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ESG management and SCM partnership of Korean start-up companies on corporate image and performance

한국 창업 기업의 ESG 경영과 SCM 파트너십이 기업이미지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권승하 (신라대학교 항공물류학과 )
  • Received : 2023.02.08
  • Accepted : 2023.02.22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As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intensifies in the global management environment, ESG management is emerging as a tool for companies to have competitive advantages, and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companies to form strategic partnerships using SC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the main factors such as ESG management, SCM partnership, corporate image, performance and so on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tronger ESG management factor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society are, the higher the corporate image. Second, ESG management, such as the environment and socie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ESG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environment and society have enhanced SCM partnership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onger the SCM partnership, the better the corporate image. Fifth, th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image of non-financial performance will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erms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t leads to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introduction of ESG management by companies, and empiricall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The ESG management of Korean start-ups needs to be promot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ESG management needs to be implemen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글로벌 경영 환경에서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갖기 위한 도구로서 ESG 경영이 대두되었고, 기업이 SCM을 활용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기업의 ESG 경영, SCM 파트너십, 기업이미지, 성과 등의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우리나라 영남권의 354개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과 SCM 파트너십, 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환경, 사회 등 ESG 경영 요인이 강화될수록 기업이미지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사회 등 ESG 경영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 사회 등 ESG 경영 활동은 SCM 파트너십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SCM 파트너십이 강화될수록 기업이미지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인 기업이미지가 향상될수록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기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하여 각 요인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우리나라 창업 기업의 ESG 경영은 환경, 사회 요인을 바탕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고,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행을 고려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병국.이규환.윤용범.박수진 (2022),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가 발전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ˮ 「신.재생에너지」, 제18권 제2호, pp.60-72.
  2. 권승하.정순남.김화경 (2014), "우리나라 수출입 제조기업의 파트너십 수준 및 파트너십 프로세스와 공급체인 성과 간의 관계 연구," 「물류학회지」, 제24권 제5호, pp.27-52.
  3. 길종구.김정효 (2019), "물류기업의 공급사슬 파트너십 동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ˮ 「물류학회지」, 제29권 제3호, pp.43-57.
  4. 김범진 (2019), "여행사의 윤리경영이 기업이미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ˮ 「호텔관광연구」, 제21권 제4호, pp.100-113.
  5. 김창봉.정혜총 (2015), "중국 섬유.의류산업에서의 프로세스혁신과 파트너십, 정보역량, 사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ˮ 「무역학회지」, 제40권 제4호, pp.87-109.
  6. 김창봉.권승하 (2011), "SCM의 위험관리, 파트너십, 사업성과의 관계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3권 제3호, pp.203-277. https://doi.org/10.15798/KAICI.13.3.201109.203
  7. 김창봉.권승하 (2013a), "공급체인관리의 파트너십이 위험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무역학회지」, 제38권 제1호, pp.91-112.
  8. 김창봉.권승하 (2013b), "국제인증 기업들의 글로벌 파트너십과 공급체인 대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제16권 제6호, pp.109-119. https://doi.org/10.17961/JDMR.16.6.201312.109
  9. 김창봉.오유진 (2022), "국내 중소수출제조기업 유통.물류 부문의 Green SCM 도입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 결정요인 연구-ISO 14001 데이터 구축 기간의 조절효과-," 「물류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5-31.
  10. 김윤경 (2020), "기업 비재무정보(ESG) 공시가 재무성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ˮ 「규제연구」, 제29권 제1호, pp.35-59. https://doi.org/10.22954/KSRS.2020.29.1.002
  11. 김익성 (2022), "한국 유통업체의 ESG 경영현황과 전략시사점,ˮ 「경상논총」, 제40권 제3호, pp.43-61.
  12. 나정호.권승하 (2018), "물류협력과 공급망역량 간의 관계가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43권 제1호, pp.69-90. https://doi.org/10.22659/KTRA.2018.43.1.69
  13. 민소라.나소정 (2022), "ESG 경영이 기업성과에 lcl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호텔 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9권 제4호, pp.156-177.
  14. 민재형.김범석 (2019), "기업의 ESG 노력은 지속가능경영의 당위적 명제인가? 기업의 재무상태에 따른 비재무적 책임 향상 노력의 차별적 효과," 「경영과학」, 제36권 제1호, pp.17-35.
  15. 박지우.길종구 (2021), "자동차부품산업의 공급사슬 파트너십 요인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파트너십 행위요인을 매개로,ˮ 「대한경영학회지」, 제34권 제5호, pp.775-806.
  16. 배병렬 (2017)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17. 서정태.이승용.김현홍.배정호.공혜정 (2022), "중소기업의 ESG 경영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ˮ 「문화산업연구」, 제22권 제1호, pp.141-149.
  18. 서환승 (2022), 「공급망 관점에서 본 수출 중소기업의 ESG 전략 도출에 관한 연구-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관내 기업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지원.이향숙 (2022), "SNA 기법을 활용한 물류산업 ESG 키워드 분석: 뉴스기사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활용하여," 「무역학회지」, 제47권 제2호, pp.121-132. https://doi.org/10.22659/KTRA.2022.47.2.121
  20. 이선미.박종철 (2022), "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제22권 제1호, pp.257-267.
  21. 장병주.최승재 (2017),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이미지가 브랜드 가치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자동차 산업관광을 중심으로-,ˮ 「동북아관광연구」, 제13권 제2호, pp.303-324.
  22. 정무섭.황승호.이다현.조아라.이규환.전영태.서환승 (2022), "한국수력원자력의 해외진출 관련 ESG 경영 사례 연구,ˮ 「국제경영연구」, 제33권 제1호, pp.27-53.
  23. 정진호.박현숙 (2022), "기업 ESG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가치관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ˮ 「산업진흥연구」, 제7권 제2호, pp.15-29. https://doi.org/10.21186/IPR.2022.7.2.015
  24. 조철호(2015)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 통계분석」, 도서출판 청람.
  25. Adiandari, A. M., H. Winata, B. A. Wijaya, and R. Damianti (2020),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Risk Awareness, Financial Capability and Capital Availability on e-commerc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5, pp.2026-2038.
  26. Agyabeng-Mensah, Y., Afum, E., & Ahenkorah, E. (2020), "Exploring financial performance and green logistics management practices: examining the mediating influences of market, environmental and social performance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258, 120613, pp.1-13.
  27. Barich, H. and P. Kotler (1991), "A Framework for Marketing Image Management", MIT Sloan Management Review, Vol.32 No.2, pp.94-102.
  28. Bowen H. R. (1953),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Businessman」, New York, Harper.
  29. Carroll, A. B. (1991), "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 Business Horizons, Vol.34 No.4, pp.39-48. https://doi.org/10.1016/0007-6813(91)90005-G
  30. Carroll, A. B. (2004), "Managing Ethically with Global Stakeholders: A Present and Future Challenge", The Academy of Management, Vol.18 No.2, pp.114-120. https://doi.org/10.5465/ame.2004.13836269
  31. Davis, K. (1960), "Can Business Afford to Ignore Social Responsibilitie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2 No.3, pp.70-76. https://doi.org/10.2307/41166246
  32. Drucker, P. F. (1954), 「The Practice of Management」, Harper & Row, New York.
  33. Elkington, J. (1998), 「Cannibals with Forks: The Triple Bottom Line of 21st Century Business」, New Jersey: Hoboken John Wiley & Son Ltd.
  34. Frederick, W. C. (1960), "The growing concern over business responsibilit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2 No.4, pp.54-61. https://doi.org/10.2307/41165405
  35. Heald, M. (1970),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Cleveland: Press of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36. Johnson, H. L. (1971), 「Business in contemporary society: Framework and issue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37. Jones, T. M. (1980),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visited, Redefined",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22 No.3, pp.59-67. https://doi.org/10.2307/41164877
  38. Porter, M. E. and M. R. Kramer (2006), "Strategy & Society: The Link between Competitive Advanta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84 No.12, pp.78-92.
  39. Porter, M. E. and M. R. Kramer (2011), "The Big Idea: Creating Shared Value. How to reinvent capitalism-and unleash a wave of innovation and growth", Harvard Business Review, Vol.89, pp.2-17.
  40. Rajagopal, P. Zailani, S. and Sulaiman, M. (2009),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supply chain partnering with scalable partnering as a moderator",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Vol.39 No.8, pp.649-668. https://doi.org/10.1108/09600030910996305
  41. Steiner, G. A. (1971), 「Business and Society」, New York: Random House.
  42. Strand, R. (1983), "A Systems Paradigm of Organizational Adaptations to the Social Environ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8 No.1, pp.90-96. https://doi.org/10.2307/257171
  43. Tuzzolino, F,. and B. R. Armandi (1981), "A Need-Hierarchy Framework For Assess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6 No.1, pp.21-28. https://doi.org/10.2307/257137
  44. Werther Jr, W. B., & Chandler, D. (2010).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akeholders in a global environment」, Sage.
  45. Whitelock, V. G. (2015).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ESG) management and performance-the role of collaboration in the supply chai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ledo.
  46. Winters, L. C. (1986), "The Effect of Brand Advertising on Company Image Implications for Corporat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6 No.2, pp.54-59.
  47. Xie, J., W. Nozawa, M. Yagi, H. Fujii, and S. Managi (2019), "Do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ctivities improve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28 No.2, pp.286-300. https://doi.org/10.1002/bse.2224
  48. Zou, S. and S. Stan (1998), "The Determinants of Export Performance: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between 1987 and 1997,"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Vol.15 No.5, pp.333-356. https://doi.org/10.1108/02651339810236290
  49. https://irfanhandrian.wordpress.com/2015/11/05/csr-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