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0

검색결과 178,427건 처리시간 0.141초

Role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inases) in H-ras-induced Invasiveness and Motility of MCF10A Cells

  • Lee, Eun-Jung;Kim, Mi-Sung;Aree M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04-104
    • /
    • 2001
  • Ras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 등 여러 필수적인 세포기능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Ras가 mutation되면 암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Ras 발현은 유방암에서 tumor aggressiveness의 지표로 간주되고 있으며 유방세포의 침습성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ras가 전이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결과, H-ras와 N-ras 모두 transformed phenotype을 나타내지만 H-ras 만이 암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침윤성을 유도하는 것을 밝혔다. 이 결과는 MCF10A 세포에서 H-ras와 N-ras에 의한 신호전달경로가 각각 다른 생물학적 전이활성을 나타냄을 시사한다. 세포의 이동성은 침습성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본 연구에서 H-ras와 N-ras로 형질전환된 MCF10A세포에서 이동성을 시험한 결과, 세포의 이동성이 N-ras가 아닌 H-ras MCF10A 세포에서만 크게 증가된다는 것을 보았다. 이는 침습성을 나타내는 H-ras가 세포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데 작용한다는 것을 말한다. H-ras에 의해 유도된 침습성과 이동성에 대한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H-ras MCF10A와 N-ras MCF10A 세포에서 Ras의 downstream effector들, 특히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MAPKinases)들인 JNK1, ERK, p38의 활성화를 살펴본 결과 p38 MAPKinase가 H-ras MCF10A 세포에서 현저하게 활성화됨을 보았다. p38 MAPKinase 저해제인 SB203580를 처리하던지 dominant negative p38 (DN p38) transfectant로 p38을 불활성화시켰을 때 세포침습성 및 이동성이 저해되는 결과를 얻었다. SB203580 처리한 H-ras MCF10A 세포에서 전이에 관여하는 효소인 MMP-2 분비가 감소되었다. H-ras에 의해 유도된 침습성과 이동성은 DN JNK1 transfectant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DN MEK transfectants에서는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MCF10A 세포의 침윤성과 이동성에는 p38 MAPKinase 활성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JNK 활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ERK-1/2 활성은 충분하지는 않으나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황이 포함된 중형기공성 탄소에 화학적으로 고정화된 H5PMo10V2O40 촉매 상에서 Benzyl Alcohol 산화반응 (Benzyl Alcohol Oxidation over H5PMo10V2O40 Catalyst Chemically Immobilized on Sulfur-containing Mesoporous Carbon)

  • 김민영;강태훈;최정호;송인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419-424
    • /
    • 2016
  • 황이 포함된 중형기공성 탄소 담체(S-MC)에 화학적으로 고정화된 $H_5PMo_{10}V_2O_{40}$ ($PMo_{10}V_2$) 촉매를 제조하고, 이를 Benzyl alcohol 산화반응에 적용해보았다. 먼저 주형물질로 SBA-15, 탄소 전구체로 p-Toluenesulfonic acid를 이용하여 S-MC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PMo_{10}V_2$ 촉매가 화학적으로 고정화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S-MC 지지체의 표면이 양전하를 띠도록 개질시켰다. 전체적으로 음전하를 띠는 $[PMo_{10}V_2O4_{40}]^{5-}$를 이용함으로써 $PMo_{10}V_2$를 양이온을 띠는 S-MC 표면에 화학적으로 고정화하였다. 화학적 고정화를 통해 $PMo_{10}V_2$가 분자수준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Benzyl alcohol의 기상 산화반응에서 $PMo_{10}V_2$/S-MC 촉매는 무담지 상태의 $PMo_{10}V_2$보다 높은 전화율 및 수율을 나타냈다. $PMo_{10}V_2$/S-MC 촉매의 반응 활성이 향상된 이유는 화학적 고정화를 통해 $PMo_{10}V_2$이 S-MC 지지체에 고르게 분산되었기 때문이다.

Cost-Effective Transition to 40 Gb/s Line Rate Using the Existing 10 Gb/s-Based DWDM Infrastructure

  • Lee, Sang-Soo;Cho, Hyun-Woo;Lim, Sang-Kyu;Lee, Dong-Soo;Yoon, Kyeong-Mo;Lee, Yong-Gi;Kim, Kwang-Joon;Ko, Je-Soo
    • ETRI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261-267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demonstrate a cost-effective technique to upgrade the capacity of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WDM) networks to a 40 Gb/s line rate using the existing 10 Gb/s-based infrastructure. To accommodate 40 Gb/s over the link optimized for 10 Gb/s, we propose applying a combination of super-FEC, carrier-suppressed return-to-zero, and pre-emphasis to the 40 Gb/s transponder. The transmission of 40 Gb/s DWDM channels over existing 10 Gb/s line-rate long-haul DWDM links, including $40{\times}40$ Gb/s transmission over KT's standard single-mode fiber optimized for 10 Gb/s achieves successful results. The proposed upgrading technique allows the Q-value margin for a 40 Gb/s line rate to be compatible with that of 10 Gb/s.

  • PDF

Review on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10S myosin II in the era of Cryo-electron microscopy

  • Anahita Vispi Bharda;Hyun Suk J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52권
    • /
    • pp.9.1-9.5
    • /
    • 2022
  • The compact smooth muscle 10S myosin II is a type of a monomer with folded tail and the heads bending back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inactivated form is associated with regulatory and enzymatic activities affecting myosin processivity with actin filaments as well as ATPase activity. Phosphorylation by RLC can however, shuttle myosin from the inhibited 10S state to an activated 6S state, dictating the equilibrium. Multiple studies contributed by TEM have provided insights in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10S form. However, it is only recently that the true potential of Cryo-EM in deciphering the intramolecular interactions of 10S myosin state has been realized. This has led to an influx of new revelations on the 10S inactivation, unfolding mechanism and association in various diseases. This study reviews the gradual development in the structural interpretation of 10S species from TEM to Cryo-EM era. Furthermore, we discuss the utility of Cryo-EM in future myosin 10S studies and its contribution to human health.

$10^{-10}$ Pa 영역에서의 스퍼터 이온펌프와 Non-Evaporable Getter (NEG) 펌프조합의 배기 특성

  • 조복래;한철수;김영준;안상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8-148
    • /
    • 2013
  • 스퍼터 이온펌프(Sputter Ion Pump)는 주로 화학흡착으로 동작하며 기계적 진동이 없고, 기름 등의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며, 수명이 길어 초고청정 진공이 요구되는 표면실험장치, 표면분석계, 입자가속기 등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일정한 지름을 갖는 다수의 원통 양극과 그 양단에 두개의 음극판을 배치시킨 후, 양극과 음극 사이에 수 kV의 전압을 걸고 원통의 축방향으로 자장을 인가하면 페닝 방전이 발생한다. 냉음극에서 방출된 전자는 양극으로 비행하면서 가스를 이온화한다. 이온분자는 가스흡수성 게터재료로 된 음극에 충돌하여 스퍼터링을 일으키며 게터막를 주변에 증착시킨다. 이온 및 중성 가스는 게터 고체막 속에 주입 포획되는 형태로 배기된다. 스퍼터 이온펌프는 $10^{-5}$ Pa 부근에서 최대 배기속도를 가지며, 압력이 낮아질 수록, 특히 $10^{-10}$ Pa영역 이하에서는 그 배기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며, $10^{-10}$ Pa영역에서는 배기능력을 거의 상실한다. 따라서 스퍼터 이온펌프 단독으로 진공시스템을 배기할 때 도달압력은 $10^{-9}$ Pa 영역에 머무르게 되며, $10^{-10}$ Pa 이하의 극고진공을 얻기 위해서는, $10^{-8}$ Pa 이하의 압력에서 배기 속도가 압력과 무관한 흡착펌프(getter pump)와 이온펌프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600^{\circ}C$ 이상의 온도로 진공로에서 탈개스시킨 진공용기를 배기속도 450, 60, 30, 20, 5, 3 l/s의 6종류의 이온펌프와 배기속도 400 l/s, 100 l/s의 non-evaporable getter (NEG) 펌프를 조합시켜 배기하여 그 배기 특성을 비교하였다. 도달 압력은 이온펌프의 배기속도가 클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450 l/s 이온펌프와 400 l/s NEG를 조합하여 배기시킬 때 도달 압력은 ~$2{\times}10^{-10}$ Pa을 기록하여 가장 낮았으며, 3 l/s 이온펌프와 400 l/s NEG를 조합하였을 때는 $ 2{\sim}3{\times}10^{-8}$ Pa을 기록하였다. 450 l/s 이온펌프와 400 l/s NEG를 조합한 경우 잔류가스의 대부분이 수소였으나, 3 l/s 이온펌프와 400 l/s NEG의 조합한 경우에는 메탄의 잔류량이 수소 보다 많았다. 이 결과는 메탄을 배기하지 못하는 NEG의 배기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일정 배기속도 이상의 이온 펌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한국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과 S-type)의 내구란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Rest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 and S-type))

  • 허성범;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5-351
    • /
    • 1996
  • 한국산 B. plicatilis, L-type rotifer와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L-type rotifer의 경우 15일 동안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와 빵효모 단독구로 하였고 S-type rotifer는 7일동안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로, $6{\~}8$일 동안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로 대량생산하였다. L-type rotifer 내구란 대량생산 실험에서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가 총 내구란 생산 $54.5{\times}10^6$개, $10^{8}$ rotifers 당 내구란 생산 $30.5{\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g 당 내구란 생산 $100{\times}10^3$개로 빵효모 단독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를 먹이로 총 내구란 생산 $149{\~}567{\times}10^6$개, $10^{8}$ rotifers당 내구란 생산 $36{\~}123{\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 g당 내구란 생산 $131{\~}338{\times}10^3$개를 생산하여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를 단독 먹이로 생산한 경우 보다 높았다.

  • PDF

황련(黃連) 전탕액(煎湯液)이 Staphylococcus species(S.aureus, S.epidermidis)의 배양일에 따른 항균효과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continuous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Cultivation of Staphylococcus species(S. aureus, S. epidermidis))

  • 서형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1-76
    • /
    • 2007
  • Objectiv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inuous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cultivation of Staphylococcus species(S. aureus, S. epidermidis) that induce eye disease. Methods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was measured by dropping to $50{\mu}l$ diluted Coptidis rhizoma extract(100%, 10%, 1%, 0.1%) on S. aureus, S. epidermidis that were cultivated from 2 to 6 days. Anti-bacterial potency was measured by the size of inhibition zone with change of volume($20{\mu}l,\;30{\mu}l,\;40{\mu}l,\;50{\mu}l$). Results 1.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S. aureus was appeared in 100%, 10% and was the same as anti-bacterial potency of 2 days and 6 days. Anti-bacterial potency with change of volume(100%) was increased in propotion to increase volume on all samples. Anti-bacterial potency with change of volume(10%) was increased in propotion to increase volume on all samples except $20{\mu}l$.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S. aureus was appeared continuous. 2.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S. epidermidis was appeared in 100%, 10% and was the same as anti-bacterial potency of 2 days and 6 days. Anti-bacterial potency with change of volume(100%) was increased in propotion to increase volume on all samples. Anti-bacterial potency with change of volume(10%) was appeared in $50{\mu}l$.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S. epidermidis was appeared continuous. Conclusions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cultivation of S. aureus & S. epidermidis was showed continuous.

당액침지에 따른 반건시 가공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persimmons soaked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sugar solution)

  • 권기만;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4-321
    • /
    • 2015
  • 반건시의 활용성 증대를 위하여 당액침지형 반건시를 제조하였으며 당 조성에 따른 반건시의 이화학적 특성 및 갈변 저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명도와 채도는 S5(sugar 5%), S10(sugar 10%)에서 높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은 당의 농도가 증대될수록 증가하였으며, S5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S10은 유사한 함량을 보였으며 S15 및 S20의 경우 과실에 함유하는 당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액침지형 반건시와 갈변효소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폴리페놀 산화효소와 과산화효소를 측정하였으며, 당액 농도가 증대됨에 따라 활성이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10 이후부터는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비타민 C 함량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면 S10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 식품과 당액 사이에 삼투압 때문에 당액으로 용출되는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S10에서 65.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당액침지 시 삼투작용으로 적정 농도의 확립이 요구되며 갈변억제 및 영양적인 가치 등의 품질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10% 설탕을 첨가한 당액 침지법이 반건시 가공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실내주상실험에 의한 불균일한 토양의 입도와 수리분산기작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of Soil Particle Distribution and Hydrodynamic Dispersion Mechanism in Ununiformed Soils Through Laboratory Column Tests)

  • 강동환;정상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6호
    • /
    • pp.28-34
    • /
    • 2006
  • 자갈, 모래, 실트 및 점토의 입도분포가 다른 3종류의 토양시료(자갈모래/실트점토의 비율 : S-1 토양 24.5, S-2 토양 4.48 및 S-3 토양 0.4)에서 염소이온($C^{-1}$)을 이용한 실내주상실험이 수행되었다. 실내주상실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3종류 토양의 입도와 수리분산기작의 상관성이 연구되었다. 실내주상실험에 의한 시간에 따른 염소이온의 농도이력은 가우시안 함수가 적합하였으며, 염소이온의 상대농도가 1.0으로 수렴하는데 경과된 시간은 S-1 토양에서 0.7시간, S-2 토양에서 6.3시간 및 S-3 토양에서는 389시간 이었다. 토양종류에 따른 농도이력곡선 함수에 의해 평균선형유속, 종분산계수 및 종분산지수가 산정되었다. 종분산계수는 S-1 토양에서 $1.20{\times}10^{-4}\;m^2/sec$, S-2 토양에서 $8.87{\times}10^{-7}m^2/sec$, S-3 토양에서는 $1.94{\times}10^{-9}\;m^2/sec$로 산정되었다. 염소이온의 분자확산계수와 토양평균입경에 의해 산정된 페클릿수는 S-1 토양에서 $2.59{\times}10^2$, S-2 토양에서 $6.27{\times}10^0$, S-3 토양에서는 $1.35{\times}10^{-4}$이었다. S-1 토양에서는 역학적인 분산이 지배적이며, S-3 토양에서는 분자확산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2 토양에서는 역학적인 분산과 분자확산이 동시에 발생하지만, 역학적인 분산이 우세하였다. Bijeljic et al.(2004)에 의해 보고된 페클릿수 대 $D_L/D_m$의 그래프에 본 연구에서 산정된 값들을 도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S-1 및 S-2 토양시료는 페클릿수에 대한 $D_L/D_m$의 값이 2.0 order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S-3 토양시료는 페클릿수가 $1.35{\times}10^{-4}$으로 매우 낮아 그래프에 표시되지 않았다.

구강에서 분리한 E. durans의 S. mutans와 S. oralis에 대한 작용 (INTERACTION OF ORAL ENTEROCOCCUS DURANS WITH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ORALIS)

  • 김용남;양규호;오종석;정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61-369
    • /
    • 2000
  • 장구균은 사람의 구강, 질, 장내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에서 분리된 장구균중 Enterococcus durans로 동정된 분리균주 4주의 특성과 구강내 주요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oralis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균주에 대한 당 발효 검사와 생화학적 검사 결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 분리균주 모두 erythromycin, penicillin, tobramycin, ampicillin, teicoplanin, ciprofloxacin, vancomycin. gentamicin, kanamycin 및 streptomycin에 대해 감수성을 보였다. 3. S. mutans를 일회용 큐벧에서 단독 배양시 550 nm에서의 흡광도가 1.405이었으나. S. mutan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에는 각각의 흡광도가 0.855, 0.867, 0.797, 1.083으로 감소되었다. 4. 비커 와이어 검사 결과, S. mutans 단독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의 평균 무게는 $1566{\pm}103mg$이었다. S. mutan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에는 각각 $44{\pm}5mg,\;41{\pm}12mg,\;34{\pm}7mg,\;38{\pm}12mg$으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배양후 생균수는 S. mutans 단독 배양시 ml당 $2.0\times10^9$ 이었으나, S. mutan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 S. mutans는 $2.0\times10^7$ 내지 $6.0\times10^7$으로 감소되었다. 5. S. oralis 단독 배양시 ml당 $2.1\times10^8$ 이었으나, S. orali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 S. oralis는 $1.4\times10^7$ 내지 $7.0\times10^7$으로 감소되었다. 6. 3주의 분리균주로 부터 약 60 kb의 plasmid를 분리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E. durans는 S. mutans의 증식을 억제하여 인공치태 형성을 저지하였고, S. oralis의 증식은 약간 억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