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PATTERN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9초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j)의 발생소장과 피해 양상 (Seasonal Occurrence of Japanese Gall-forming Thrips, 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 and Its Damage Pattern)

  • 신원우;이흥수;이규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09
    • /
    • 2004
  • 경남 김해와 창원의 단감원에서 감관총채별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의 발생생태와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 트랩 조사(2002년)와 피해권엽 내부 정밀조사(2002,2003년)에 의하면 월동세대 성충은 4월 하순부터 5월 하순 사이에 월동처에서 단감원으로 이동하여 단감의 새 잎에 산란하며, 제 1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6월 상중순이었다. 피해권엽 정밀조사에 의한 제1세대 난, 약충, 번데기의 발생 최성기는 각각 5월 상중순, 5월 하순6월 상순, 6월 상순이었다. 대부분의 제1세대 성충은 우화후 월동처로 이동하지만 일부 성충이 산란한 개체가 발육하여 제2세대 성충이 되는데, 7월 하순 이후에 발생하는 성충이 제2세대 성충인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엽율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창원포장에서 6월 상순에 9.7%로 가장 높았다. 피해과율은 6월 중순 낙화 이후부터 관찰되었으며 김해 B포장에서 9월 상순의 피해과율이 30.2%로 가장 높았다. 과수원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한 나무일수록 피해엽 발생시기가 빨랐으며, 특히 소나무 군락을 중심으로 l0m이내에 피해가 심하였다. 성충의 발생시기와 관련하여 방제시기 문제를 고찰하였다.

머신 러닝을 활용한 의류제품의 판매량 예측 모델 - 아우터웨어 품목을 중심으로 - (Sales Forecasting Model for Apparel Product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A Case Study on Forecasting Outerwear Items -)

  • 채진미;김은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0-490
    • /
    • 2021
  • Sales forecasting is crucial for many retail operations. For apparel retailers, accurate sales forecast for the next season is critical to properly manage inventory and plan their supply chains. The challenge in this increases because apparel products are always new for the next season, have numerous variations, short life cycles, long lead times, and seasonal trends. In this study, a sales forecasting model is proposed for apparel product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e sales data pertaining to outerwear items for four years were collected from a Korean sports brand and filtered with outliers. Subsequently, the data were standardized by removing the effects of exogenous variables. The sales patterns of outerwear items were clustered by applying K-means clustering, and outerwear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sales-pattern type were determined by using a decision tree classifier. Six types of sales pattern clusters were derived and classified using a hybrid model of clustering and decision tree algorithm,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outerwear attributes and sales patterns was revealed. Each sales pattern can be used to predict stock-keeping-unit-level sales based on item attributes.

출현 양상 기반 소형호 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과 다양성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and Diversity in Small Reservoir Focusing on Occurrence Pattern)

  • 홍근혁;오혜지;최예림;김준완;최범명;장광현;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6권2호
    • /
    • pp.172-186
    • /
    • 2023
  • 불안정한 천이양상을 보이는 소형 호소는 대형 호소에 비해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연구가 미진한 상황이다. 최근 지역 생물다양성 보전의 측면에서 소형 호소의 존재 가치가 부각되면서 생물 군집 동태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 소형 호소의 출현 동물플랑크톤을 월별로 채집하여 계절별 군집 동태를 분석하였다. 소형 호소의 복잡한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종 출현 패턴을 기반, 4개의 그룹(LALF Group, Low Abundance Low Frequency; LAHF Group, Low Abundance High Frequency; HALF Group, High Abundance Low Frequency; HAHF Group, High Abundance High Frequency)으로 그룹화하였다. 그룹 간 계절적 패턴을 비교하였으며, 각 그룹의 시간적 베타 다양성 기여도를 기반으로 한 다양성을 산출했다. 분석 결과 같은 출현량 경향을 보이지만 상반된 출현 빈도를 보이는 그룹 간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auplius가 세 호소공통으로 높은 출현량과 빈도를 보이는 종으로 나타났다. 적은 개체수를 보이면서 출현 빈도 역시 드물게 나오는 종들이 포함된 그룹인 LALF 그룹에 속한 종이 월별 천이와 다양도에 핵심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해당 그룹에는 Anuraeopsis fissa, Hexarthra mira 및 Lecane luna가 포함되었다. 한편 연중 특정 시기에만 출현하여 수체를 우점하는 종들이 포함된 그룹인 HALF 그룹이 호소 공통적으로 시간적 다양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 특이적인 출현 패턴이 연내 군집의 생물다양성에 기여하는 종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계절에 따른 토양 방선균의 속 다양성 분포 (Distribution Pattern of Soil Actinomycetes on the Seasonal Change)

  • 박동진;이상화;박상호;김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9-153
    • /
    • 1998
  • 산림, 밭, 초지, 논 토양의 두 깊이(0~2cm, $50{\pm}1cm$)에서 계절별로 채취한 토양 시료로부터 서로 다른 방선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계절별 토양 방선균의 속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토양 표층에 분포하는 Streptomyces속 방선균주의 계절별 변동율은 논(18%)과 산림(18%) 토양에 비해 초지(41%)와 밭(39%) 토양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0{\pm}1cm$깊이에서는 논(36%), 밭(28%), 초지(26%), 산림(16%) 토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희소 방선균의 계절별 분포 변동율을 토양 표층의 경우 논 토양(26%)을 제외하고는 모두 45%이상이었으나 $50{\pm}1cm$깊이에서는 산림(79%), 논(36%), 밭(24%), 초지(10%) 토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 중에 분포하는 방선균의 속 다양성은 계절 변화에 의지하며 또한 이는 방선균군의 종류, 토양의 유형, 그리고 토양 깊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고려된다.

  • PDF

해남 사구미 연안 거머리말(Zostera marina L.)의 계절특성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L. in HAENAM SAGUMI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옥재승;이상용;신경훈;김희중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513-523
    • /
    • 2013
  • 한국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Zostera, Zosteraceae) 거머리말(Zostera marina L.)의 시간적인 변동에 따른 형태 및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육 환경, 형태학적 특징, 생육 밀도, 생물량, 잎의 성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거머리말 생장특성들은 수온과 기온의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의 증가에 따라 생장이 증가하지만 여름의 높은 수온은 생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거머리말은 높은 수온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매우 낮은 수온도 생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머리말 서식지에 투입되는 수중광량은 조석의 변화에 따라 계절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남 사구미 연안 거머리말 서식지의 광량은 낮은 값으로 생존에 지장은 없으나 계절변화에 따라 거머리말 생산성에 제한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거머리말은 수온, 광량 등 환경변화의 영향으로 뚜렷하게 시간적인 변동이 나타났으며, 특히 고수온과 저수온에 의해 생장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인근에서 채취한 눈시료 내의 주요 이온성분들의 고해상도 계절변동성 연구 (A Study on High-Resolution Seasonal Variations of Major Ionic Species in Recent Snow Near the Antarctic Jang Bogo Station)

  • 곽호제;강정호;홍상범;이정훈;장채원;허순도;홍성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127-140
    • /
    • 2015
  • A continuous series of 60 snow samples was collected at a 2.5-cm interval from a 1.5-m snow pit at a site on the Styx Glacier Plateau in Victoria Land, Antarctica, during the 2011/2012 austral summer season. Various chemical components (${\delta}D$, ${\delta}^{18}O$, $Na^+$, $K^+$, $Mg^{2+}$, $Ca^{2+}$, $Cl^-$, $SO_4{^2-}$, $NO_3{^-}$, $F^-$, $CH_3SO_3{^-}$, $CH_3CO_2{^-}$ and $HCO_2{^-}$) were determined to understand the highly resolved seasonal variations of these species in the coastal atmosphere near the Antarctic Jang Bogo station. Based on vertical profiles of ${\delta}^{18}O$, $NO_3{^-}$and MSA, which showed prominent seasonal changes in concentrations, the snow samples were dated to cover the time period from 2009 austral winter to 2012 austral summer with a mean accumulation rate of $226kgH_2Om^{-2}yr^{-1}$. Our snow profiles show pronounced seasonal variations for all the measured chemical species with a different pattern between different species.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occurrence patterns of the seasonal variations is clearly linked to changes in the relative strength of contributions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sea salt spray, volcanoes, crust-derived dust, and marine biogenic activities) during different short-term periods. The results allow us to understand the transport pathways and input mechanisms for each species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hat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long-term (decades to century scale periods)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t can be deduced from an ice core to be retrieved from the Styx Glacier Plateau in the near future.

Shoalgrass와 turtlegrass에 棲息하는 小型魚類 個體群들의 季節的 變動에 관한 硏究 (Seasonal Variations in Populations of Small Fishes Concentrated in Shoalgrass and Turtlegrass)

  • 허성회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55
    • /
    • 1984
  • 아열대 seagrass 어류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결정하기 위해, 미국 Texas 남쪽 해안에 위치한 Redfish Bay의 seagrass meadow에서 서식하는 소형어류개체군들의 밀도를 1982~1983년동안 매달 조사하였다. 23과 40종에 속하는 총 10223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평균밀도는 shoalgrass에서 약 15마리/$m^2$ 이었고 turtlegras 에서 약 6마리/$m^2$ 이었다. Darter goby, pinfish, code goby 그리고 Gulf pipefish가 일년을 통해 양 meadows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들 네 어종은 총채집된 개체수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Darter goby는 얕은곳에 위치한 shoalgrass에서 가장 흔한 어종이었으며 약간,은 곳에 위치한 turtlegrass에서는 pinfish와 code goby가 가장 흔한 어종이었다. 어류의 종구성과 밀도의 계절적 변화는 이들 두 아열대 seagrass meadows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어류의 최대밀도는 봄에 나타난다. 어류밀도는 여름에 감소하나 가을에 다시 증가한다. 최소밀도는 겨울에 나타난다. 네 우점종은 각기 서로 다른 계절적 밀도변화 양상을 보인다. 이들 사이에는 약간의 중첩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종들로부터 1~3개월 분리된 최대밀도 시기를 보인다. 이같이 분리된 최대밀도 시기를 보이는 주요 어종의 계절적 개체수변화 양상은 높은 어류밀도를 지닌 아열대 seagrass meadows에서의 이들 주요 어종의 공존을 가능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ORA 유전자 다형성과 기분 및 행동의 계절성 변동의 연관성 (Association of the RORA Gene Polymorphism and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 김해인;소수정;양희정;송현미;문정호;윤호경;강승걸;박영민;이승환;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2호
    • /
    • pp.63-68
    • /
    • 2013
  • 목 적 : 일주기 유전자 다형성이 계절성 기분 장애의 발병 기전과 연관이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RORA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유전자의 다형성과 계절성 변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신문 광고를 통해 모집한 507명의 지역사회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은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SPA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RORA rs11071547 SNP는 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하였다. 여름형은 교란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어, 29명의 여름형은 제외한 총 478명의 대상자를 분석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의 유전자형 분포의 비교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전반적 계절성 점수(Global seasonality score, GSS)와 RORA rs11071547의 연관성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 참여자 507명 중 12.1%(겨울형 9.3%, 여름형 2.8%)가 SAD에 해당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간의 RORA rs11071547의 유전자형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 계절성 점수(GSS)와 세부 항목인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에너지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 항목 중 체중과 식욕에서는 C 대립유전자 동형접함체군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26, p=0.034). 결 론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에서 RORA 유전자 다형성이 체중과 식욕의 계절성 변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계절성 기분 장애의 감수성과도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도만에서의 잔차류와 물질소송의 수치모형실험 (A Numerical Simulation of Residual Current and Material Transportation in Hiroshima Bay, Japan)

  • 이인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1
    • /
    • 2001
  • In order to clarify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residual current and the material transportation process in Hiroshima Bay, JAPAN, the real-time simulation of residual current and particle tracking by using the Euler-Lagrange model were carried out. The calculated tidal current,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ones. The residual currents showed a southward flow pattern at the upper layer, and a northward flow pattern at the lower layer. The flow structure of the residual current in Hiroshima Bay is an estuarine circulation affected by density flow and wind driven current. The residual current plays an important role of material transportation in the b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