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E STAG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 오구균;최송현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459-476
    • /
    • 1993
  • 내륙지역(두륜산, 불갑산)과 서남해 섬지역(홍도, 진도)의 상록활엽수림과 주변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생천이 계열을 분석, 추정하였다. 4개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은 대부분 50여 년생 미만의 영급구조로서 처닝도중상의 군집구조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교목층에서의 우점종은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이었다. 상록활엽수림대의 식생은 낙엽활엽수종에서 상록활엽수종으로 식생천이가 진행중이었으며, 교목층에서는 후박나무, 참식나무 및 황칠나무가,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는 식나무와 센달나무가 극상단계의 수종으로 추정되었다.

  • PDF

밀양시 얼음골 케이블카 건설에정지역 환경성검토 - 자연생태계를 중심으로 - (An Environmental Assessment on Rope way in develop-reserved area, Miryang - Nature Ecosystem -)

  • 최송현;김정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3호
    • /
    • pp.129-143
    • /
    • 2002
  • This study was executed environmental assessm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national landuse planning change on the reserved area for a rope way in the ice valley(Eoreurngol) of Miryang. The selected survery area is $1,633,442m^2$ and assessed with flora, actual vegetation,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sere stage and wild birds. The flora was summarized as 132 taxa which is 90 genera, 117 species, 12 varieties and 3 forms. The actual vegetation was classified 24 types and nature forests like Quercus and deciduous-broad leaf community was distrubuted broadly. Especially Quercus and deciduous-broadleaf communities were assessed high rarity value in Miryang. From the analysis of DGN, it were found out that DGN 8 is 72.5% and DGN 9 is 3.9%. At the analysis of sere stage,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4 with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Carpinus laxiflora and deciduous-broadleaf community. Wildbirds was observated as 30 species and 161 ea and Aix galericulata (natural monument no. 327) especially inhabited there. From the above nature ecosystem assessment, the survey area has high quality naturalness, so it was turned out that a rope way construction might be not suitable in survery area.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 진행에 따른 종조성의 변화 (Seral Changes in Floristic Composition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 Lee, Kyu Song;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2호
    • /
    • pp.275-283
    • /
    • 1995
  • Seral changes in floristic composition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was investigated in eastern Kangwon-Do, Korea. According to the DCA ordination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sere of the dominant species was shown as follows: Digitaria sanguinalis, Persicaria spp., Commelina communis etc. in the annual stage (0∼1 years); Erigeron spp., Artemisia spp., Rubus crataegus etc. in the Erigeron-Artemisia stage (2∼6 years); Pinus densiflora, Salix spp., Miscanthus sinensis, Arundinella hirta etc. in the shrub - earlier tree stage (10∼25 years); P.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Spodiopogon sibiricus etc. in the mid-tree stage (25∼50 years); Q. mongolica, Tripterigium regelii, Lespedeza maximowiczii, Carex siderosticta etc. in the latter tree stage (50∼80 years). In mid-tree stage, size-frequency distribution of P. densiflora was plotted as a platycurtic curve and that of Q. mongolica as a reverse J-shaped curve, which meant P. densiflora was thinned through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Q. mongolica was regenerated by itself in the later tree stage.

  • PDF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생천이계열 고찰 -육박나무군락을 중심으로-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Focusing on Actinodaphne lancifolia Community-)

  • 박석곤;최송현;이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96
    • /
    • 2018
  •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식생천이계열을 논의하기 위해 극상림이라 알려진 육박나무군락이 생육하는 한국 3곳(비진도, 애도, 보길도)과 일본 1곳(다치바나산)을 조사 및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관련문헌을 검토해 상록활엽수림의 분포특성, 식생천이계열 및 극상수종을 고찰했다. 다치바나산과 애도는 육박나무군락이 가장 발달한 식생구조를 보였지만, 토양분석 및 CCA분석에서 육박나무군락을 난온대 천이극상단계의 조건으로 판단하기엔 부족함이 보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육박나무군락은 드물게 분포하는 반면, 동아시아 난온대 지역에 보편적인 식생유형은 후박나무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였다. 한국 난온대 지역의 식생천이계열은 곰솔 소나무 졸참나무 등(초기단계)${\rightarrow}$후박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육박나무 등(중간단계)${\rightarrow}$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극상단계)의 순으로 2차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단, 조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입지조건이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의 종자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는 후박나무류 유형이 토지극상일 것이다.

北漢江 上流 桂芳川 砂礫地 河岸植生의 遷移系列 (Vegatation seres on the pebble area at ye-bang stream bank of north han river in korea)

  • Kim, Jong-Ge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95-210
    • /
    • 1991
  • The primary succession of the pebble area in gye-bang chon, an upper stream bank of north han river, was investigated by belt transect method from July to October 1990. The stsges of bare area, herbaceous pioneer, perenial herb, woody plants and pine stand were recognized from stream bank to inland. The change of the coverage in herbaceous plants increased with developing sueccessional sere but decreaser with increment of woody plants. The species sequence cyrves vs. relative coverage were geometric in pioneer stage and graduaiiy changed to lognormal y\type as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 species diversity was highest during then woody plants stage, probably it would to be the edge effect. The soil properties were not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stream side and inland side. It seems that the vegetational developement was not enough to affect soil accumulation.

  • PDF

The Development of Climax Index by Analysis of Eco-morphological Characters for Major Deciduous Tree Species

  • Kim, Ji Hong;Chung, Sang Hoon;Lee, Jeong Min;Kim, Se 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199-20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limax index by eco-morphology for major 36 tree and sub-tree specie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so as to interpret seral position of each species in the forest community. Fourteen eco-morphological character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successional gradient in the forest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our levels per character for each species were given on a standardized scale of increasing climax, and the index was computed by the proportion of the sum of total scores, expressed by percent values. With calculated mean value of 54.8 for all indices, Carpinus cordata had the highest index value of 90.5, and Populus davidiana recorded the lowest of 13.2. The most climax group, greater than 70 of the index, contained only 8 species, intermediate group, between 41 to 70 of the index, had 23 species, and the most pioneer group, less than 40 of the index comprised 5 species. The result has noticed that the large number of species would take advantage of most diverse resource and niche in the intermediate stage of the sere in the forest. By cluster analysis all 36 species were subjected to be classified into several species groups which had common similar ec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dices were additionally plotted on the two dimensional graph to recognize the positions related to the light absorption factor and reproduction factor. The climax index of tree and sub-tree species developed by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successional stage on the basis of species composition by the method of summing up the indices. And comparison of forest successional stage among various forest communities could be done by summing up the climax indices of composed species in each community. However, this kind of applied methodology should be limited to the forest of similar species composition and site condition.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Early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 in Cheju Island)

  • 유영한;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4호
    • /
    • pp.209-214
    • /
    • 2003
  • 제주도의 저지대 묵밭에서 일어나는 2차 천이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의 높이, 생육형,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 식피율, 우점도지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내륙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전체적인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제주도 묵밭의 식생천이의 특징은 내륙에 비하여 종수가 적고, 식생의 높이가 낮고, 초본층이 우점하는 기간이 길고, 종다양성지수의 변화 유형이 다르고, 천이후기종의 출현이 매우 늦었다. 우점종에 의한 식생천이 계열은 주름잎(0.5∼l년)→큰망초(2년)→쑥(4년)→쑥-낭아초(5년)→찔레꽃-참억새(8년)→참억새(12년)→다년생초본→관목(15년)→예덕나무(20년)→까마귀쪽나무 또는 후박나무(20년 이후)로 추정되었다. 유집분석(Cluster analysis), Twinspan에 의한 분류와 주성분분석(PCA)에 의한 배열의 결과 묵밭은 초기묵밭(0.5∼l년차), 중기묵밭(2∼8년차)와 후기묵밭(8∼20년차)의 세 집단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구분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휴경기간에 따른 묵논의 군락분류 및 특성 (Syn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Fields by Seral Stages in South Korea)

  • 심인수;김종봉;조광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5-192
    • /
    • 2013
  • 농촌인구의 감소와 잉여생산작물로 변화된 쌀의 수요에 대비해 최근 20-30년간 휴경논, 즉 묵논이 증가하여 왔으나, 새로운 작물재배지로의 전환 또는 용도지역 변경으로 인한 형질변경이 수반되지 않는 오지의 묵논은 점차 식물생태복원의 주요한 입지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묵논의 입지적, 수리적 여건상 묵밭에 비해 식물의 천이가 활발하고, 습지로서의 기능과 다양한 생물 서식지로서의 기능 등 생태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묵논은 연차별로 식물군락의 변화양상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묵논을 대상으로 초기, 중기, 후기묵논으로 구분짓고, 각 시기별 식물군락의 변화양상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강원 경기 5개 권역, 충청남 북 2개 권역, 경상남 북 18개 권역, 전라남 북 10개 권역 등 총 35개 권역을 대상으로 총 203개소의 조사구에서 획득한 식생조사표를 이용하여 군락분류, 군락생태, 군락동태에 대한 비교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초기, 중기, 후기의 천이단계별 식물군락은 각각 뚝새풀군락, 골풀군락, 버드나무군락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삼림 내 묵논 일부 지역에서 드물게 후기천이 단계에서 오리나무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군락의 발달은 대기후적, 지리적 조건과 관계없이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묵논식생의 천이단계는 일년생식물기-다년생식물기-관목식물기-교목림기로 발달해가는 천이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나 중기묵논에서는 단계별 우점종이 뚜렷이 구분되지 않고 여러 종이 유사한 우점도로 혼생하였다. 군락분류를 통한 우리나라의 연차별 묵논의 식생특성을 분석한 결과, 새로운 생태복원모델로 관심이 높아지는 묵논식생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휴경지의 생태복원 및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매우 유효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태형태학적(生態形態學的) 특성(特性) 분석(分析)에 의한 활엽수종(闊葉樹種)의 극성상지수(極盛相指數) 추정(推定) (The Estimation of Climax Index for Broadleaved Tree Species by Analysis of Ecomorphological Properties)

  • 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176-187
    • /
    • 1993
  •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 군집(群集)에서 수종(樹種)의 천이계열(遷移系列)상의 위치를 해석(解析)하기 위하여 84개 활엽수(闊葉樹) 교목(喬木) 및 관목(灌木) 수종들의 생태형태학적(生態形態學的)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극성상지수(極盛相指數)를 추정(推定)하였다. 생태형태학적(生態形態學的) 특성은 천이(遷移) 단계와 관계있다고 판단한 19가지를 선정하였으며, 각 수종별로 특성마다 극성상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2-4단계의 표준화된 점수를 부여하고 총점에 대한 합계점수의 백분율로써 극성상지수(極盛相指數)로 삼았다. 연구 대상 수종 중에서 서어나무의 지수(指數)가 83.3으로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사시나무의 지수(指數)가 18.8로써 최저치로 추정되었으며, 전체 지수(指數)의 평균(平均)은 54.2로 산출되었다. 70이상의 지수(指數)값을 나타낸 수종은 9개, 40이상 70미만의 지수(指數)값을 나타낸 수종은 58개, 그리고 40미만의 지수(指數)값을 나타낸 수종은 17개로 집계(集計)되어, 천이(遷移) 중반단계의 삼림이 갖는 다양한 자원(資源) 혹은 생태적(生態的) 지위(地位)(niche)를 이용하는 수종(樹種)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주성분분석(主成分分析)을 통하여 각 수종이 광선흡수(光線吸收), 번식(繁殖), 그리고 목재(木材) 성질(性質) 등의 요인(要因)에 따르는 위치를 3차원(次元) 좌표(座標)상에 ordination하였고, cluster분석(分析)을 통하여 유사(類似)한 특징을 가진 4가지 수종군(樹種群)을 분류(分類)하였다. 과(科)별로 극성상지수(極盛相指數) 범위를 파악한 결과, 자작나무과(科)와 단풍나무과(科)에 속하는 수종들의 지수(指數) 범위가 넓었고, 버드나무과의 수종들은 선구수종의 전형적인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특별히 극성상(極盛相) 생활형(生活形)의 수종군(樹種群)을 갖는 과(科)는 없었다.

  • PDF

훼손예정지의 지형 및 수목 형태를 고려한 이식목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Transplanting Trees in the Forest Reserve Areas Designated for Future Development)

  • 이수동;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35-544
    • /
    • 2009
  • 산지개발로 인해 불가피하게 훼손되어야 하는 양호한 식생을 대상으로 수목의 외형적 특성인 수형, 흉고직경 등과 기반특성인 토양층위 등 이식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식수목 선정은 자생성 및 천이단계에 의한 평가, 외형 및 기반특성에 의한 평가 2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식생발달 측면에서 천이를 주도하는 자생종이 아닌 인공식재수종과 생태적 천이 발달단계에서 도태가 예상되는 수목은 2단계 평가 전에 이식가능 수목에서 제외한 결과 총 3,841주 중 약 5.9%에 해당되는 수목이 이식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2단계 외형 및 기반특성에 따른 평가에서는 수형등급, 흉고직경급, 토양등급을 기준으로 각각의 수목을 평가한 결과 3,613주 중 약 33.7%(1,218주)는 이식 가능하였으나 23.0%(829주)는 이식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약 43.3%(1,566주)에 해당되는 수목에 대해서는 이식비용과 새롭게 식재하는 비용에 있어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가능한 이식하는 것이 생태계 보전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토양상태 및 수형을 고려하여 현장 관리자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