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3초

8품종 변이체 벼의 현미 및 백미빵 가공성 비교

  • 강미영;고희종;한지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0.1-210
    • /
    • 2003
  • 8품종벼를 시료로 하여 이들 배유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 당함량 및 아밀로그램 특성이 쌀빵의 가공성과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청가에 의한 아밀로오스 함량의 품종간 차이는 남풍벼, 화청벼 > 분질미 > 남풍 CB243 > 화청 du-1, 남풍 EM9O > 화청찰벼 > shr 의 순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고당미인 shr이 가장 높아 8.2%였으며, 벼 품종간 단백질 함량은 거의 유사하나, 남풍벼 및 화청벼 변이체의 경우에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을수록 원품종보다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품종별 쌀가루의 호화개시 온도는 분질미 및 shr이 낮았으며, 화청벼, 남풍벼들과 그것들의 변이체 품종들의 경우에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쌀가루 풀의 점성 및 경도는 증가하며, 제조된 쌀빵의 비용적이 크며, 관능검사에 의한 부푼 정도,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품종에서 백미빵이 현미빵보다 제빵성이 좋았으며, 남풍 벼로 제조한 백미빵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에 따른 노화지표가 가장 낮았다.

  • PDF

어육단백질로부터 분리된 항고혈압 펩타이드가 ACE 저해활성과 본태성 고혈압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hypertensive Peptides Originated from Various Marine Proteins on ACE Inhibitory Activity and Systolic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도정룡;허인숙;조진호;김동수;김현구;김성수;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67-570
    • /
    • 2006
  • 본 연구는 항고혈압 활성이 있는 어육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물로부터 얻어진 peptide분말을 실험동물인 본태성 고혈압쥐(SHR)에게 음용수로 공급하여 혈압강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in vitro에서 멸치, 명태 그리고 고등어 가수분해물 500 ${\mu}g$을 첨가하여 각각 75, 81 그리고 35%의 ACE 저해활성을 보였던 펩타이드 분말 0.4167%을 희석하여 SHR에게 음용수로 공급한 후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1주일 마다 총 섭취한 사료의 무게와 음수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중 SHR의 일당증체량은 명태(C)와 고등어처리군(D)이 각각 1.26 및 1.36 g으로 A군(0.78 g)과 B군(0.77 g) 보다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섭취량은 $16.85{\sim}19.93$ g/day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생후 13주령된 SHR를 대상으로 실험개시 전 측정한 기준혈압(RBP)은 실험군에서 평균 224mmHg 로 큰 차이가 없이 비슷하였다 어육 펩타이드 음용군(멸치, 동태, 고등어)은 경시적으로 감소경향을 나타냈으며 실험군 중 D군(고등어)의 수축기혈압은 투여 후 7일에 208mmHg로 측정되어 RBP 보다 15 mmHg가 감소하였고, 이 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8일에 191 mmHg로 실험군 중 가장 낮았다. C군(명태)은 투여 후 14일에 214mmHg로 측정되어 11 mmHg가 감소하였고, 28일에 202 mmHg로 나타났다. B군(멸치)은 투여 후 7일까지는 기준혈압(223 mmHg)과 비슷하였고, 이후 28일까지 203 mmHg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어육 펩타이드 대신 생수음용 대조군(A)은 실험기간 중 225-216 mmHg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준혈압(0일) 대비 28일의 혈압 감소치는 어육 펩타이드(멸치, 동태, 고등어) 음용군에서 각각 20, 23, 32 mmHg로 RBP대비 혈압감소율은 각각 9.0, 10.2, 14.3%로 나타났다.

천마 분말,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이 본태성고혈압쥐(SHR)의 혈청지질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wder, 50%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e Rhizoma on Serum Lipids and Blood Pressure in SHR Fed High-Fat Diet)

  • 한찬규;이옥환;김경임;박정민;김영찬;이부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95-1101
    • /
    • 2003
  • 본 연구는 천마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태성고혈압쥐(SHR/NCrj)를 공시하여 고지방식이(lard, 10%)를 급여하면서 천마 분말과 50% 에탄올과 열수추출물이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 4주와 고지방식 이와 천마식이 4주 등 총 8주간 시험 후 종료체중은 대조군(A)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천마분말 1%군(C)이 가장 낮았다. 평균 성장률은 식이군간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이 천마식이군에 비해 다소 높았다. 식이섭취량은 천마분말 10%군(D)과 열수추출물 2 brix군(G)이 가장 많았고 천마분말 5%군(C)과 열수추출물 10 brix군(H)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장기중 간장과 신장무게는 열수추출물군(H)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비장무게는 차이가 없었다. 정소무게는 천마분말군(C,D)이 유의하게 높았고, 열수추출물군(G, H)이 가장 낮았다(p<0.05). 혈청지질중 TC 함량은 대조군(A, B)이 가장 높았고, 천마식이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TG 함량은 식이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HDL 함량은 대조군(A)과 천마분말 5%군(D)을 제외한 천마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p<0.05), LDL 함량은 대조군(A, B)이 가장 높았고, 열수추출물군(E, G)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천마식이를 급여하기 전(생후 약 8주령)모든 SHR의 기준혈압은 176.7∼195.1 mmHg으로, 평균혈압은 185.7 $\pm$ 5.8 mmHg이었다. 천마식이를 급여한 후 14일이 경과시 50% 에탄올추출물군(F)과 열수추출물군(G, H)에서 혈압이 각각9.5, 19.0, 10.9 mmHg 감소하였고, 28일에는 특히 50% 에 탄올추출물군(E, F)에서 각각 13.1, 10.5 mmHg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천마식이 급여 전 기준혈압 대비 감소율은 50%에탄올(E, F)과 열수추출물군(G)에서 각각 16.8, 20.2, 11.7 mmHg으로써 유의한 혈압변화로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SHR 실험쥐의 혈압강하에 천마의 50% 에탄올추출물(F)이 천마의 분말식이 및 열수추출물에 비해 수축기혈압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본태성 고혈압쥐와 정상쥐의 혈압과 미네랄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izikia Mineral Salts on Blood Pressure and Mineral Metabolism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nd Normotensive Rats)

  • 김영명;변지영;한찬규;성기승;남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03-209
    • /
    • 2009
  • 본 연구는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혈압과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는 고 저 염식군(Hizikia mineral salt)과 대조군(정제염)의 세가지 처리군으로 하였고, 실험동물인 본태성 고혈압쥐(SHR/NCrj)와 정상쥐(WKY/NCrj)에 음용수의 형태로 식염을 급여하였다. SHR에서는 시험 6주째 수축기혈압(SBP)이 C군보다 고 저염식군(A, B)이 각각 17,24 mmHg 낮았고, 기준혈압(RBP)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2, 4, 21%로 B군이 가장 낮았다. WKY의 경우 시험 6주째 SBP는 A군과 C군에서 각각 165, 164 mmHg인 반면, B군은 148 mmHg로 훨씬 낮았다. RBP 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7, 7, 19%로 B군이 가장 낮았다. 소변과 분변 중의 미네랄은 SHR/WKY 종에서 무기 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Na^+$ 함량은 유의하게 낮았지만 $K^+$함량은 무기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유의하게 또는 대체로 높았다. 소변과 분변 중 미네랄함량은 다소간 차이가 있었지만 대변보다 소변으로 더 많이 배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경우 SHR은 $K^+$을 제외한 $Na^+$, $Ca^{++}$$Mg^{++}$ 함량은 무기성분강화 염군보다 대조군이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WKY에서 $Na^+$ 함량은 고염식군(A)이 가장 높았고, 신장에서 SHR의 $Na^+$ 함량은 정제염군이 무기성분강화염군보다 높았지만 WKY에서는 오히려 A군과 B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K^+$ 함량은 저염식군(B)이 가장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톳유래의 저염식은 $Na^+$ 함량은 낮추고 $K^+$ 함량은 높이는 등의 체내 미네랄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혈압상승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Influence of Ginseng Saponins on the Isolated Aortic Contractile Response of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 Lim, Dong-Yoon;Cha, Dong-Se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178-18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인삼사포닌 성분 즉, 총인삼사포닌(GTS), panaxadiol-type saponin(PDS) 및 panaxatriol-type saponin(PTS)이 정상 혈압쥐(NR) 및 자연발증 고혈압쥐(SHR)의 대동맥편에서 혈관수축약물의 수축반응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henylephrine(아드레날린성 $\alpha$$_{-1}$-수용체 효능약)과 고농도 칼륨(막탈분극약)은 NR및 SHR의 대동맥편에서 각각 현저한 혈관수축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수축반응은 SHR보다 NR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NR에서 고농도 칼륨(5.6$\times$$10^{-2}$ M)에 의한 혈관수축반응은 GTS(300 $\mu$g/ml), PDS(300 $\mu$g/ml) 및 PTS(300 $\mu$g/ml)의 존재 하에서 각각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에, phenylephrine($10^{-6}$ M)에 의한 혈관수축반응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SHR에서 고농도 칼륨(5.6$\times$$10^{-2}$ M)에 의한 혈관수축반응은 GTS(300 $\mu$g/ml), PDS(300 $\mu$g/ml) 및 PTS(300 $\mu$g/ml)의 존재하에서 각각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고농도의 PTS(600 $\mu$g/ml)의 전처치에 의해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Phenylephrine($10^{-6}$ M)에 의한 혈관수축반응은 PTS의 전처치에 의해서 용량 의존적(150-600 $\mu$g/ml)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나 GTS(300 $\mu$g/ml)나 PDS(300 $\mu$g/ml)의 존재 하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인삼사포닌 성분은 흰쥐 적출 대동맥편에서 아드레날린성 $\alpha$$_{-1}$-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작용과 일부 미지의 기전에 의해서 혈관이완작용을 일으키며, 이러한 인삼사포닌 성분에 대한 반응에서 NR과 SHR간에 혈관 평활근의 감수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삼사포닌 성분 중 PTS가 혈관이완작용에 대한 효력이 가장 큰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Nifedipine on Endocrine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to Angiotensin II in SHR Fed with Different Sodium Diets

  • Choi, Eun-Kyung;Park, Yoon-Yub;Ahn, Dong-Kuk;Park, Jae-Sik;Lee, Won-J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1993
  • Effects of a voltage dependent calcium channel antagonist, nifedipine, on the responses of blood pressure, and secret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and aldosterone to angiotensin II (Ang II) were compared in male Wistar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A low, control or high sodium diet (2, 10 or 25 mmol Na/100 g diet) was fed for 6 weeks from the age of 6 weeks. On the morning of the experiment catheters were inserted under ether anesthesia in the femoral artery for pressure recording and blood sampling, and in the femoral vein for drug infusion. Ang II was infused at a rate of 250 ng/kg/min for 20 min. Nifedipine mixed with Ang II was infused at a rate of $16{\mu}g/kg/min$ for 20 min. Arte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fusion of Ang II with or without nifedipine. The control plasma level of aldosterone was inversely related to the amount of salt intake, whereas the plasma ANP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salt groups. SHR showed a higher basal plasma ANP but a lower aldosterone concentration than Wistar rats. Infusion of Ang II pro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lood pressure and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and ANP: The % increa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ither between the salt groups or between SHR and Wistar rats. SHR showed a greater pressor response to Ang II but a remarkably smaller decrease in heart rate after Ang II infusion than Wistar rats, With increasing sodium intake, the effect of Ang II on aldosterone secretion was decreased, whereas that on ANP secretion or blood pressure was not changed. Nifedipine decreased the responses of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o Ang II in all groups. Nifedipine caused almost a complete inhibition of Ang II induced ANP secretion, but only a partial inhibition of Ang II induced aldosterone secretion or vasoconstri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lcium dependent processes were involved in Ang II induced vasoconstriction, and secretions of aldosterone and ANP. However, the calcium dependent process far ANP secretion wa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at for aldosterone secretion or vasoconstriction evoked by ang II. The ang II induced increase in ANP secretion appeared to be caused primarily by activating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s, whereas Ang II induced aldosterone secretion and vasoconstriction was not.

  • PDF

미세투석법을 이용하여 흰쥐 후 사상하부에서 세포외액의 모노아민과 대사체들의 생체내 측정 (In Vivo Measurement of Extracellular Monoamines and Their Metabolites in the Rat Posterior Hypothalamus Using Microdialysis Technique)

  • 성기욱;김성윤;조영진;이권행;이상복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1992
  • 최근에 개발된 생체내 미세투석법을 이용하여 정상혈압 흰쥐(WKY)와 자연발생성 고혈압 흰쥐(SHR)의 후 시상하부에서 세포외액의 모노아민과 그 대사체들을 측정하였다. 뇌정위 고정장치에 의해서 미세투석관을 후 시상하부에 위치시킨후 링거액으로 관류하였다. 모노아민과 그 대사체들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와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미세투석관의 시험관내 회수율 검사 결과, 관류액의 유속과 신경화학물질의 상대적 회수율 사이에는 역비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정상 혈압 흰쥐에서 후 사상하부의 관류액으로 부터 축정한 각종 신경화학물질의 세포외액 농도는 도파민 32nM, 노르에피네프린 50nM, 에피네프린 50nM, 세로토닌 73nM, 3.4-dihydroxyphenylacetic acid(DOPAC) 281 nM, homovanillic acid(HVA) 181 nM,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3767nM이었다. 후 시상하부에서 측정된 신경전달물질의 기준치는 WHY와 SHR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DOPAC, HVA, 5HIAA의 기준치는 WKY에 비해서 SHR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추 신경화학물질들의 생체내 측정에 미세투석법을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고혈압백서의 신장 Renin Heterogeneity에 관하여 (Heterogeneity of Renin Released from Renal Cortical Slices)

  • 전창렬;최병수;김선희;조경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295-305
    • /
    • 1988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renal cortical blood flow rat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medulla and the renal blood flow distribution was affected by hemorrhage, volume expansion or salt-loading. The existance of the heterogeneities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nephron has also been repor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gulations and physiological roles of the heterogeneities, studies on the intrarenal renin-angiotensin system have been focused.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the granularity of iuxtaglomerular cells and renal renin content are more marked in superficial than in the deep glomeruli, their physiological significance is not quite clear. This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clarify changes in renin response and isoelectric ronin profile to TMB-8 in outer, mid and inner cotices of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rats. The basal rate of renin release was highest in outer cortex of Sprague-Dawley rat (SDR), Wistar rat (WR)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The basal renin release from outer and inner cortex of SH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rom those of SDR. The reponse of renin release to TM8-8 was highest in mid cortex and the increase of renin release in response to TMB-8 from inner cortex of SD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HR. In dehydrated rats, the basal renin release from renal cortical slices of SDR was increased but that from WR and SHR was not. The response of renin release to TMB-8 from mid and inner cortex of dehydrated WR tended to increase. In dehyrated SHR, increase of renin release from inner cortex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uhydrated SH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soelectric renin profile were found both in different cortical areas and strains. In dehydrated rats, the percentage of renin form 2 was decreased and those of renin form 5 and 6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terogeneity of renin release from cortical area of euhydrated and dehydrated rats in response to TMB-8 may be related to the changes of renal blood flow and/or calcium metabolism in cortical area. These data also suggest that the renin forms with different isoelectric points may have an physiological significance.

  • PDF

대시호탕가미방(大柴胡湯加味方)이 고혈압(高血壓) 및 고지혈증(高脂血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A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Kami-Daesihotang on Hyperlipidemia & Hypertension)

  • 박치상;박창국;한승동;박순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84
    • /
    • 1998
  • The aim of the study was the experiment of the effect that Kami-Daesihotang had on the essential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Kami-Daesihotang for 30days and the constituent of the plasma and serum were analysed at the 10th, 20th and 30th day from the first day of experiment, respectively. The heart rate, blood pressure, plasma renin activity, plasma level of aldosterone, catecholamine, sodium and angiotensin II were measured after an oral administration of Kami-Daesihotang in SHR. In addition,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otal lipid were measured with cholesterol-fed ra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1.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remarkably decreased the blood pressure in SHR. 2.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were recognized as having the effect on the decreased of the pulse rate in SHR. 3. Plasma renin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d in SHR after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treatment. 4.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considerably reduced the plasma angiotensin level in SHR. 5. Noticeable decreased of plasma norepinephrine level was showed in SHR, after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treatment. 6.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noticeable reduced body weight in hyperlipidemia rats which had fed with 1% cholesterol. 7.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had a significantly decreasing effect on serum total cholesterol in hyperlipidemia rats which had fed with 1% cholesterol. 8. Serum triglyceride level was importantly decreased in hyperlipidemia rats which had fed with 1% cholesterol, after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treatment. 9. Remarkable decreased of serum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was found in hyperlipidemia rats which had fed with 1% cholesterol, after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treatment. 10.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was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ing effect on serum total lipid level in hyperlipidemia rats which had fed with 1% cholesterol. 11. Single-dosage Kami-Daesihotang noticeably reduced organ weight of liver, kidney, spleen and testis in hyperlipidemia rats which had fed with 1% cholesterol. Double-dosage Kami-Daesihotang significantly decreased organ weight of liver, kidney and spleen in hyperlipidemia rats. These Findings suggest a possible anti-hypertensive and hyperlipidemic effect of Kami-Daesihotang.

  • PDF

8품종 변이체 벼의 현미 및 백미빵 가공성 비교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made from Eight Varieties of Endosperm Mutants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 강미영;고희종;한지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2-89
    • /
    • 2000
  • 8품종벼를 시료로하여 이들 배유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 당함량 및 아밀로그램 특성이 쌀빵의 가공성과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청가에 의한 아밀로오스함량의 품종간 차이는 남풍벼, 화청벼>분질미>남풍CB243>화청du-1, 남풍EM9O>화청찰벼>shr의 순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고당미인 shr.이 가장 높아 8.2%였으며, 벼 품종간 단백질함량은 거의 유사하나, 남풍벼 및 화청벼 변이체의 경우에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을수록 원품종보다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품종별 쌀가루의 호화개시 온도는 분질미 및 shr이 낮았으며, 화청벼 남풍벼들과 그것들의 변이체 품종들의 경우에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쌀가루 풀의 점성 및 경도는 증가하며, 제조된 쌀빵의 비용적이 크며, 관능검사에 의한 부푼 정도,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품종에서 백미빵이 현미빵보다 제빵성이 좋았으며, 남풍벼로 제조한 백미빵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에 따른 노화지표가 가장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