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90-R.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Somatiz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in an Area

  • Kim, Mi-Jeong;Lim, Cha-Young;Son, Ju-L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3-121
    • /
    • 2019
  • Background: We investigated somatization symptoms experienced by dental hygienists due to stress from emotional labor. Our aim wa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hat c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stress management schemes for this occupational group. Method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208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Jeollabuk-do Province, Korea. To measure the level and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among research participants, we used the Korean Emotional Labor Questionnaire. We used the Somatization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to measure the level of somatization symptoms among participants. Results: On analyzing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somatization symptom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aged 23~25 years showed high scores for stress due to emotional labor (p<0.05). Working 5 days per week,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rotection systems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the level of stress due to emotional labor (p<0.05).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omatization symptoms, scoring high across all domains of emotional labor was associated with scoring high for somatization symptoms in the subdomains of emotional labor. When emotional labor and demographical variabl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having higher scores for emotional labor and having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aving higher levels of somatization symptoms (p<0.05).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working at night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rotection systems were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and somatization symptoms. Measures must be take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somatization symptoms.

여성가장의 우울과 지각된 건강상태 (A Study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Matriarchs)

  • 신유선;최순옥;김숙남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4-5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social policy program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will help matriarchs adapt successfully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eriod February to July, 2000 which included 155 matriarchs who registered at the 'YWCA', 'Working Women Center' located in Busan. The matriarche's depression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composed of 13 selected items which correspond to depression of SCL-90-R scale and the tool for perceived health status measured by Ware(1976) translated by Yoo Ji Soo, Kim Jo Ja and Park Ji Won (1985).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which are, as follow: 1.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30.8 (SD=${\pm}5.1$) from a range of 13 to 52, and perceived health states was 28.3 (SD=${\pm}4.4$) from a range of 11 to 44. 2.83.3% of the matriarchs have experienced mild depression and above and 3.9% of them experienced high level of depression. 9.0% of the matriarchs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low and 78.6% of them have percieved their health status moderately.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religion(t=2.852, p=.005) and income(t=4.25, p=.000). 4.There was also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499, p=.000) In conclusion, the majority of matriarchs have experienced depression and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below moderate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received health status. Considering these facts therefore, We recommend that this data be used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nd in understanding matriarch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nursing assistance for matriarchs should not be limited only to physical support but also psychological and systematic support as well.

  • PDF

한국인 공황장애 환자의 트립토판 가수분해 효소와 세로토닌 전달체 유전자 다형성 (No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of Tryptophan Hydroxylase A218C and Serotonin Transporter Linked Polymorphic Region and Panic Disorder)

  • 최영희;우종민;박헌구;윤경식;조대연;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11권2호
    • /
    • pp.136-145
    • /
    • 2004
  • Objectives:Genetic variations of the tryptophan hydroxylase(TPH) gene and the serotonin transporter linked polymorphic region(5-HTTLPR) polymorphism have been associated with its functional capacity. The authors investigated whether the allelic constitution of the TPH gene and 5-HTTLPR are associated in Korean panic patients. Methods:244 Korea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227 normal healthy controls were tested for a genetic polymorphism of TPH A218C and 5-HTTLPR polymorphism. To assess the severity of panic disorder during the last one month, anticipatory anxiety, panic difficulty, panic distress, agoraphobic difficulty and agoraphobic distress were measured with visual analogue scale(VAS) score, STAI-S & T, BDI, SCL-90-R, ASI-R, CGI, PDSS, and HAMD. Result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TPH A218C and 5-HTTLPR polymorphism between panic patients and controls. Although we observed some differences in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TPH A218C polymorphism among male subjects, these differences disappeared after Bonferroni correctio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variables. Conclusion: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are no association between the genetic polymorphism of TPH gene and 5-HTTLPR with panic disorder.

  • PDF

가능성 소화장애증 환자의 정신사회적 요인과 위장 생리활동성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위 배출능 검사를 이용하여- (A Study on Psychological Factors and Gastric Physiological Activity in the Functional Dyspepsia -Using Gastric Emptying Test-)

  • 김진아;임승한;문성근;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9권1호
    • /
    • pp.49-57
    • /
    • 2001
  • 연구목적 : 기능성 소화장애증 환자에서 실제적인 위장 운동 기능의 이상을 알아볼 수 있는 위 배출능 검사를 시행하여 위장 운동 기능 이상의 유무 및 위장 운동 기능과 정신병리(특히 불안과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매개변인인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원광의대 소화기 내과에 가능성 소화장애증을 주소로 내원히여 방사선 검사 및 심전도 검사 제반 내시경 및 생화학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고 식도운동검사 및 24 시간 위-식도 역류검사를 실시하여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환자 30명으 대상으로 지각한 스트레스의 양 및 SCL-90-R, BDI, STAI,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와 위 배출능 검사를 시행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위 배출 반감시간은 $118.50{\pm}23.64$분이었으며, 위 배출능 검사에서 정상 범위를 벗어난 환자는 없었다. 2) 위 배출 반감시간은 우울 및 상태 불안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3) 위 배출 반감시간은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능성 소화장애증 환자의 생리적 기능인 위 배출반감시간은 우울 빛 불안과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 스트레스 매개변인과는 연관이 없었다. 이는 스트레스 인자와 반응사이의 매개변인보다는 그 결과로 생각되는 정신병리가 위장 생리 활성과 연관이 있고 이런 측면이 신경정신과적 중재 및 치료에 고려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전반적인 스트레스평가 척도 한국판의 타당도 및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 고경봉;박중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201-211
    • /
    • 2000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인자지각 척도인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의 한국판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 이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스트레스인자 8문항에 대한 maximum-likelihood factor analysis후 사각회전(oblique rotation)을 시행하였다.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1개의 하위요인만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9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두 기간간의 8개 스트레스인자 점수의 상관계수가 .85~.95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전체적인 스트레스접수를 제외한 7개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산출한 결과 Cronbach's $\alpha$는 .8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공존타당도는 스트레스반응척도,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9G-R(SCL-9G-R)의 신체화, 불안, 우울, 적대감척도, 전체지표의 총점과 본 척도의 각 8개 문항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접수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간에 스트레스인자척도 점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환자군은 정상군보다 질병 및 상해 영역과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불안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질병 및 상해 영역의 스트레스지각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우울장애군은 정상군보다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한편 우울장애군은 정신신체장애군보다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지각점수와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은 전반적인 스트레스평가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군이 정신신체장애군에 비해 스트레스인자에 대한 지각이 더 높음을 시사해 준다.

  • PDF

주요 우울증과 불면증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Insomnia on Somatization)

  • 전진용;김석주;이유진;조성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84-88
    • /
    • 2012
  • 배 경: 본 연구에서는 주요 우울장애와 불면증이 각각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 심각한 신체질환이 없는 181명의 성인(남자 73명, 여자 108명, 평균연령 $41.59{\pm}8.9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신과적 진단평가를 위한 구조화 면담과 불면증의 국제진단 분류를 근거로 주요우울장애와 불면증을 각각 진단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을 1) 정상 대조군(n=127), 2) 일차성 불면증군(n=11), 3) 불면증상이 없는 우울증군(n=14), 4) 불면증상이 있는 우울증군(n=29) 이상 4개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신체화 증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 SCL-90)의 신체화 증상 차원의 12문항을 자가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 각 군의 신체화 증상 척도 점수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5.30, p<0.001). 불면증상이 있는 우울증군은 정상 대조군(p<0.001), 일차성 불면증군(p=0.01), 불면증상이 없는 우울증군(p<0.001)에 비해 모두 신체화 증상 척도 점수가 높았다. 일차성 불면증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신체화 증상 척도 점수가 높았다(p<0.01). 그러나 불면증이 없는 우울증 환자의 신체화 척도 점수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 회귀분석에서 불면증은 신체화 증상척도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beta=0.44, p<0.001), 주요 우울증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경향성만을 보여주었다(beta=0.14, p=0.08). 결 론: 불면증은 주요 우울증 유무와 독립적으로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를 보였다. 일차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신체화 증상이 심했으며, 우울증이 있는 환자에서도 불면증이 동반된 경우에만 신체화 증상이 심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불면증상이 신체화 증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이문숙;양창국;한홍무;김재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1호
    • /
    • pp.25-35
    • /
    • 2003
  • 연구목적: 파킨슨병 환자에서 다양한 정신증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우울증상의 동반율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파킨슨병은 완치가 어렵고, 치료의 초점이 질병의 진행 억제나 증상의 완화에 있기 때문에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에 대한 관심과 치료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통원치료 중인 파킨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킨슨병 관련 임상요인들과 우울증상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일 대학교병원 신경과 파킨슨병 클리닉에서 특발성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환자들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인구통계학적 자료, 파킨슨병 관련 자료[발병연령, 치료약물 용량, 임상양상, Hoehn과 Yahr의 단계(Hoehn and Yahr stage, H&Y stage), 일상생활 평가척도(Modified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 설문지(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PDQL),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척도, 간이정신 검사 등을 조사하였고, 우울증상의 평가는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이용하였다. 결 과: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60.4\pm7.1$세(범위:34-73세)였고, 남성이 56명(47.5%), 여성이 62명(52.5%)이었다. 대상군은 BDI 점수에 따라 비우울군 39명(33.1%), 경도 우울군 15명(12.7%), 중등도 우울군 16명(13.6%), 중증 우울군 48명(40.7%)으로 분류되었다. 파킨슨병 환자의 우울증상은 H & Y stage(r=0.34, p<0.001) 및 파킨슨병 증상의 정도(r=0.35, p<0.001), 스필버그 특성 불안 척도(TAI)(r=0.33, p<0.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육정도(r=-0.34, p<0.001), ADL(r=-0.37, p<0.001), PDQL(r=-0.69, p<0.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 중 우울증을 예측하는데 가장 의미있는 척도는 PDQL(p<0.005)이었다. 결 론: Beck 우울척도를 이용한 평가에 의하면 본 연구 대상 환자 118명 중 79명(67%)이 주관적인 우울증상을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 증상이 심할수록, 그리고 H & Y stage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심각함을 보여준다. 또한 BDI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에 제한이 많으며,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증상에 대한 치료 이외 우울증상에 대한 정신의학적 관심과 치료가 중요함을 뒷받침한다.

  • PDF

유방암 환자의 상지감각변화와 어깨관절기능 및 우울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the Range of Motion in the Shoulders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 이숙정;전시자;노영숙;박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98-40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the range of motion in the shoulders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n correlation. The participants were 132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nd had mastectomy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had participated in a breast cancer self-help group.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assessed by SCL-90-R sco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heaviness' as the most frequent and serious symptom of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Completely zip up the dress with a back-fastening zipper' was the most difficult motion of the shoulders. Participants who were in a worse stage of disease were in a worse condition in shoulder functions, and on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The degree of change in sensation and shoulder func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both of the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epression. Conclusion: Sensation and motion change in the arms and the shoulders were common phenomena that affected depression in patients who had mastectomy. Nurses should consider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discomfort of the arms and the shoulders for patients with mastectomy.

  • PDF

구취 환자의 심리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al Malodor Patients)

  • 이승렬;김형석;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3호
    • /
    • pp.225-241
    • /
    • 2001
  • 구취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 감각은 다양한 심리학적 요소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취 환자의 심리학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취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446명과 일반적인 치과 치료를 위하여 내원한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 구취 설문검사, 구취 측정 검사를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성 구취 환자와 여성 구취 환자의 연령분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남성에서는 20대, 30대, 40대에 고르게 분포한 반면, 여성에서는 20대와 30대에 집중되어 분포하였다. 2. 구취의 인식 유형은 남녀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구취 인식 유형 중 타인에 의한 지적이나 타인의 행동으로 인한 추측 없이 스스로 구취를 인지하는 유형은 여성 구취 환자에서만 관찰되었다. 3. 구취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강박증, 불안, 적대감, 전체심도지수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4. 여성 구취 환자는 남성 구취 환자에 비하여 강박증(p<0.05), 불안 (p<0.05), 편집증 (p<0.001)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5. 남성 구취 환자에서는 표출증상합계를 (p<0.05) 제외한 모든 간이정신진단검사 항목에서 고농도 VSC군과 저농도 VSC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성 구취 환자에서는 저농도 VSC군이 신체화를 제외한 모든 간이정신진단검사 항목에서 고농도 VSC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6. 여성 구취 환자에서 주관적 구취심도는 강박증, 대인예민성,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전체심도지수, 표출증상심도지수 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5), 주관적 구취불편감은 모든 간이정신진단검사 항목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 PDF

구취 환자의 주관적 치료 만족도와 인성적 특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 of Oral Malodor Treatment Outcome)

  • 장민욱;한송;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4호
    • /
    • pp.387-396
    • /
    • 1999
  • 구취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구취의 치료 후 객관적인 구취의 감소가 인정되는 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구취를 호소하며 만족해 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취를 주소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진단과 구취클리닉에 내원하여 검사 및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치료 전 객관적 구취의 소견을 보였으나, 치료 후 할리미터 수치의 객관적인 감소를 보이는 40명의 구취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모든 환자들은 자신의 주관적 구취 심도 및 그로 인한 불편감 정도를 표시하였고,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를 시행하였으며 할리미터를 이용하여 구강내 휘발성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치료 후, 구강내 휘발성황화합물의 농도, 주관적 구취 심도 및 불편감 정도를 재측정하였다. 주관적 구취 심도의 감소 정도에 따라 환자들을 두 군으로 분류하여 할리미터 수치와 불편감 정도 및 간이정신진단검사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A군-주관적 구취 심도가 평균값 이상으로 감소한 환자군; B군-주관적 구취 심도가 평균값 이하로 감소한 환자군. 1. 치료 전후 모두에서 주관적 구취 심도와 휘발성황화합물 농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주관적 구취 심도의 감소 정도 또한 휘발성황화합물의 감소 정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2. 치료 전 휘발성황화합물의 농도는 치료 후 휘발성황화합물의 감소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3.구취로 인한 불편감 정도는 주관적 구취 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 < 0.01), 치료 후 A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 (p < 0.01) 하였으나, B군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4. B군은 A군에 비하여 간이정신진단검사 항목 중 대인예민성과 우울증의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p < 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