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sychological Factors and Gastric Physiological Activity in the Functional Dyspepsia -Using Gastric Emptying Test-

가능성 소화장애증 환자의 정신사회적 요인과 위장 생리활동성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위 배출능 검사를 이용하여-

  • Kim, Jin-A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onkwang) ;
  • Lim, Seung-Han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Moon, Seong-Keun (Department of Neurosurgeon,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Sang-Yeol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김진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
  • 임승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문성근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이상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1.12.15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astric emptying, psychopathology(especially anxiety and depression), and various factors that can mediate stress and response, such as coping style, social support and level of perceived stress. Methods : A total 30 patients who complained of the non-ulcer dyspepsia and did not have any abnormal finding on the gastroduodenal endoscopic examination, 24 hour ambulatory esophageal manometry and conventional gastroesophageal manometry were tested with gastric emptying that would be a functional examination of stomac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gastric emptying and psychological vaiable such as quantity of perceived stress,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er Stait-Trait Anxiety Inventory(STAI), Ways of Coping Checklist and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were evaluated. Results : 1)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time for half of the meal to empty(T50%) was $118.50{\pm}23.64$ minute which showed no gastric stasis in terms of gastric emptying test. 2)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50% and the state anxiety, T50% and thedepress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50% and the quantity of perceived stress, T50% and mediating factors(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sychopathology, especially emotional component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could affect on the current physiological functional gastric activity(gastric emptying), but quantity of perceive stress and mediating factors of stress and response such a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could not affected on the functional gastric activ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should considered in management of the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ia.

연구목적 : 기능성 소화장애증 환자에서 실제적인 위장 운동 기능의 이상을 알아볼 수 있는 위 배출능 검사를 시행하여 위장 운동 기능 이상의 유무 및 위장 운동 기능과 정신병리(특히 불안과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매개변인인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원광의대 소화기 내과에 가능성 소화장애증을 주소로 내원히여 방사선 검사 및 심전도 검사 제반 내시경 및 생화학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고 식도운동검사 및 24 시간 위-식도 역류검사를 실시하여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환자 30명으 대상으로 지각한 스트레스의 양 및 SCL-90-R, BDI, STAI,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와 위 배출능 검사를 시행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위 배출 반감시간은 $118.50{\pm}23.64$분이었으며, 위 배출능 검사에서 정상 범위를 벗어난 환자는 없었다. 2) 위 배출 반감시간은 우울 및 상태 불안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3) 위 배출 반감시간은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능성 소화장애증 환자의 생리적 기능인 위 배출반감시간은 우울 빛 불안과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 스트레스 매개변인과는 연관이 없었다. 이는 스트레스 인자와 반응사이의 매개변인보다는 그 결과로 생각되는 정신병리가 위장 생리 활성과 연관이 있고 이런 측면이 신경정신과적 중재 및 치료에 고려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