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M성과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6초

SCM 시스템 도입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구조방정식모형 접근 - (Empirical Research on Performance of SCM Adoption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

  • 박광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95-31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SCM을 도입한 기업들의 정성적, 정량적 성과를 분석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SCM을 도입하여 실행한지 1년 이상 되는 기업에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유효한 153부가 회수되어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CM 성과영향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 간의 상호영향관계 모형화를 통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망하고, SCM 도입으로 인한 기업의 재무비율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변화관리는 정보시스템 품질과 SC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시스템 품질 역시, SC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CM 도입 후 재무비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재고회전율, 투자수익률, 자산수익율은 증가하였고, 매출액 대비 인건비는 감소하였다.

균형성과표의 네 관점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 : SCM 추진기업들의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of Perspectives of Balanced Scorecard for SCM)

  • 장형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10
    • /
    • 2006
  • 본 연구는 공급사슬관리(SCM) 활동측면에서 발생하는 경영성과를 BSC 의 네 가지 관점으로 측정하였다. 네 가지 관점으로는 재무관점, 고객관점, 내부 프로세스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이 있으며, 이들 네 가지 관점들은 서로간의 인과관계가 있다. 따라서 SCM 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들 네 관점들에 대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SCM 을 추진 중인 134개 상장기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SPSS 12.0과 Amos 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 프로세스성과, 고객성과는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 및 성장성과는 내부 프로세스성과와 고객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내부 프로세스성과의 경우에는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나 고객성과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부 프로세스성과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SC을 활용한 eSCM 성과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이종만;장주병;이승훈;김정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3-406
    • /
    • 2001
  • eBusiness 환경속에서 기업들의 주요한 관심사는 eSCM 통합을 통한 경쟁력 획득에 있다. 파트너쉽에 기반한 성공적인 eSCM 통합을 이루고, 궁극적으로는 고객 만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eSCM에 대한 참여 기업 간 공동 성과 측정 시스템을 만들고, 이를 통해 공급사슬 통합에 관련된 비용/효과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러한 참여 기업들 사이의 공동의 성과 측정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무적 그리고 비재무적 성과 사이의 균형을 성취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인 Balanced Scorecard와 eSCM의 연계에 기반한 드릴다운(drill-down) 방식의 성과 측정을 통해 공급사슬의 다른 수준에 대한 성과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BSC와 eSCM의 연계를 위해 BSC를 eSCM관점에서 재정립하고, 드릴다운(drill-down)방식에 기반한 eSCM 성과 측정 시스템 활용을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조직 구성원의 흡수능력, 조직 시민 행동, SCM 성과 및 혁신의도 간 연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Absorptive Capacity of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SCM performance, and Intention to Innovate)

  • 김태웅;김경희;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65-75
    • /
    • 2012
  • 조직시민행동이란 조직내의 공식적 역할이나 기능을 넘어서는 구성원들의 재량적 행동을 의미하며, 조직의 성과 제고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급망관리(SCM) 시스템이 도입되면, 글로벌 표준, 프로세스 혁신, 핵심성과지표 등에 관한 정보가 여러 부서에 폭넓게 전달되어 구성원들의 흡수 및 혁신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은 이런 과정을 활성화시켜 SCM 성과를 증진시키며 결과적으로 조직 혁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는 글로벌 제조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흡수능력과 조직시민행동의식, SCM의 성과 및 혁신의도 간 인과관계 분석에 초점을 둔다. 122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시민행동은 SCM 성과와 흡수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흡수능력 또한 SCM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한 바와 같이 SCM 성과는 혁신의도의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분석되었지만, 조직구성원의 흡수능력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본 연구결과의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도 함께 제시하였다.

공급사슬관리(SCM)의 핵심성공요인과 추진유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균형성과표(BSC)를 활용한 성과측정- (The Impact of Key Success Factors and Implementation Typology of SCM on the Business Performance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 이재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1호
    • /
    • pp.45-69
    • /
    • 2009
  •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재배치를 통해 조직을 재구축하고, 상품과 서비스가 경쟁력을 갖도록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강화시켜주는 협업전략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해주는 혁신기법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활발하게 추진되어온 SCM은 199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에 적극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 상당한 기업들이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SCM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업 전반의 핵심성공요인 도출 및 경영성과에 대한 설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SCM이 국내에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SCM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실제로 기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편 SCM의 성과측정에 있어서 과거에는 비용, 자산회전율 등 재무중심의 성과측정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성과측정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문제의 발생소지가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들어 SCM 성과측정에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BSC)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Brewer and Speh, 2000). Kaplan and Norton(1992)에 의해 개발된 BSC는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소수의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측정 관리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재무중심의 성과측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e-SCM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Determinants of e-SCM Performances)

  • 김도헌;김상덕
    • 유통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21-39
    • /
    • 2008
  • 본 연구는 e-SCM의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사례연구로써 공통점 및 사례대상 기업의 차이점을 설명한 논문이다. 먼저 기존 연구를 조사하여, e-SCM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써 e-SCM 조직 구성, 최고 경영진의 마인드 제고, 각 구성원간 정보 공유, 정확한 수요와 공급 계획 수립, 정보 기술의 활용, 조직의 크기, 기업간 협업의 7가지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자 업체로써 소니, 삼성전자와 제과 업체로써 해태제과를 선정하여 세 기업에 대하여 기 도출된 7가지 요인들에 대한 공통점을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국가 간 또는 산업간 차이로 인한 e-SCM 운용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e-SCM의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사례 연구를 통한 비교 분석으로 도출하고 제시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이끌어 냄으로써 이 연구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 PDF

협상력과 파트너십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rgaining Power and Partnership on SCM results)

  • 최유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8-20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CM을 구축한 업체들간의 협상력과 파트너십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14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는 SPSS 23과 SmartPLS 3.2.3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협상력은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고, 파트너십은 공급사슬 유연성, 민첩성, 불확실성 통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CM 활용 패턴과 전략 유형 적합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fit between SCM usage pattern and Strategic Typology)

  • 조남재;손지호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3-484
    • /
    • 2006
  • 본 연구는 많은 기업들이 SCM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입하여 활용을 하고 있는 정보시스템의 발전 단계에서 공급사슬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이 어떻게 SCM을 활용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 연구라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도출한 SCM 활용 목적에 대한 설문 항목을 중심으로 기업이 활용하고 있는 SCM 활용 패턴을 도출하였다. 군집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집단에 특성을 배정하여 동일 집단에 속한 대상의 유사성을 갖게 함으로써 집단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였다. 군집 분석 결과 효율성을 추구 형, 군집, Business process 정확성 추구형 집단과 환경 변화 대응 추구형 군집으로 패턴을 나눌 수 있었다. 응답 기업을 Miles와 Snow의 전략유형으로 분류하여 응답 기업의 전략 유형을 판별한 결과 분석자형 40.6%, 방어자형 15.1%, 공격자형 37.2%, 반응자형 6.9%로 조사되었다. 위에서 유형화한 SCM의 활용 패턴과 전략유형을 Matrix화하여 가설인 SCM 활용 패턴과 전략유형의 적합도와 SCM 성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업이 SCM을 활용할 때, SCM 활용 패턴 및 전략 유형에 따라 SCM 성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가 있다.

  • PDF

SCM과 e-SCM이 변화 수용, 정보 공유, 파트너십 관리 능력 그리고 비지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CM and e-SCM on Change Acceptance Capability, Information Sharing Capability, Partnership Management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 최수호;김동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과 e-SCM이 변화 수용 능력, 정보 공유 능력, 파트너십 관리 능력, 그리고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수도권 및 지방에서 SCM과 e-SCM을 도입한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해 SCM의 특징적인 요소인 변화수용능력, 정보공유능력, 파트너십 관리역량, 사업성과 및 성과변수 간의 관계 정도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타당도, 유의성 등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에 의해 지지된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로, 기업의 역량을 변화수용역량, 정보공유역량, 파트너십관리역량이 주요한 변수로 분석하였다. 둘째, 특정 기업의 역량이 아닌 SCM에서 필요한 역량을 4가지로 분류하여 관계 정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SCM 관련 기업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CM에 대한 인식정도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중소기업에게 SCM이 필요한가? (Supply Chain Management Awareness and Adoption Strategies for Small-Medium Business: Do Small-Medium Businesses Need SCM?)

  • 천세학;김영진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96
    • /
    • 2008
  •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하여 SCM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와 관련한 연구는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대다수 중소기업들은 SCM에 대한 인식자체가 매우 부족할 뿐 아니라 정작으로 중소기업과 관련한 SCM에 대한 국내의 연구도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SCM을 중소기업에 도입시 찬반 논란이 외국의 사례에서는 볼 수 있지만 국내의 경우 이에 대한 논의가 잘 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중소기업들이 SCM의 성공요인과 이의 성과지표에 관하여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것이 도입유무와 상관없이 기업이 현실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SCM 성과지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중소기업의 공급망사슬의 위치와 파트너들간의 관계 그리고 IT서비스의 인식정도와 활용정도에 따라서 SCM 인식정도와 성과지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의 중소기업들이 SCM도입에 관한 실질적인 도입 필요성의 정도를 살펴볼 수 있고, 국내 중소기업들이 SCM을 도입시 고려해야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정부의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