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 model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1초

위성체 지향 및 안정화 오차로 인한 영상레이더 위성 영상 품질 저하 해석 (Analysis of SAR Image Quality Degradation due to Pointing and Stability Error of Synthetic Aperture Radar Satellite)

  • 천용식;나성웅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445-458
    • /
    • 2008
  • 레이더 영상의 품질은 영상레이더 탑재체 뿐만 아니라 위성 본체의 성능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영상레이더 위성의 영상형성구조분석(Image Chain Analysis)은 위성체 설계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석들 중 하나이다. 특히, 위성체 지향 및 안정화 오차는 탑재체 고유 설계에서 유도되는 영상 품질에 가장 나쁜 영향을 끼친다. 이 연구에서는 위성체 지향 및 안정화 오차로 인한 레이더 영상 품질 저하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형성구조분석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궤도 모델, 자세제어 모델, 영상레이더 탑재체 모델, 클러터 모델, 영상처리 모델로 구성된다. 이 해석을 위해, $5km{\times}5km$의 관측폭을 가지는 1m고해상도 모드 레이더 영상의 원시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고, 영상처리를 수행하였다 영상 품질을 분석하기 위해 영상 내에 총 25개 점표적들을 생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레이더 영상의 방사 정밀도는 위성체 지향오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최고의 영상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위성체 자세제어 시스템의 성공적인 설계가 가장 중요하다.

이동통신단말기 안테나 배치에 따른 두부의 전자파 흡수율 (SAR in a Human Hea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Antenna of Mobile Phone)

  • 이애경;김진석;이광천;조광윤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095-1103
    • /
    • 1999
  • 현재 helix와 monopole로 구성되는 안테나를 갖는 수납형 전화기(retractble phone)가 셀룰라 이동통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테나의 monopole의 길이가 약 $\lambda$/4이므로, 강한 복사 전기장이 전화기를 사용하는 인체 두부의 외이 주변에 주로 분포한다. 이러한 전기장 분포는 두부 내에 매우 높은 국부 SAR(specific abs$\alpha$ption rate)을 야기한다. 본 논문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 배치가 반대인 전화기 형상에 대한 두부 내 전자파 흡수율을 기존의 단말기 형상의 것과 비교, 고찰한다. 이것은 단말기 옴체의 상부가 아닌 바닥 에 안테나를 배치하는 것이다. 인체와 단말기 모델을 포함하는 계산 공간의 시간-평균 전자기장 분포를 얻기 위해 시간영역 유한차분( FDTD)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SAR 분포와 국부 SAR 값이 시간-명균 전기장 분포로부터 계산되었다. 실제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해부학적 인체 두부 모델과 근사된 사용자 손이 고려되었 다. 분석된 데이터는 안테나의 이 같은 배치가 인체 두부 내에 국부 SAR을 상당히 감소시킴을 보인다.

  • PDF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 분석도구 개발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 in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ry Analysis Tools)

  • 이강진;전성경;성석용;강기묵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1권2호
    • /
    • pp.268-281
    • /
    • 2021
  • 합성 개구 레이다(SAR, synthetic aperture radar)는 주야간 및 기상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지점을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그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SAR 위성으로 관측한 원시 데이터는 위성궤도보정, 방사보정, multi-looking, geocoding과 같은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물체 탐지, 변화탐지, DEM(Digital Elevation Model) 등 영상 활용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처리와 연산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많은 시간과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한다. 주로 SAR 영상을 활용하는 기관에서는 영상을 편리하고 쉽게 처리하기 위해 각 기관의 활용 목적에 맞는 분석도구를 개발하여 사용 및 외부 수요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SAR 분석도구들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Specific Absorption Rate Values of Handsets in Cheek Position at 835 MHz as a Function of Scaled Specific Anthropomorphic Mannequin Models

  • Lee, Ae-Kyoung;Choi, Hyung-Do;Choi, Jae-Ick;Pack, Jeong-Ki
    • ETRI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227-230
    • /
    • 2005
  • A specific anthropomorphic mannequin (SAM)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local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and head size. The model was scaled to 80 to 100% sized models at intervals of 5%. We assumed that the shell of the SAM model has the same properties as the head-equivalent tissue. Five handsets with a monopole antenna operating at 835 MHz were placed in the approximate cheek position against the scaled SAM models. The handsets had different antenna lengths, antenna positions, body sizes, and external materials. SAR distributions in the scaled SAM models were computed using the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We found that a larger head causes a distinct increase in the spatial peak 1-voxel SAR, while head size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peak 1-g averaged-SAR and 10-g averaged-SAR values for the same power level delivered to the antenna.

  • PDF

Iceberg-Ship Classification in SAR Images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ith Transfer Learning

  • 최정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5-44
    • /
    • 2018
  • Monitoring through Synthesis Aperture Radar (SAR) is responsible for marine safety from floating icebergs. However, there are limits to distinguishing between icebergs and ships in SAR image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s used to distinguish the iceberg from the ship.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identifying icebergs from SAR images. The metrics for performance evaluation uses the log loss. The two-layer CNN model proposed in research of C.Bentes et al.[1] is used as a benchmark model and compared with the four-layer CNN model using data augmentation.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final CNN model using the VGG-16 pre-trained model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model. This paper shows how to improve the benchmark model and propose the final CNN model.

Effects of Size and Permittivity of Rat Brain on SAR Values at 900 MHz and 1,800 MHz

  • Hyun Jong-Chul;Oh Yi-Sok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6권1호
    • /
    • pp.47-52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ze and permittivity on the specific absorption rate(SAR) values of rat brains during microwave exposure at mobile phone frequency bands. A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FDTD) technique with perfect matching layer(PML) absorbing boundaries is used for this evaluation process. A color coded digital image of the Sprague Dawley(SD) rat bas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is used in FDTD calculation with appropriate permittivity valu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tissues for 3, 4, 7, and 10 week old rats. This study is comprised of three major parts. First, the rat model structure is scaled uniformly, i.e., the rat size is increased without change in permittivity. The simulated SAR values are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Second, the effect of permittivity on SAR values is examined by simulating the microwave exposure on rat brains with various permittivity values for a fixed rat size. Finally, the SAR distributions in depth, and the brain-averaged SAR and brain 1 voxel peak SAR values are computed during the microwave exposure on a rat model structure when both size and permittivity have vari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ages ranging from 3 to 10 weeks. At 900 MHz,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brain-averaged SAR values decreased by about 54 % for size variation from the 3 week to the 10 week-old rat model, while the SAR values decreased only by about 16 % for permittivity variation. It is found that the brain averaged SAR values decreased by about 63 % when the variations in size and permittivity are taken together. At 1,800 MHz, the brain-averaged SAR value is decreased by 200 % for size variation, 9.7 % for permittivity variation, and 207 % for both size and permittivity variations.

지표면의 SAR 영상 시뮬레이션 모델 (Model for Simulating SAR Images of Earth Surfaces)

  • 정구준;이성화;김인섭;오이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15-62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산악지대, 논, 채소밭, 풀밭, 도로, 수면 등을 포함하는 지표면에 대한 합성 개구면 레이다(SAR) 영상을 생성하여 주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선보인다. 우선 토양, 수면, 논, 밭과 같은 풀 층과 나무 숲 등에서의 산란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런 다음에, 표고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생성하였다. 이용된 지형 변수로는 토양 수분 함유량, 표면 거칠기, 초목 층 높이, 잎 넓이, 잎 길이, 잎 밀도, 가지 길이, 가지 밀도, 나무 기둥 길이, 나무 기둥 밀도를 포함하는 10개이다. 개발된 산란 모델들은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정확성을 증명하였고, 특정 지역에서의 SAR 영상을 생성하였다.

이동통신단말기에 노출된 인체 두부에 따른 전자파 비흡수율 비교 (Comparison of SARs of Human Heads Exposed to Mobile Phone)

  • 이애경;최형도;최재익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11호
    • /
    • pp.32-41
    • /
    • 2000
  • 두부 형상이 국내 표준에 근접하는 한 자원자 두부의 MR 및 CT 영상에 바탕하여 새로운 해부학적 두부 모델을 구현하였다.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두부의 전자파 비흡수율(SAR)을 비교하기 위해 두 가지의 해부학적 두부 모델의 SAR을 계산하였다. 하나는 구현된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 National Library Medicine에서 제작된 흑인 모델이다. 계산 공간 내의 두부와 이동통신단말기는 CENELEC과 FCC 지침의 접촉위치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두부의 크기가 작을수록 두부 전체 평균 SAR은 높아짐을 볼 수 있었으나 1g 또는 10g 평균의 국부 SAR은 두부의 크기보다는 외이의 형상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Radargrammetry를 이용한 C-밴드 및 X-밴드 SAR 위성영상의 DEM 생성 평가 (Assessment of DEM Generated by Stereo C-band and X-band SAR images using Radargrammetry)

  • 송영선;김기홍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9-116
    • /
    • 2013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는 InSAR기법과 radargrammetry기법이 있다. 지금까지는 정밀한 DEM의 생성을 위해서 InSAR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InSAR는 지형의 기복이 심하거나 혹은 식생지역에서도 두 영상사이에 높은 상관도를 요구한다. 이에 비해 radargrammetry는 InSAR에 비해서 두 영상의 상관도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DEM을 생성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두 영상의 상관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X-밴드 SAR 위성영상의 경우는 DEM의 생성에 radargarmmetry가 더 유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밴드 위성인 RADARSAT-1의 입체위성영상과 X-밴드인 TerraSAR-X 입체위성영상에 radargrammetry기법을 적용하여 DEM을 생성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Estimating Ocean Tidal Constituents Using SAR Interferometric Time Series over the Sulzberger Ice Shelf, W. Antarctica

  • Baek, Sang-Ho;Shum, C.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3-353
    • /
    • 2018
  • Ocean tides in Antarctica are not well constrained mostly due to the lack of tidal observations. Especially, tides underneath and around ice shelves are uncertain. InSAR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data has been used to observe ice shelf movements primarily caused by ocean tides. Here, we demonstrate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idal constituents underneath the Sulzberger ice shelf, West Antarctica, solely using ERS-1/2 tandem mission DInSAR (differential InSAR) observations. In addition, the tidal constituents can be estimated in a high-resolution (~200 m) grid which is beyond any tidal model resolution. We assume that InSAR observed ocean tidal heights can be derived after correcting the InSAR data for the effect of atmospheric loading using the inverse barometric effect, solid earth tides, and ocean tide loading. The ERS (European Remote Sensing) tandem orbit configuration of a 1-day separation between SAR data takes diminishes the sensitivity to major tidal constituents including $K_1$ and $S_2$. Here, the dominant tidal constituent $O_1$ is estimated using 8 differential interferograms underneath the Sulzberger ice shelf. The resulting tidal constituent is compared with a contemporary regional tide model (CATS2008a) and a global tide model (TPXO7.1). The InSAR estimated tidal amplitude agrees well with both models with RMS (root-mean-square) differences of < 2.2 cm and the phase estimate corroborating both tide models to within $8^{\circ}$. We conclude that fine spatial scale (~200 m) Antarctic ice shelf ocean tide determination is feasible for dominant constituents using C-band ERS-1/2 tandem mission InS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