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M성과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3초

중소 제조기업의 공급사슬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경로에서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고객중심 공급사슬 성과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ructure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the customer-oriented supply chain performance on the path between the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the export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SMEs)

  • 조연성
    • 국제지역연구
    • /
    • 제18권3호
    • /
    • pp.89-11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수출 중소 제조기업의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 성과 그리고 수출성과의 관계를 통합적 모형으로 구축하였다. 공급사슬지향성에서 수출성과에 이르는 경로에서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의 매개효과와 고객중심 공급사슬 성과의 매개효과를 포함한 12개의 가설을 21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은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과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은 고객중심과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는 또한 수출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이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고객중심 공급사슬 성과에 완전매개를 보였다. 더불어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에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는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고객중심 공급사슬성과에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의 역할을 탐구한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수출기업의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한계와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중소부품제조업체의 경영전략, 협업프로세스 및 SCM통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anagement Strategy, Collaboration Process and SCM Integr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in Small and Midsize Parts Manufacturers)

  • 이설빈;박주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48-466
    • /
    • 2019
  • 오늘날 기업들은 비용절감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수단으로서 SCM(공급사슬관리)에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환경의 불확실성과 미래 경쟁력에 있어서 기업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기업의 궁극적인 최대 목표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중소부품제조업체의 경영전략, 협업프로세스 및 SCM통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중소부품제조업체에서의 경영전략, 협업프로세스 및 SCM통합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중소부품제조업으로서의 경영전략을 위한 품질, 원가, 유연성, 납기와 협업을 위한 전략적 목표인지, 지원정책, 문제해결방안, 지식정보공유가 SCM통합의 품질신뢰성, 비용절감, 납기준수능력, 정보시스템운영을 향상시켜 종국적으로 기업의 정량적, 정성적 성과를 높여주는 기제임을 확인시켜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SCM 품질 향상을 위한 다차원적 방안 연구 (Study on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mprove Quality of SCM)

  • 최유정;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SCM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SC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적인 측면과 타기업과의 협력체계 측면으로 구성되는 외부적 요인과 민첩성 관리, 유연성 관리, 불확실성 관리 측면으로 구성되는 내부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측면에서의 요인들이 어떻게 SCM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전반적인 SCM 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 PDF

동태적 SCM을 통한 식품유통의 합리화

  • 탁승호;설봉식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47-54
    • /
    • 2003
  • 그 동안 바코드와 POS 시스템은 SCM이나 ERP 및 CRM등 여러 가지 기법의 경영성과를 얻는 데 이바지해 왔다. 그러나 지금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에 상품의 제조연월일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개념의 타임 바코드(Time stamp barcode)를 도입한다면 보다 나은 경영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동태적 SCM 즉, 타임 바코드를 이용하여 개선된 SCM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그 기법 및 적용범위 등에 관하여 논의하고 있다. POS 시스템에서 타임 바코드를 통하여 경과시간별 판매/재고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각 매장에서 판매되고 남아 있는 경과시간별 재고량을 토대로 생산량을 최적화하고 또 최적의 머천다이징도 가능하다. 그리고 유통기한 경과에 따른 폐기손실의 규모를 줄이고 재고처리 전략도 큰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SCM의 선행요인과 활동이 균형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Antecedents and Activities within SCM on Balanced Scorecard Performance)

  • 김종열;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27-1242
    • /
    • 2007
  • 본 연구는 중소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SCM의 선행요인이 정보공유와 협력에 미치는 영향과 정보공유가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SCM의 주요 활동인 정보공유와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BSC의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요인인 몰입과 문화의 유사성은 정보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상호신뢰와 기업규모는 협력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간의 관계에서도 정보공유는 협력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CM 활동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협력은 4가지의 균형성과 모두에 유의적이었지만 정보공유는 그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정보가공유가 협력에 유의적이고 협력이 균형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정보공유 또한 4가지의 균형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은 SCM의 주요 활동인 정보공유와 협력이 선행요인의 영향을 받아서 기업의 균형성과 즉, 고객시각의 성과, 내부 프로세스 시각의 성과, 학습 및 성장시각의 성과, 재무적 시각의 성과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 창업 기업의 ESG 경영과 SCM 파트너십이 기업이미지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SG management and SCM partnership of Korean start-up companies on corporate image and performance)

  • 권승하
    • 무역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31-355
    • /
    • 2023
  • 글로벌 경영 환경에서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갖기 위한 도구로서 ESG 경영이 대두되었고, 기업이 SCM을 활용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기업의 ESG 경영, SCM 파트너십, 기업이미지, 성과 등의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우리나라 영남권의 354개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과 SCM 파트너십, 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환경, 사회 등 ESG 경영 요인이 강화될수록 기업이미지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사회 등 ESG 경영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 사회 등 ESG 경영 활동은 SCM 파트너십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SCM 파트너십이 강화될수록 기업이미지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인 기업이미지가 향상될수록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기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하여 각 요인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우리나라 창업 기업의 ESG 경영은 환경, 사회 요인을 바탕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고,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행을 고려해야 한다.

SCM 기업들의 IT전략이 IT투자와 경영성광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IT Strategy on IT Invest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SCM Companies)

  • 김종원;김은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9-71
    • /
    • 2009
  •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엽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정보기술전략과 효율적인 정보기술 투자를 위한 투자성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전략인 운영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정보기술 투자방향 및 프로세스 혁신역량과 기엽의 비재무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에서는 SCM을 실행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2개 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공급체인리더십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uyer's Leadership on Vendor's Relational-orientation and SCM performance)

  • 김상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1권
    • /
    • pp.111-135
    • /
    • 2002
  • Since companie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upstream and downstream organizations to their performance, companies' leaders would also like to influence operations with supply chain partner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CM performa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is Buyer's leadership and Vendor's relationship-orientation. Also, I tr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orientation between leadership and SCM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e charismatic trait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tors, and contingent reward in transactional leadership factors positively effected to the relational-orientation. But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management-by-exception did not effected to relational-orientation. (2) Only contingent reward in transactional leadership facto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CM performance. (3) Relational-orientation mediated between SCM leadership and SCM performance.

  • PDF

친환경활동이 공급체인성과와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een SCM Strategy and Business Performance factors in Korean Enterprises)

  • 김창봉;고혁진
    • 통상정보연구
    • /
    • 제12권4호
    • /
    • pp.257-277
    • /
    • 2010
  • This paper examined the supply chain management Integration factors and evironmental performance in Korean industry. As SCM got evolved, the importance of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Supply Chain among the Supply Chain members are increased.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critical factors such as SCM Integration, environmental practice, SCM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linkage between conventional SCM factors with new environmental factors to clarify the critical factor for the SCM firms who may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sixty-two ca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SCM Integration factors of supply chain management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SCM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supply chain management. Second, SCM performance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rd, environmental practice factors of supply chain management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SCM performance but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with high level of Integration and environmental practice, firms may have good result on SCM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Especially, our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environmental practices without good SCM performance, may not have good resul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 PDF

파워 유형과 파트너십 연계를 통한 공급사슬관리 개선방안 모색 (Searching for the SCM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Power Attribute and Partnership)

  • 정대현;박광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3호
    • /
    • pp.57-79
    • /
    • 2016
  • SCM 성과 극대화를 달성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파트너십 관계의 구축 및 유지가 중요하다. 기업 간 SCM 성과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 간 힘의 불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적인 낭비 요소가 만연해 있다. 이러한 협업의 걸림돌이 되는 요소가 파워(Power)의 한 속성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파워유형의 속성을 파악하고 파트너십 향상을 통해 공급사슬관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파워의 원천을 크게 구속적 파워와 비구속적 파워로 분류하여, 구속적 파워의 종류로는 행동 강제성, 구속적 보상, 관계 합법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비구속적 파워의 종류로는 업무 전문성, 정보 우위성, 가치 준거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파워의 유형을 살펴보고 파트너십 주요 변인인 신뢰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협업 및 SCM 성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를 밝혀 보았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속적 파워는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구속적 파워가 몰입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속적 파워는 신뢰와 몰입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총 효과 분석결과 역시 비구속적 파워는 협업 및 SCM 성과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와 몰입은 모두 협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간 관계이론 중 사회교환이론 및 거래비용이론 측면에서 살펴본 신뢰, 몰입, 협업의 SCM 성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더불어 파워의 속성별 연계가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신뢰와 협업은 SC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몰입은 직접적으로 SCM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만 협업을 통한 SCM 성과에는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파워의 원천, 불균형, 결과들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 공급사슬 내 파트너기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인식을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파워의 적절한 사용은 공급사슬 구성원 간 협력관계를 공고히 구축하고 이에 따라 공급사슬 성과의 향상과 구성원 만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