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R

검색결과 1,064건 처리시간 0.026초

위 편평선종 및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후 절제부위에서 발생한 융기형 병변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Protruding Lesions That Arise at the Scar of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an Early Gastric Carcinoma and a Gastric Flat Adenoma)

  • 천영국;유창범;고봉민;김진오;조주영;이준성;이문성;진소영;심찬섭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1호
    • /
    • pp.55-59
    • /
    • 2001
  • Purpose: Several studies of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EMR) have been reported, but reports about benign protruding lesions that arise at the scar of EMR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or a gastric adenoma are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endoscopic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nign protruding lesions which arise at the scar of an EMR for EGC and a gastric flat adenoma. Materials and Methods: In 101 lesions (73 gastric flat adenomas and 28 EGCs) from 96 patients, 16 lesions developed new protruding lesions that arose at the scar of the EMR.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endoscopic findings of initial and protruding lesions, and several other clinical factors (H. pylori infection, eradication therapy, and proton pump inhibitor (PPI) or H2-blocker use). Results: 1. The mean duration until detection of the protruding lesion was 8.9 months ($1.5\∼27$). Protruding lesions arose at the scar of the EMR in 1 of 28 EGCs ($3.6\%$) and from 15 of 73 gastric flat adenomas ($20.5\%$). All of the patients were men. 2. With respect to the endoscopic findings, the shapes of the protruding lesions were as follows: 10 Yamada (Y) I, 4 Y-II, 1 Y-III, and 1 flat lesion.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protruding lesions revealed regenerating hyperplasia in 5 lesions, intestinal metaplasia in 5, and both in 6. 3. The incidence of these lesions was higher in cases of tubular adenomas with focal high-grade dysplasia than in cases of tubular adenomas without dysplasia (p<0.05). 4. The incidence of H. pylori infection was higher in patients ($81.7\%$) who developed a protruding lesion than in those ($51.8\%$) who did not develop (p=0.029); also, the incidence of use of PPI was higher in those patients (p=0.045). However, eradication therapy for H. pylori and duration of use of PPI or H2-blocker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clusions: It may be possible that the potential hyperplasia that may reside in normal mucosa surrounding EGC or a gastric adenoma might awaken during the healing process of the EMR ulcer and develop to benign protruding lesions. And, H. pylori and PPI might also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truding lesions.

  • PDF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수술 흉터와 삽입된 클립을 이용한 전자설 추가 방사선 조사야 평가 (Evaluation of Electron Boost Fields based on Surgical Clips and Operative Scars in Definitive Breast Irradiation)

  • 이레나;정은아;이지혜;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36-242
    • /
    • 200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유방암환자에서 보존적 수술 후 전자선을 이용한 추가방사선 조사 시 조사야의 범위 결정에 수술상흔 및 외과적 클립이 미치는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이상적인 조사야 범위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기 유방암 환자로 병소를 제거한 후 외과적 클립을 $4{\sim}7$개 삽입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자선의 치료 에너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피부에서부터 흉부벽까지의 거리(SCD)와 병변 조직의 가장 뒤쪽에 위치해 있는 클립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수술시 삽입된 클립들을 simulation 필름 상에서 연결하여 방사선학적 tumor bed로 정의하였다. 방사선 조사야의 범위는 3가지 방법에 의해 simulation 필름에 그렸다. 임상방사선 조사야(CF)는 수술 상흔 둘레로 3 cm의 여유를 주었고, 외과적방사선 조사야(SF)는 클립주위로 2 cm의 여유를 주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상적 방사선조사야(IF)는 수술 상흔과 클립을 모두 포함하여 2 cm의 여유를 주었다. 그려진 조사야들의 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치료계획 컴퓨터에 입력되었고 측정된 면적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삽입된 클립들을 CT상에서 그려 넣었고 클립들의 3차원적인 선량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선량체적표를 얻었다. 결과: SCD와 가장 깊이 삽입된 clip까지의 거리의 평균차이는 $0.7{\pm}0.56cm$이다. 12명의 환자의 경우 깊이의 차이가 있다. 수술 상흔과 클립들의 평균 위치의 변화는 상방으로 1.7 cm, 하방으로 1.2 cm, 내측으로 1.2 cm, 그리고 외측으로 0.9 cm이다. CF의 면적은 20명의 환자 중 6명의 경우 SF보다 크고 IF보다 크다. SF 와 IF의 면적 차이는 15의 환자에서 5%보다 작다. CF 조사야를 이용할 경우 15명의 환자들에 대해 1개 또는 3개의 클립들을 조사야 내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클립들의 선량분포를 볼 때 17명의 환자들이 처방선량의 80% 미만을 받는 즉 선량적으로 부적절한 선량을 받는 클립들이 있었다. 결론: 수술 상흔을 중심으로 방사선 조사야 범위를 결정 할 경우 병변의 상하 부위를 적절히 포함하지 못하므로 병변 조직의 충분한 선량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외과적 클립만을 이용할 경우는 수술 상흔을 모두 포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즉 수술 상흔과 외과적 클립을 모두 포함하는 본 기관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자선 추가 조사야를 그린다면 정상조직의 부작용 및 지리상으로 병변조직의 빠트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2차 관절경 검사 소견 - 이식건 주위의 변화 - (Second-look Arthroscopic Findings after ACL Reconstruction - The Changes around Graft -)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황훈;고동오;권기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16
    • /
    • 2001
  •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시행한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하여 이식건 주위의 반흔 조직의 형태와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1월부터 1999년 6월 사이에 본원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고 2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중 임상적 증상이 없는 14명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학적 검사 및 단순 측면 방사선 검사 상 터널의 위치를 측정하였는데 경골 터널은 경골 고평부 전-후방 길이에서 터널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대퇴골 터널은 Blumensaal선 전-후방 길이에서 터널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2차 관절경 검사에서 이식건 주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단순 방사선 측면 사진 상 경골 터널의 위치는 $27\%$에서 $58\%$로 평균 $41\%$였으며 대퇴 골 터널의 위치는 $58\%$에서 $83\%$로 평균 $76\%$로 모든 예에서 이상적으로 위치하였으며 관절경 소견상 모든 예에서 이식건 감입 현상은 없었으며 3예를 제외한 대부분의 예에서 대퇴과간 절흔과 이식건 사이 혹은 이식건 주위에 섬유성 반흔 조직 형성을 하였는데 그 형태로는 세동성 섬유(fibrillated fiber)가 6예, 섬유성 결절(fibrous nodule)이 5예, 섬유성 띠 (fibrous band)가 1예 있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이식건의 감입 현상 없어도 이식건 주위에 섬유조직의 형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 PDF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Interseeding률 평가 (Interseeding Substitution Ratio Assessment by Using of Molecular Tool)

  • 정승호;임덕종;장덕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1-137
    • /
    • 2010
  • 최근 국내 일부 골프장에서는 그린을 공사하지 않고 신품종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인터씨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어떤 연구나 평가 방법 등이 발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인터씨딩률을 조사하여 그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우정힐스골프장은 기존 품종인 Penncross에 Penn A-4 품종을 1회 인터씨딩하였고, 레이크사이드골프장은 기존품종인 penncross에 CY-2 품종을 3회 인터씨딩하였다. SCAR marker를 이용한 인터씨딩율은 1회 인터씨딩한 우정힐스골프장은 치환율이 20%였고, 3회 인터씨딩한 레이크사이드골프장은 37.3%였다. 1회와 3회 인터씨딩에 의한 치환율의 차이는 15.3% 정도였다. 하지만 3회 인터씨딩한 지역을 답압별로 세부하여 1회 인터씨딩율과 비교하여 보면, 답압이 가장 적게 이루어진 지역은 47.2%로 대략 50%정도가 치환되었다. 이는 1회의 치환률과 비교하여 173%이상 치환률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인터씨딩은 1회 실시하는 것보다는 3회 실시한 경우에 치환률이 훨씬 높아, 향후 인터씨딩을 실시할 경우에는 다년간의 계획을 수립하여 인터씨딩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량의 시료만을 이용한 인터씨딩률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였고, 유전분석을 이용한 인터씨딩율 조사를 통해 현재 시행하고 있는 인터씨딩 방법에 대한 기술 개선에 많은 도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균 독소를 작용시킨 섬유아 세포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의 생성 (PRODUC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 IN HUMAN FIBROBLASTS INDUCED WITH BACTERIAL TOXINS)

  • 이성근;김광혁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4호
    • /
    • pp.345-354
    • /
    • 2000
  • TGF-${\beta}_1$ is a potent chemotactic factor for inflammatory cells and fibroblasts. It also stimulates the celluar source and components of extracellular matrix and the production of proteinase inhibitors. Collectively, these biologic activities lead to the accumula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nascent matrix, which is vital to wound heal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duction of TGF-${\beta}_1$ in vitro fibroblast culture in the presence of Staphylococcus enterotoxin B(SEB) and/or lipopolysaccharide(LPS) and to elucidate the role of TGF-${\beta}_1$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wound healing. The fibroblasts were originated from facial dermis and hypertrophic scar in 26 year-old male patient. In the presence of LPS($0.01{\mu}g$, $0.1{\mu}g$, $1.0{\mu}g$), SEB($0.01{\mu}g$, $0.1{\mu}g$, $1.0{\mu}g$) respectively, cells($5{\times}10^3ml$) were cultivated in vitro. At 1, 3, and 5 days after incubation, cells were counted. Also, cells($2.5{\times}10^5ml$) were cultivated in EMEM with LPS(0.01, 0.1 and $1.0{\mu}g$), SEB(0.01, 0.1 and $1.0{\mu}g$) respectively and LPS($0.1{\mu}g$) and SEB($0.1{\mu}g$) in combination for 24,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Culture supernatants were harvested at 1, 2, and 3 days after incubation period and triplicate culture supernatants were pooled and TGF-${\beta}_1$ was assayed in duplic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facial dermal fibroblast induced with SEB and LPS respectively or in combination, the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occurr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SEB exposure,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de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in LPS, SEB and LPS exposure,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in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2. In hypertrophic scar fibroblast induced with SEB and LPS respectively or in combination, the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did not occur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SEB and LPS exposure in combination,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in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the production of TGF-${\beta}_1$ did not occur in SEB and LPS exposur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l toxins and the incubation period correlated with cell proliferation and production of TGF-${\beta}_1$ very significantly and both fibroblasts have different phenotype each other in this regard. This data suggest that the significant production of TGF-${\beta}_1$ may develope abnormal wound healing associated with tissue fibroproliferative disorder, such as hypertrophic scar and keloid formation.

  • PDF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저항성 토마토 유전자원 탐색 (Screening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Resistance in Tomato Accessions)

  • 한정헌;최학순;이준대;김재덕;이원필;최홍수;김정수;윤재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71-177
    • /
    • 2012
  • Sw5-2 SCAR 분자표지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토마토 유전자원 94종의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Sw5-2 SCAR 분자표지의 PCR 산물은 대략 574bp, 500bp, 462bp였는데, 크기가 가장 큰 PCR 산물이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와 연관되어 있었다.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는 3개 수집종('Eureta', 10-318, 10-321)에서 관찰되었는데, 접종한 개체 가운데 이들 가운데 일부는 TSWV-pb1(토마토 분리주)에 일시적으로 감염되어 회복되거나 줄기에 괴사 병징을 보였다. ELISA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명된 수집종 당 1개체씩 총 35개체를 선발하여 병징 발현 및 바이러스 감염 유무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접종 5개월 이후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26개체를 대상으로 RT-PCR을 이용하여 TSWV 감염유무를 조사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TSWV의 RT-PCR 산물이 약하게 증폭되었고, 이들 PCR 산물의 증폭 수준은 'Eureta'와 비슷하였다. 선발된 유전자원의 저항성은 조직 내 TSWV의 농도를 낮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들은 Sw5를 포함한 여러 가지 유전자들에 의해 양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Dithiophosphate Group을 함유한 디올유도체의 합성 및 내마모성-말단 알킬기 및 몸체 알킬기의 탄소사슬에 따른 영향 (Synthese and Anti-wear Properties of Diol Derivatives Containing Dithiophosphate Group-effect on Main Alkyl Chain and Side Alkyl Chain)

  • 고경민;한혜림;김영운;강호철;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05-412
    • /
    • 2018
  • 알칸디올로부터 유래된 주사슬의 탄소수가 6, 9, 11인 bis[3-(dialkyloxylphosphorothionyl)thio-2-methylpropanyloxy]alkane (BAPA)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zinc dialkyl dithiophosphates (ZDDP)와 비교하여 마모억제성능을 살펴보았다. 탄소 주사슬의 길이에 따른 BAPA의 내마모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4-ball 시험을 하였다. 기유무게의 1% 농도로 첨가제를 넣고 WSD (wear scar diameter)를 측정하였고, 각 0.472, 0.459, 0.480 mm로 나타났다. 또한 BAPA 화합물 중 bis[methacryloyloxy]nonane (BMOO9)의 곁사슬인 dialkyl dithiophosphoric acid (DDP)의 탄소수를 4, 8, 12로 변화시켜 합성하여, 4-ball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로 WSD의 값은 각각 0.537, 0.459, 0.531 mm로 측정되었다. 곁사슬이 짧으면 필름이 얇게 형성되고, 길면 필름형성을 방해하여 탄소수가 8개일 때의 값이 제일 좋게 나타났다. ZDDP의 경우 동일한 조건에서 WSD의 값이 0.563 mm로 측정되었고, 합성한 BAPA의 화합물이 마모억제용 첨가제로 더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분층 화상에 적용한 건조소양막과 동종배양표피세포의 치료효과 비교 (Comparison of Treatment Effect of the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 and the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in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 여현정;김준형;정영진;손대구;한기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385-392
    • /
    • 2009
  • Purpose: In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despite of several advantages, the use of human amniotic membrane has been limited. The authors applied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DBAM) to overcome disadvantages of amniotic membrane for partial thickness burn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with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CAK) that have been recently used for the management of burn. Methods: 16 patients with partial thickness burn, the mean age of 38 ranging 12 to 59 years, between August 2007 and May 2008 were assigned to this study. Either DBAM or CAK was applied, and the secondary dressing was removed on the following day. To compare treatment effect, time for epithelization, Vancouver scar scale and chromameteric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time for epithelization of DBAM was 10.1 days, that of CAK was 9.1 days, and they were shorter than the previous 2 - 3 weeks. At the follow up Vancouver scar scale was 2.8 for DBAM and 3.0 points for CAK and showed good results. The result of chromameter showed that the $L^*$, $a^*$, and $b^*$ values of the area applied DBAM were 60.1, 13.6, and 13.3, respectively, and the values of the area applied CAK were 60.1, 12.4, and 12.4,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skin color of the healed area after burn was darker, the redness was higher, and the yellowness was lower. After dressing, significant side effects were not observed, and in the cases of applying CAK, it was inconvenient as the moving area had to be fixed. Conclusion: With CAK, DBAM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the shortening of the epithelization period, reduction of scar and pigmentation, and convenient application, etc. Thus it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소아 요로감염에서 발열과 신반흔의 관계 (Fever Duration and Renal Scar in Pediatric Urinary Tract Infection)

  • 정지인;임동희;임형은;박만식;유기환;홍영숙;이주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1호
    • /
    • pp.70-77
    • /
    • 2008
  • 목적 : 요로감염은 소아 발열의 흔한 원인이며 합병증으로 초래되는 신 반흔은 고혈압이나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로감염에 의한 발열지속기간이 신 반흔이나 방광요관역류 등 위험요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소아 청소년과에 입원한 15세 미만 초진환자 중 1) 발열을 주소로 하고 2) 입원 전 발열 기간 및 항생제 사용의 정확한 병력을 알 수 있으며 3) 요로감염으로 처음 진단된 환아 143명을 대상으로 항생제 사용 전, 후 발열 지속기간에 따라 초기 신 결손 및 6개월 후 신 반흔 여부, CRP, 말초 혈액 백혈구, 방광요관역류 유무 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1) 항생제 사용 후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P=0.014) 초기 신 결손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항생제 사용 전 발열기간은 상관이 없었다. 2) 항생제 사용 전(P=0.006)과 후(P=0.015)의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 신 반흔 발생은 증가하였다. 3) 항생제 사용 후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 CRP도 높았다(r=0.287, P=0.003). 4) 말초 혈액 백혈구 수 및 방광요관역류 및 등급은 항생제 사용 전, 후 발열 지속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소아 요로 감염에서 항생제 사용 전과 후의 발열 기간이 길어질수록 신 반흔의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열을 동반한 요로 감염 환아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와 관찰이 요구된다.

  • PDF

반흔형성 과정에서 Sp1 전사인자 조절에 의한 TGF-β1 및 CTGF의 발현 (The Effect of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Sp1 for TGF-β1 and CTGF Expression in Scar Formation)

  • 박동만;손대구;한기환;이선영;채영미;장영채;박관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39-45
    • /
    • 2006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GF-b1 expression and CTGF expression,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Sp1 blockade on the expression of TGF-b1, CTGF and extracellular genes, clones of fibroblasts stably transfected with Sp1 decoy ODN. R-Sp1 decoy ODN was highly resistant to degradation by nucleases or serum, compared to the linear or phosphorothioated-Sp1 decoy ODN. Skin wounds were created on the back of 36 anesthetized ra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the rats with normal skin, with wounded skin without decoy, with wounded skin injected with R-Sp1 decoy, and with wounded skin injected with mismatched R-Sp1 decoy, respectively. Skins were collected at 3rd, 5th, 7th, 14th day after wounding. Cellular RNA was extracted by RT-PCR analysis. TGF-${\beta}1$ and CTGF were deeply related with skin fibrosis during scar formation and it appeared that TGF-${\beta}1$ may cause the induction of CTGF expression. R-Sp1 decoy ODN inhibited TGF-${\beta}1$ and CTGF expression both in cultured fibroblasts and in the skin of r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argeting Sp1 with R-type decoy efficiently blocks extracellular matrix gene expression, and suggest an important new therapeutic approach to control the scarring in normal wound healing and fibrotic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