))

  • 김동환;이일정;이시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4권S1호
    • /
    • pp.1-6
    • /
    • 1995
  • Polycrystalline Si films have been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TFT), image sensors and LSI applications. In this research deposition of Si films at low temperatures with remote plasma enhanced CVD from Si2H6-SiF4-H2 on SiO2 was studied and their crystallinity was investigated. It was condluded that growth of crystalline Si films was favorable with (1) low Si2H6 flow rates, (2) moderate plasma power, (3) moderate SiF4 flow rates, (4) moderate substrate temperature, and (5) suitable method of surface cleaning.

  • PDF

수태양소장경근(手太陽小腸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硏究) (Anatomical study on The Arm Greater Yang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7-6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omponent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dividing the regional muscle group into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the inner part of body surface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 blood vessels and the others, displaying the inner structure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the muscle, nerve and blood vessels. 2. In human anatomy, it is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a term of nerve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uscle of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Meridian Muscle. 3. The inner composition of meridian muscle in human arm is as follows ; 1) Muscle ; Abd. digiti minimi muscle(SI-2, 3, 4), pisometacarpal lig.(SI-4), ext. retinaculum. ext. carpi ulnaris m. tendon.(SI-5, 6), ulnar collateral lig.(SI-5), ext. digiti minimi m. tendon(SI-6), ext. carpi ulnaris(SI-7), triceps brachii(SI-9), teres major(SI-9), deltoid(SI-10), infraspinatus(SI-10, 11), trapezius(Sl-12, 13, 14, 15), supraspinatus(SI-12, 13), lesser rhomboid(SI-14), erector spinae(SI-14, 15), levator scapular(SI-15), sternocleidomastoid(SI-16, 17), splenius capitis(SI-16), semispinalis capitis(SI-16), digasuicus(SI-17), zygomaticus major(Il-18), masseter(SI-18), auriculoris anterior(SI-19) 2) Nerve ; Dorsal branch of ulnar nerve(SI-1, 2, 3, 4, 5, 6), br. of mod. antebrachial cutaneous n.(SI-6, 7), br. of post. antebrachial cutaneous n.(SI-6,7), br. of radial n.(SI-7), ulnar n.(SI-8), br. of axillary n.(SI-9), radial n.(SI-9), subscapular n. br.(SI-9), cutaneous n. br. from C7, 8(SI-10, 14), suprascapular n.(SI-10, 11, 12, 13), intercostal n. br. from T2(SI-11), lat. supraclavicular n. br.(SI-12), intercostal n. br. from C8, T1(SI-12), accessory n. br.(SI-12, 13, 14, 15, 16, 17), intercostal n. br. from T1,2(SI-13), dorsal scapular n.(SI-14, 15), cutaneous n. br. from C6, C7(SI-15), transverse cervical n.(SI-16), lesser occipital n. & great auricular n. from cervical plexus(SI-16), cervical n. from C2,3(SI-16), fascial n. br.(SI-17), great auricular n. br.(SI-17), cervical n. br. from C2(SI-17), vagus n.(SI-17),hypoglossal n.(SI-17), glossopharyngeal n.(SI-17), sympathetic trunk(SI-17), zygomatic br. of fascial n.(SI-18), maxillary n. br.(SI-18), auriculotemporal n.(SI-19), temporal br. of fascial n.(SI-19) 3) Blood vessels ; Dorsal digital vein.(SI-1), dorsal br. of proper palmar digital artery(SI-1), br. of dorsal metacarpal a. & v.(SI-2, 3, 4), dorsal carpal br. of ulnar a.(SI-4, 5), post. interosseous a. br.(SI-6,7), post. ulnar recurrent a.(SI-8), circuirflex scapular a.(SI-9, 11) , post. circumflex humeral a. br.(SI-10), suprascapular a.(SI-10, 11, 12, 13), first intercostal a. br.(SI-12, 14), transverse cervical a. br.(SI-12,13,14,15), second intercostal a. br.(SI-13), dorsal scapular a. br.(SI-13, 14, 15), ext. jugular v.(SI-16, 17), occipital a. br.(SI-16), Ext. jugular v. br.(SI-17), post. auricular a.(SI-17), int. jugular v.(SI-17), int. carotid a.(SI-17), transverse fascial a. & v.(SI-18),maxillary a. br.(SI-18), superficial temporal a. & v.(SI-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