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D-22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35초

수영선수(水泳選手)의 폐기능검사성적(肺機能檢査成績) (Pulmonary Function Studies of Atheistic Swimmers)

  • 윤평진;염철호;조징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6권1호
    • /
    • pp.51-56
    • /
    • 1982
  • We must encourage the use of the spirometer as part of routine examination of nearly all adult patients. Despite the theoretical problems of the water spirometer and its Poor frequency response, the water spirometer is adequate for the physiological function tests even in healthy peop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pulmonary function studies of athletic swimmers. Subjects were 85 athletic swimmers from 9 to 25 years of age. They were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high school boys and girls, and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requency of breath: (cycle/min, $M{\pm}SD$) Elementary school boys show $19{\pm}4.7$, elementary school girls $22{\pm}7.9$, middle school boys $17{\pm}2.4$, middle school girls $18{\pm}8.2$, high school boys $15{\pm}3.4$, high school girls $15{\pm}9.7$, and college male students $12{\pm}3.2$. 2) Vital capacity: (1, $M{\pm}SD$) Elementary school boys show $2.60{\pm}0.480$, elementary school girls $2.22{\pm}0.412$, middle school boys $3.63{\pm}0.598$, middle school girls $2.80{\pm}0.303$, high school boys $4.70{\pm}0.487$, high school girls $3.23{\pm}0.509$, and college male students $4.30{\pm}0.608$. 3) Tidal volume: (ml, $M{\pm}SD$) Elementary school boys show $462{\pm}59$, elementary school girls $395{\pm}110$, middle school boys $524{\pm}78$, middle school girls $421{\pm}59$, high school boys $612{\pm}101$, high school girls $494{\pm}123$, and college male students $603{\pm}121$. 4) Breath holding time: (sec, $M{\pm}SD$) Elementary school boys show $58{\pm}21.2$, elementary school girls $36{\pm}11.1$, middle school boys $61{\pm}16.7$. middle school girls $53{\pm}21.0$, high school boys $64{\pm}9.1$, high school girls $49{\pm}15.3$, and college male students $81{\pm}23.0$.

  • PDF

특발성과 기질성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후 최종 성인신장과 신장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on Final Adult Height and Total Height Gain in Children with Idiopathic and Organic Growth Hormone Deficiency after Growth Hormone Treatment)

  • 최임정;황진순;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803-810
    • /
    • 2003
  • 목 적 : 특발성과 기질성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후 최종 성인신장과 총신장(SDS) 증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성장호르몬 결핍증으로 진단되어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후 최종 성인신장에 도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발성 GHD 3명(남 : 여, 11 : 2)과 기질성 GHD 22명(남 : 여, 12 : 10)에게 성장호르몬을 각각 $0.62{\pm}0.15IU/kg/wk$, $0.52{\pm}0.11IU/ kg/wk$ 용량으로 $3.2{\pm}2.4$년 동안 일주일에 3-7회 피하주사하였다. 결 과 : 1) 치료 시작 전 신장표준편차점수는 특발성 GHD 군에서는 $-4.13{\pm}1.28$, 기질성 GHD 군에서는 $-1.66{\pm}1.06$으로 특발성 GHD 군이 의미 있게 작았으며, 특발성 GHD 군에서 골연령 또한 역연령에 비해 $5.2{\pm}2.9$년 정도로 지연되어 있었다. 2) 치료 첫해 성장속도는 특발성 GHD 군에서 $9.69{\pm}3.19cm$, 기질성 GHD 군에서는 $7.87{\pm}3.65cm$이었다. 3) 사춘기 시작시 신장은 특발성 GHD 군에서 $-2.28{\pm}0.95$ SDS, 기질성 GHD 군에서는 $-0.55{\pm}1.25$ SDS이었다. 4) 최종 성인신장은 특발성 GHD 군에서 $-1.44{\pm}0.84$ SDS, 기질성 GHD 군에서는 $0.22{\pm}1.06$ SDS로 두 군 모두에서 치료 시작시 신장 SDS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기질성 GHD 군에서 최종 성인신장이 더 컸으며, 두 군 모두에서 최종 성인신장은 사춘기 시작시의 신장과 깊은 연관 관계가 있었다(특발성, r=0.616, P<0.05; 기질성 r=0.830, P<0.001). 5) 총신장(SDS) 증가는 특발성 GHD 군에서 $2.69{\pm}1.36$으로 기질성 GHD 군($1.88{\pm}1.16$)보다 컸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총신장(SDS) 증가는 두군 모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 신장 SDS가 중간부모신장 SDS에 비하여 작을수록 더 컸으며, 특히 기질성 GHD군에서는 치료 시작시 역연령에 비하여 골연령이 어릴수록, 사춘기전 신장(SDS) 증가가 클수록 더 컸다. 결 론: 특발성 GHD 환자에서 기질성 GHD 환자보다 최종 성인신장이 작았다. 성장호르몬에 의한 신장증가 효과는 치료 전 신장이 중간부모신장에 비하여 작을수록 컸으나, 절대적 최종 성인신장은 사춘기 시작 시 신장과 가장 깊은 관련이 있어, 조기진단 후에 적절한 용량의 성장호르몬으로 꾸준히 치료하여 사춘기가 나타나기 전까지 충분한 신장의 증가를 유도하여야만 만족할만한 최종 성인신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HP 분석을 통한 부품단종 주요관리항목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order of priority of the Major control item for DMSMS by using AHP analysis)

  • 문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8-54
    • /
    • 2020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도와 군용부품시장의 축소 등이 원인이 되어 부품단종이 증가하고 있다. 부품단종은 무기체계 총수명주기비용이 증가시키며 군 전투력 등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부품단종으로 발생하는 대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사전 관리가 중요하며 사전관리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단종관련 정보를 관련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되어야 한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요 관리 항목을 선정하여 지속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품단종 관리 시스템에서 주요한 관리 항목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위사업청 매뉴얼과 SD-22 등을 바탕으로 관리 항목을 선정하여 주요 관리항목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부품단종에 따른 영향성, 부품단종 확률, 부품단종 대응비용의 3가지 기준에 의해 관련된 세부 항목 15개로 계층화하였으며 9점 척도로 설문한 항목에 대해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AHP 설문조사는 부품 관리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AHP 설문결과 일관성비율이 0.1 초과인 것을 제외하였다. 그 결과 부품단종관리를 위한 유용한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 해석 및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SD)에 의한 국내 전력산업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원자력산업을 중심으로

  • 이명호;허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3-25
    • /
    • 2000
  • 최근 한국전력이 주요 발전소의 건설계획을 상당 기간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한다. 보도(한국 경제 1998년 4월 3일자 11면)에 따르면 한전은 울진 원자력 발전소 3-6호기를 비롯하여 이미 발주한 14개 발전소의 착공 및 준공 시기를 짧게는 3개월, 길게는 22개월까지 늦추거나 보류키로 하고 이를 관련 업계와 협의 중이라는 것이다. 극심한 경기 침체로 전력이 남아돌고 환율 상승에 따른 자금 부담 증가로 재원 조달 마저 여의치 못하다는 한전의 어려운 사정은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대표적인 사회간접자본(SOC)의 하나인 발전소 건설 계획을 수정하는 것은 즘 더 신중히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본다.(중략)

조위의 확률밀도함수 변화에 따른 평균 및 표준편차 분석 (Analysis of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ue to the Change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n Tidal Elevation Data)

  • 조홍연;정신택;이길하;김태헌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279-285
    • /
    • 2010
  • 해안 구조물의 신뢰성 설계과정에서 조위자료를 정규분포로 가정하여 설계를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조위 자료는 쌍봉형 정규 분포 형태를 따르기 때문에 설계과정에서 등가 정규분포 개념에 근거하여 등가평균 및 등가표준편차를 추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정규분포를 가정한 경우의 추정 평균 및 표준편차와는 다른 추정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쌍봉형 정규분포 형태를 따르는 조위에 대하여 등가평균 및 등가표준편차를 추정하고, 정규분포를 가정하여 추정한 평균과 표준편차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등가 매개변수 추정오차는 조위조건과 조위의 크기에 따라 크게 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인천의 경우, ${\pm}400cm$ 조건에서 등가평균 및 등 가표준편차 추정편차는 각각 100 cm 이상, 80~100 cm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조석이 약한 포항에서는 ${\pm}60cm$ 조건에서 모두 2~4 cm 정도의 작은 추정 편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and Influencing Factors in Morocco

  • El Fakir, Samira;El Rhazi, Karima;Zidouh, Ahmed;Bennani, Maria;Benider, Abdelatif;Errihani, Hassan;Mellass, Nawfel;Bekkali, Rachid;Nejjari, Chakib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063-5069
    • /
    • 2016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among women in most countries of the world. It is ranked first in females in Morocco (accounting for 33.4% of the total cancer burden) and more than 60% of cases are diagnosed at stage III or IV. During the last decad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has become an important aspect of breast cancer treat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self-reported HRQOL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to investigate its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main oncology centers in Morocco.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Moroccan Arabic versions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 30 (EORTC QLQ C30) and the Breast Cancer-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 QLQ-BR23).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A total of 1463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with a mean age of 55.6 (SD. 11.2) years, 70% being married. The majority had stage II (45.9%) and a few cases stage IV (12.9%) lesions. The participants' global health mean score was 68.5 and in "functional scales", social functioning scored the highest (Mean 86.2 (SD=22.7)). The most distressing symptom on the symptom scale was financial difficulties (Mean 63.2 (SD=38.2)). Using the disease specific tool, it was found that future perspective scored the lowest (Mean 40.5 (SD=37.3)). On the symptom scale, arm symptoms scored the highest (Mean 23.6 (SD=21.6)).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noted for many functional and symptom scales. Conclusion: Our results emphasized that the general HRQOL for our study population is lower than for corresponding populations in other countries. This study provided baseline information on the quality of life for a large sample of Morocca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임상척도에 따른 심박변이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Clinical Study of Heart Rate Variability on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ccording to Clinical Scale(Hoehn-Yahr stage, UPDRS))

  • 박상민;이상훈;정지철;김건형;박히준;임사비나;장대일;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37-144
    • /
    • 2005
  • 본 저자는 2004년 3월 9일부터 2004년 5월15일까지 경희의료원 침구과 외래를 내원한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파킨슨병 증상의 호전도를 판단하는 임상척도인 H-Y stage에 따른 HRV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간영역분석에서 H-Y stage I, II, III 그룹의 SDNN은 $28.21{\pm}10.10$, $22.25{\pm}11.26$, $14.57{\pm}5.31$으로 그룹 I과 그룹III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RMS-SD는 $19.23{\pm}13.27$, $14.63{\pm}6.44$, $6.44{\pm}2.32$ 으로 역시 그룹 I과 그룹III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0.05). 2. 주파수영역분석에서 TP는 H-Y stage Ⅰ, II, III 그룹에서 각각 $499.86{\pm}345.45$, $243.72{\pm}212.22$, $99.44{\pm}51.01$로 ANOYA 검정결과 p-value가 0.007로 매우 유의 있었으며, 사후 검정에서는 그룹 I과 II, 그룹 II와 II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그룹 I과 III에서는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LF는 H-Y stage I과 III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VLF, HF, LF norm HF nonm LF norm, LF/HF ratio에서는 각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SDNN, RMS-SD, TP가 UPDRS 총점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경향 (p<0.05)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파킨슨병이 진행함에 따라 자율신경계의 활동성이 저하될 것으로 보인다.

  • PDF

미드솔의 반발탄성이 러닝화의 생체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for Running Shoes with Resilience of Midsole on Biomechanical Properties)

  • 유찬일;원용관;김정자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3-111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for running shoes with resilience of midsole on biomechanical properties. Methods : 10 healthy males who had no history of injury in the lower extremity with an average age of 26.5 year(SD=1.84), height of 172.22 cm(SD=4.44) and weight of 67.51 kg(SD=6.17)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ran on the treadmill wearing three different running shoes. Foot pressure data was collected using Pedar-X system(Novel Gmbh, Germany) operating at 100 Hz. Surface EMG signals for biceps femoris, rectus femoris, vastus lateralis, medial lateralis, tibialis anterior, medial gastrocnemius, soleus and peroneus longus were acquired at 1000 Hz using Bignoli 8 System(Delsys Inc., USA). To normalize the difference of the magnitude of muscle contractions, it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relative to the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The impact resilience of the midsole data was collected using Fastcam SA5 system(Photron Inc., USA).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One-way ANOV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ch running shoes. Results : TPU midsole was significantly wider in contact area than EVA, TPE midsole in midfoot and higher in EMG activity than EVA midsole at biceps femoris. TPE midsole was significantly wider in contact area than EVA midsole in rearfoot and higher in peak pressure than EVA midsole in forefoot. EVA midso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MG activity than TPU midsole at tibia anterior. In medial resilience of midsoles, TPE midso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VA, TPU midsole. Conclusion : TPU midsole can reduce the load on the midfoot effectively and activate tibialis anterior, biceps femoris to give help to running.

고관절 신전속도가 슬괵근에 대한 대둔근의 상대적 근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p Extension Velocity on the Relative Onset Time of the Gluteus Maximus in Relation to the Hamstring)

  • 장영진;고은혜;노정석;신헌석;김택훈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0-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p extension velocity (7.5 degree/second, 30 degree/second) on the relative onset time of the gluteus maximus in relation to the hamstring during hip extension in prone position. Thirteen healthy male subjects (mean age=22.6 years [SD=1.8], mean weight=73.4 kg [SD=10.3], mean height=176.1 cm [SD=6.3])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ctromyographic data was collected on the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 to determine onset tim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the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nset time of the hamstring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the gluteus maximus in both fast and slow hip extension velocity. The gluteus maximus began contraction .079 seconds later following the contraction of the hamstring. The onset time of the hamstring was significantly faster in fast hip extension velocity compared with slow hip extension velocity. In conclus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onset time of the gluteus maximus was faster with fast hip extension velocity compared with slow hip extension veloc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set times of the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 in relation to the two velocities (p<.05).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amine whether the velocity of hip extension can influence the onset time in a similar fash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PDF

승양익기탕(升陽益氣湯) 전탕액이 노화쥐의 비장, 췌장, 위장 세포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 of Seungyangikki-tang Decoction in Spleen, Pancreas and Stomach Cells of SD Rats)

  • 이주용;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2-92
    • /
    • 2010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aging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eungyangikki-tang decoction(SY) in spleen, pancreas and stomach cells of Sprague-Dawley(SD) rats. 2. Methods: This experiment was used by the tissue of spleen, pancreas and stomach cells of 6, 52 and 68 weeks old SD rats. We devided each group by three. One group as normal group was non-treated cells, another group as control group was saline-treated cells, and the other group as experimental group was SY treated cells. After culture for 48 hours, each groups measured the level of SOD, GSH, MDA and NO in the tissue of kidney, bladder and spleen cells. 3. Results and Conclusions: 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en cell of 6, 68w-SY group, pancreas cell of 52,68w-SY group and in stomach cell of 52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GSH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en cell of 6,68w-SY group and in pancreas cell of 6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MD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leen cell of 68w-SY group and in stomach cell of 68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NO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leen cell of 68w-SY group, stomach cell of 68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