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FA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73초

한국 성인의 지방산 섭취와 복부비만 및 고혈당과의 관련성 -1998~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Fatty Acids Intake and Its Association with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8~2007)

  • 박용순;박효진;원선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62
    • /
    • 2012
  • Abdominal obesity is an important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and is known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tty acid intake pattern as well as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in Korean adult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 II, III, and IV. After excluding subjects who had missing data for dietary intakes, anthropometric measurments, and laboratory tests, a total of 12,320 subjects aged 20~64y (5,266 men and 7,054 wom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rends in individual consumption of dietary fatty acids by year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test, and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was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energy intake, marital status, job, education level, alcohol intake, and smoking status. In men, intakes of TFA, SFA, MUFA, FUFA, and n-6 PUF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year. On the other hand, intakes of TFA, SFA and FUF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year in wom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PUFA, LNA and n-3 PUFA in women.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any fatty acid intakes in men. The risk of hyperglycemia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TFA, SFA, PUFA, and LNA in 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ny fatty acid intakes in women. These results show that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intake of fatty acids, suggesting that fatty acid type may be associated with risk of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Futher, the macronutrients of measl must be properly balanced.

한국과 OECD 국가의 의료서비스산업의 기술효율성 분석 (An Efficiency Analysis of OECD Countries and Korea in Health Service Industry)

  • 장영재;양동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1호
    • /
    • pp.87-109
    • /
    • 2013
  • 본 연구는 OECD의 Health Database로부터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OECD에 가입하고 있는 15개 국가의 의료서비스산업의 실적자료를 이용, DEA와 SFA 기법을 결합하여 OECD 국가의 의료서비스산업의 기술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RS 기준 비방향 SBM 모형을 이용하여 OECD 국가의 의료서비스 산업의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2001년 이후 한국이 벤치마킹 국가로서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의료서비스산업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요인에 의한 비효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환경요인을 조정한 후의 효율성이 조정 전보다 큰 폭으로 상승하여 환경요인이 의료서비스산업의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에서 한국의 의료서비스산업의 효율성은 OECD 국가 중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으며,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위의 결과는 의료서비스의 질과 가격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물량을 기준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이므로,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한국의 의료체계가 효율적이라고 판단할 수 없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두고자 한다.

  • PDF

최적 핵연료집합체와 표준 핵연료집합체의 열수력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the Thermal-Hydraulic Characteristics of Optimised Fuel Assembly with That of Standard Fuel Assembly)

  • Paik, Hyun-Jong;Rim, Chang-Saeng;Park, Goon-Cher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66-74
    • /
    • 1990
  • 원자력 7, 8호기에 장전된 17$\times$17 최적 핵연료집합체의 열수력학적 특성을 원자력 5, 6호기에 장전된 17$\times$17표준 핵연료집합체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열수력학적 특성은 정상상태와 과도출력상태에서의 최소 DNBR, 연료봉 중심온도, 출구 기포율등이며, 아울러 연료봉의 중심이 용융되는 국부선출력과 원자로 운전변수들에 대한 DNBR 민감도 계수도 계산하였다. 사용된 코드는 COBRA-IV-I이며, 임계열속 계산에는 R형 그리드에 대해 수정된 W-3 상관식을, 기포율계산에는 drift-flux model을 이용하였다. 계산결과, DNB가 발생할 확률은 최적 핵연료집합체가 더 높았으나, 연료봉의 중심이 용융되는 국부선출력은 표준 핵연료집합체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국 중소기업 재무구조가 혁신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hinese SMEs' Financial Structure on Innovation Efficiency)

  • 왕의기;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97-108
    • /
    • 2022
  •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중소기업협회에 등재된 중소기업의 패널 데이터를 연구 표본으로 하고, 계량경제학 모형을 이용하여 금융구조가 중소기업의 혁신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확률 변경 분석법(SFA)에 의해 측정된 중소기업의 혁신효율성을 측정하고, Tobit 모형으로 중소기업의 자금조달구조와 혁신효율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에 상응하는 이질성 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델의 견고성을 테스트하였다. 부채와 주식금융이 혁신의 양적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비선형적이고, 주로 반전된 "U"자형 관계를 나타낸다는 결론이 나왔다. 혁신의 질적 효율성을 위한 채권재무는 긍정적으로 기여한 반면에 주식재무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비증후군성 구개열에서 SfaN1 polymorphism발현빈도의 인종적 차이에 관한 연구 (The ethnic difference of the prevalence of SfaN polymorphism in the nonsyndromic cleft palate)

  • 최명희;남동석;;;최제용;재창훈;김성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1-267
    • /
    • 2004
  • 비증후군성 구순구개열은 가장 빈도가 높은 선천성 기형 중의 하나로 특히 한국이나 일본과 같은 극동 지방에서 높은 발생율을 보이고 동유럽에서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인종에 따른 차이는 이 질환에 유전적인 배경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비증후군성 구개열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SfaN1 단일 염기 다형성증의 발현빈도가 한극인 구개열 가족과 루마니아 구순구개열 가족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한국인 26가족과 루마니아 18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인원수는 한국인의 경우 78명이었고 루마니아의 경우 41명이었다. 유전자 서열분석에 사용된 샘플은 각 참여자의 혈액이나 타액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SfaN1 단일 염기 다형성 증은 $TGF-{\beta}3$ 유전자의 5번 인트론에서 관찰된다 (A18141G) 결과를 보면 한국인과 루마니아인의 비증후군성 구개열 가족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 가 인지되었다. 전체 샘플 중에서 AA allele는 한국인에서는 18명(23.1%)이었으나 루마니아는 27명(65.9%)이었다. AS allele는 한국인에서는 27명 (34.6%)이었으나 루마니아에서는 13명 (31.7%)이었다. GG allele는 한국인에서는 33명 (42.3%)이었으나 루마니아에서는 1명 (2.4%)이었다. 두 집단 사이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1). 결론적으로 한국인과 루마니아인의 비증후군성 구개열 가족 사이에 SfaN1 단일 염기 다형성증의 발현빈도는 한국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한국에서 루마니아보다 비증후군성 구개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부분적으로 설명하여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 오일과 토코페롤 급여가 돈육의 지방산, 아미노산, TBARS, VBN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ils and Tocopherol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Amino acid, TBARS, VB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 진상근;김일석;송영민;하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97-308
    • /
    • 2003
  •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함량 중 2%를 들깨유로 대체 급여한 돈육(T1), 들깨유 2%에 비타민 E를 250ppm 첨가한 돈육(T2),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오징어유 2%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CLA를 2%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육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오일간에는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에 비하여 SFA와 EFA는 높은 반면 UFA, MUFA, UFA/SFA MUFA/SFA는 낮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오일간에는 T3가 다른 세 처리구들 (C, T1, T5)보다 높았으며, 동일한 오일에서는 비타민 첨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TBARS의 경우 오일간에는 C와 T1에 비하여 T3와 T5가 높았고, VBN은 C

교잡종 돼지에서 비육기간에 따른 돈육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Effects of Feeding Period on Carcass and Objective Meat Quality in Crossbred Longissimus Muscle)

  • 진상근;김일석;허선진;하경희;김병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11-820
    • /
    • 2004
  • 재래돼지 수컷과 랜드레이스 암컷을 교배하여 생산된 돼지 150두의 비육기간[T1(200일미만), T2(200 ${\sim}$ 220일), T3(220일 이상)]에 따른 돼지의 도체특성과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육기간이 증가할수록 생체중, 도체중 빛 등지방두께는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또한 최종 도체등급은 비육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수분 함량과 pH는 비육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낮아졌으나 조지방 함량은 비육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육색 및 지방색은 비육기간이 걸어질수록 $L^* 값과 b^* 값은 낮아지고, a^*$ 값은 유의적으로(P<0.05) 높아졌다. 가열 감량은 Tl, T3, T2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단가는 비육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육기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서 T2구는 T1과 T3 에 비하여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빛 SFA는 낮았으며, 상대적으로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UFA, EFA, UFA/SFA 및 EFA/SFA 비율은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그러나 Palmit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는 비육기간 간에 따른 함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재래종과 랜드레이스 교잡종 돼지는 비육기간이 증가시 생체중과 도체중 및 육색과 연도가 증가하지만 도체등급은 비육기간의 증가에 의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Its Combination with Flaxseed Oil or Fish Oil on Saturated Fatty Acid and n-3 to n-6 Fatty Acid Ratio in Broiler Chicken Meat

  • Shin, D.;Kakani, G.;Karimi, A.;Cho, Y.M.;Kim, S.W.;Ko, Y.G.;Shim, K.S.;Park, Jae-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9호
    • /
    • pp.1249-1255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LA, flaxseed oil and fish oil and their combination forms on crude fat of liver and fatty acid profiles of liver, breast and thigh meat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72, 1-day-old Cobb broilers were assigned to 6 groups, and fed an experimental diet supplemented with 5 different fat sources; conjugated linoleic acid (2% CLA), flaxseed oil (2% FXO), fish oil (2% FHO), CLA and flaxseed oil combination (1:1; 2% CXO), and CLA and fish oil combination (1:1; 2% CHO). Eight birds per treatment were processed, and liver, breast and thigh samples were investigated at 21 d of 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most fatty acids of liver, breast and thigh meat were influenced by fat sources supplemented in the diet (p<0.05). CLA addition resulted in an increase of crude fat and saturated fatty acid (SFA) content but a concomitant decrease in n-3 to n-6 fatty acid ratio was observed in liver (p<0.05). Moreover, the same trends of SFA and n-3 to n-6 fatty acid ratio were also observed in breast and thigh meats of birds fed CLA alone. In the CXO-fed group or CHO-fed group, n-3 and n-3 to n-6 fatty acid ratio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 increased compared with CLA group, while SFA content decreased (p<0.05). FHO fed-groups had the lowest proportion of n-6 fatty acid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s compared to other fat source treatments (p<0.05). In conclusion, the increased levels of crude fat and SFA in liver and meats obtained by feeding CLA could be reduced by its combination with FXO or FHO.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CLA and FXO or FHO fed to broiler chicks could increase the n-3 to n-6 fatty acid ratio of their meat along with the deposition of CLA.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ine Cone Meal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Serum Cholesterol and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이정호;김규식;신승오;조진호;진영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29
    • /
    • 2007
  • 본 연구는 잣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51주령 Hy-line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실시하였다. 1) T1(기초 사료 + 미루나무톱밥 1%), 2) T2(기초 사료 + 잣 부산물 0.5% + 미루나무톱밥 0.5%) 및 3) T3(기초 사료 + 잣 부산물 1%)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 난중 및 계란 품질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HDL, LDL 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의 함량 및 변화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난황 내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alpha}$-linoleic acid은 T1처리구가 T3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Total SFA, total PUFA, total MUFA 및 total UFA/SFA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alpha}$-linoleic acid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Fermented Garlic Powder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rofile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Ao, X.;Yoo, J.S.;Lee, J.H.;Jang, H.D.;Wang, J.P.;Zhou, T.X.;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86-791
    • /
    • 2010
  • The effects of fermented garlic powder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were studied in a 35-d experiment. Two-hundred and forty (ISA brown) layers aged 41 wee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following four treatments: i) CON (basal diet); ii) G1 (CON+fermented garlic powder 1.0%); iii) G2 (CON+fermented garlic powder 2.0%) and iv) G3 (CON+fermented garlic powder 3.0%).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among treatments in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shell breaking strength and eggshell thickness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yolk heigh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garlic powder during the 5th week while yolk color was greater (p<0.05) in G2 and G3 than in CON and G1 in the 5th week. Compared with CON, Haugh unit was increased (p<0.05) in response to fermented garlic powder treatments during the 5th week. No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protein, albumin and IgG were observed in response to any of the treatments over the experimental period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reduction in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when the dietary level of fermented garlic powder was increased from 0.0 to 3.0%. The levels of saturated fatty acids (SF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response to G2 and G3 while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were higher (p<0.05) in G2 and G3 treatment groups than in CON and G1.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and PUFA:SFA ratio were higher (p<0.05) in G3.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ddition of fermented garlic powder reduced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did not cause adverse effects on production performance. Moreover, addition of 3.0% garlic powder decreased SFA but increased PUFA and PUFA:SFA ratio in egg yo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