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pomb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8초

Seibel 백포도즙 발효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Seibel White Grape Must Fermentation by Different Yeast Strains)

  • 고경희;장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7-493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확한 양조용 Seibel 백포도품종을 이용, S. cerevisiae, S. cerevisiae+Schizosaccharomyces pombe의 혼합 균주, Sch. pombe를 포도즙에 접종하여 $12^{\circ}C$에서 발효시켰을 때 화학성분 변화와 효모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S. cerevisiae, S. cerevisiae+Sch. pombe, Sch. pombe를 포도즙에 접종하여 사과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사과산의 감소는 발효 4일부터 시작되어, 발효 말기에는 Sch. pombe가 56% 이상의 사과산을 감소시켰다. 젖산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 cerevisiae, S. cerevisiae+Sch. pombe, Sch. pombe의 알코올의 생성량은 각각 11.5%, 11.2%, 10.0%로서 Sch. pombe가 S. cerevisiae보다 발효 속도가 약간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뒷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각 균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맛에 있어서 Sch. pombe가 S. cerevisiae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 PDF

$GPScreen^{TM}$ 이용한 천연 항암물질인 plumbagin의 약물 작용점 연구: 분열 효모인 S. pombe 유전체 이종 결손 변이 라이브러리에서의 약물에 의한 haploinsufficiency를 이용한 약물 작용점 규명을 위한 혁신 기술 (Drug Target Identification of a natural anticancer agent plumbagin using $GPScreen^{TM}$: An innovative Technology for Drug Target Discovery using Drug-induced haploinsufficiency in S. pombe Genome-wide Heterozygous Deletion Mutant Library)

  • 이주희;연지현;윤평오;노휘재;박한오;김동명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약용작물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6-107
    • /
    • 2011
  • PDF

카르복시 말단 유비퀴틴 가수분해 효소 활성 보유 PPPDE superfamily member인 Schizosaccharomyces pombe Sdu1의 열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 역할 (Defensive roles of Sdu1, a PPPDE superfamily member with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 activity, against thermal stress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한희;허태영;류인왕;김경훈;임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9-328
    • /
    • 2015
  • Schizosaccharomyces pombe $sdu1^+$ 유전자는 PPPDE superfamily member에 속하는 탈유비퀴틴화 효소인 Sdu1을 엔코딩한다. 이전 연구에서, $sdu1^+$ 유전자 포함 재조합 플라스미드 pYSTP를 사용하여 Sdu1이 카르복시 말단 유비퀴틴 가수분해 활성을 보유한다는 사실이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배양 온도에 대한 Sdu1의 열내성적 역할이 검토되었다. 온도 천이 실험에서,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37도나 42도로 천이한 후에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훨씬 더 잘 성장하였다. 37도나 42도로 천이 한 후 6시간 배양한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낮은 활성산소종 수준을 나타내었다.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온도 천이와 관계없이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다소 낮은 일산화질소 수준을 나타내었다.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훨씬 높은 총 글루타치온 수준을 나타내었다. 온도천이 후의 총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및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활성들이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에서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요약하면, S. pombe Sdu1은 활성산소종과 일산화질소 수준은 낮추고, 총 글루타치온, 총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및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수준들은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배양 온도에 대한 열내성적 역할을 나타낸다.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septin 유전자의 클로닝과 염기서열분석 (Cloning and Sequencing Analysis of the Septin Gene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김성철;김형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2-236
    • /
    • 1997
  • Septin 유전자는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filament를 암호화하고 있으며 세포질분열이나 bud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S. cerevisiae에서 septin유전자는 4가지가 발견되었으며 초파리나 쥐의 세포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R 방법을 이용하여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septin 유전자를 찾아내었다. S. pombe의 septin 유전자는 1143 bp의 open reading frame을 갖고 있으며 380개의 아미노산으로된 42 kd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을 암호화하였다. S. cerevisiae의 septin 유전자의 하나인 $CDC_{12}$ 유전자와의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51.8%의 유사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Catalase,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Thioltransferase Respond Differently to Oxidative Stress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Cho, Young-Wook;Park, Eun-Hee;Lim, Chang-Jin
    • BMB Reports
    • /
    • 제33권4호
    • /
    • pp.344-348
    • /
    • 2000
  • The logarithmically growing Schizosaccharomyces pombe cells were subjected to high heat ($40^{\circ}C$), hydrogen peroxide, and heavy metals such as mercuric chloride and cadmium chloride. Then, the stress responses of catalase,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thioltransferase were investigated. The high heat and cadmium chloride enhanced the catalase activity.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of S. pombe cells was increased after treatments with heavy metals. The thioltransferase activity of S. pombe cells was completely abolished by mercuric chloride. Hydrogen peroxide caused no effect on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thioltransfer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 of S. pombe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is very complicated.

  • PDF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유일한 치오레독신 환원효소의 산화적, 일산화질소 및 영양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 역할 (A unique thioredoxin reductase plays defensive roles against oxidative, nitrosative and nutritional stresses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지담정;임창진;김경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9
    • /
    • 2016
  • 치오레독신 환원효소(TrxR)를 encoding하는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유일한 $TrxR^+$ 유전자는 스트레스 반응 전사인자인 Pap1의 매개에 의하여 스트레스 유발 인자들에 의하여 양성적으로 조절됨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rxR 과잉 발현 재조합 플라스미드 pHSM10을 사용하여 S. pombe TrxR의 방어적 역할들이 평가되었다. 과산화수소($H_2O_2$)와 superoxide anion을 생성하는 menadione (MD)의 존재 하에서, S. pombe TrxR은 세포성장과 총 글루타치온 (GSH) 수준을 증강시키나,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수준은 감소시켰다. $H_2O_2$와 MD에 의하여 크게 영향 받지 않는 일산화질소(NO) 수준에는 유의성 없는 효과를 보였다. S. pombe TrxR은 sodium nitroprusside(SNP)에 의하여 생성되는 NO를 소거할 수 있었으나, SNP에 노출된 세포들의 성장, ROS 수준이나 총 글루타치온 수준에는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S. pombe TrxR은 질소 결핍(nitrogen starvation)에 의하여 감소되는 세포 성장 및 총 글루타치온 수준을 증가시키며, 질소 결핍에 의하여 생성되는 ROS와 NO를 소거하였다. 요약하건대, S. pombe TrxR은 산화적, 일산화질소 및 영양 스트레스로부터 효모 세포를 보호하지만, 공통적인 기전에 의하지는 않는다.

Schizosaccharomyces pombe에 존재하는 bacterioferritin comigratory protein의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열저항적 성질 (Thermoresistant properties of bacterioferritin comigratory protein against high temperature stress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류인왕;이수희;임혜원;안기섭;박광학;사재훈;정경진;임창진;김경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8-405
    • /
    • 2016
  • 이전의 연구에서, bacterioferritin comigratory protein (BCP)을 인코딩하는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구조유전자를 shuttle vector인 pRS316에 클로닝하여 BCP 과잉발현 플라즈미드인 pBCP10을 제조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미드 pBCP10을 사용하여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BCP의 열저항적 성질을 평가하였다. 대수기의 초기까지 성장시킨 S. pombe 세포의 배양 온도를 $30^{\circ}C$에서 $37^{\circ}C$$42^{\circ}C$로 전이시키는 경우, pBCP10 함유 S. pombe 세포가 벡터 대조 세포보다 $37^{\circ}C$$42^{\circ}C$ 모두에서 유의하기 더 잘 성장하였다. 높은 배양 온도로 전이한 뒤 6시간에서, pBCP10 함유 S. pombe 세포가 벡터 대조 세포보다 낮은 활성산소종(ROS)과 일산화질소(NO)의 지표로 측정된 아질산염(nitrite) 함량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온도 전이 뒤에, 총 글루타치온(total glutathione) 함량과 총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대응되는 벡터 대조 세포보다 pBCP10 함유 S. pombe 세포에서 현저하게 높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S. pombe BCP는 열저항적 역할을 보유하는 데, 활성산소종과 일산화질소에 대한 하강시키는 활성과 총 글루타치온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등의 항산화 성분들을 상승시키는 활성, 즉 종합적으로 열안정성을 유지하는 활성에 근거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의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산소종 의존성 하향조절 (Reactive oxygen species-dependent down-regulation of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조한나;임혜원;권희석;임창진;박광학;진창덕;김경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36-241
    • /
    • 2016
  • 탈유비퀴틴 효소 중 PPPDE 상과에 속하는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sdu1^+$ 유전자가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인코딩하고, 산화적 및 일산화질소 스트레스 방어에 관여함이 이전에 밝혀진 바 있다. 예비적인 본 연구는 정상적인 및 과잉발현의 조건에서 S. pombe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의 활성산소종 의존성 조절에 초점을 맞추었다. 과산화수소,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생성하는 메나디온 및 일산화질소 생성하는 sodium nitroprusside (SNP)에 노출시킨 S. pombe 세포에서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이 감소되었다. 환원형 글루타치온과 그 전구체인 N-acetylcysteine은 과산화수소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을 현저하게 증강시켰다. 그러나, 과산화수소의 부재 시 혹은 존재 시 활성산소종에 미치는 글루타치온과 N-acetylcysteine의 영향은 같은 조건 하에서의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 패턴과 상반되었다. 과잉발현의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을 보이는 재조합 플라즈미드 pYSTP를 보유하는 S. pombe 세포에서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도 과산화수소, 메나디온 및 SNP에의 노출되는 조건에서 감소되었지만, 벡터 대조 세포에서 보다는 높게 유지되었다. 요약하면, S. pombe 유비퀴틴 C-말단 가수분해 효소 활성은 활성산소종에 의하여 하향조절 되지만, 그 의의는 현재로썬 알려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The Schizosaccharomyces pombe Proteins that Bind to the Human HnRNPA1 Winner RNA

  • Kim, Jeong-Ko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27-333
    • /
    • 1997
  • Although extensively characterized in human cells, no heterogeneous nuclear ribonucleoprotein(hnRNP) has been found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which is amenable to genetic studies and more similar to mammals than Saccharomyces cerevisiae is in terms of RNA processing. As a first step to characterize hnRNPs from S. pombe, attempt was made to find human hnRNP A1 homologs from S. pombe. The RNA molecule (A1 winner) containing the consensus high-affinity hnRNP A1 binding site (UAGGGA/U) was synthesized in vitro and used in an ultraviolet(UV) light-induced protein-RNA cross-linking assay. A number of S, pombe proteins bound to the A1 winner RNA. An approximately 50-kDa protein(p50) cross-linked more efficiently to the A1 winner RNA than other proteins. The p50 protein did not cross-link to a nonspecific RNA, but rather to the A1-5’ SS RNA in which the consensus 5’ splice junction sites of S. pombe introns were abolished. This suggests that the p50 protein, however, did not bind to the single-stranded DNA to shich the human hnRNP A1 could bind and be eluted with 0.5M NaCl. Further analysis should reveal more features of this RNA-binding protein.

  • PDF

Expression, Characterization and Regulation of a Saccharomyces cerevisiae Monothiol Glutaredoxin (Grx6) Gene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Lee, Jae-Hoon;Kim, Kyunghoon;Park, Eun-Hee;Ahn, Kisup;Lim, Chang-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3호
    • /
    • pp.316-322
    • /
    • 2007
  • Glutaredoxins (Grxs), also known as thioltransferases (TTases), are thiol oxidoreductases that regulate cellular redox state in a variety of organisms. In the budd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Grx1 and 2 are cytosolic dithiol Grxs, while Grx3, 4 and 5 are monothiol Grxs. A gene encoding a new monothiol Grx, Grx6, was cloned from the genomic DNA of S. cerevisiae by PCR. Its DNA sequence contains 1,080 bp, and encodes a putative protein of 203 amino acid residues containing Cys-Phe-Tyr-Ser at the active site. Grx6 is similar to other monothiol Grxs in the same organism and to Grx3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and its predict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resembles that of S. pombe Grx3. S. pombe cells harboring plasmid pFGRX6 containing the Grx6 gene had about 1.3-fold elevated Grx activity in the exponential phase, and grew better than the control cells under some stressful conditions.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from a Grx6-lacZ fusion gene in S. pombe was enhanced by potassium chloride, aluminum chloride and heat ($37^{\circ}C$) treatment. S. pombe cells harboring plasmid pFGRX6 had elevated ROS levels whereas S. pombe cells harboring extra copies of Grx3 had reduced ROS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