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 오구균 (호남대학교 공과대학 조경학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최송현 (호남대학교 공과대학 조경학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1993.08.01

Abstract

Vegetational structure and successional sere were investigated for the evergreen and nearby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n inland areas (Turyunsan, Pulgapsan) and south- western island areas (Hongdo, Chindo).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he four areas showed a sera1 stage with an age structure mostly under fifty years old. Dominant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in canopy layer we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Quercus acuta, Q. stenophylla, Q. glauca, and Ncolitsea serzceu. Succession of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surveyed areas was proceeding from deciduous broad-leaved trees to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he species of climax stage were assumed to be Machilus thunbergii, iVeolitseu sericea and Dendropanax morbifera in canopy layer, Aucuba japonica and Machilus japonica in subtree and shrub layer.

내륙지역(두륜산, 불갑산)과 서남해 섬지역(홍도, 진도)의 상록활엽수림과 주변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생천이 계열을 분석, 추정하였다. 4개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은 대부분 50여 년생 미만의 영급구조로서 처닝도중상의 군집구조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교목층에서의 우점종은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이었다. 상록활엽수림대의 식생은 낙엽활엽수종에서 상록활엽수종으로 식생천이가 진행중이었으며, 교목층에서는 후박나무, 참식나무 및 황칠나무가,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는 식나무와 센달나무가 극상단계의 수종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