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palmat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우산나물 정유의 테르펜 화합물 분석 및 수확 연도에 따른 Sesquiterpene 화합물 변화 조사 (Analysis of the Terpenoids from Syneilesis palmata Essential Oil and the Variation of the Sesquiterpene Compounds by Harvest Year)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7-294
    • /
    • 201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from Syneilesis palmata essential oil and the tendency of variation of the sesquiterpene compounds according to the harvesting time.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hydro distillation from the aerial parts of Syneilesis palmata were analyzed by GC and GC-MS. Ninety-eight compounds consisting of 9 aliphatic hydrocarbons, 17 sesquiterpene hydrocarbons, 11 aliphatic aldehydes, 1 terpene aldehyde, 8 aliphatic alcohols, 4 monoterpene alcohols, 16 sesquiterpene alcohols, 3 diterpene alcohols, 6 ketones, 11 esters, 8 oxides and epoxides, 3 acids and 1 miscellaneous one were identified from the oil. Spathulenol (22.33%)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beta}$- caryophyllene (6.23%), germacrene D (5.57%), longipinane (4.10%), and epiglobulol (3.65%). The volatile composition of Syneilesis palmata was characterized by higher contents of sesquiterpene compounds, especially sesquiterpene alcohols. The total content of 13 sesquiterpene compound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010 to 2012. ${\alpha}$-Caryophyllene, ${\beta}$-bisabolene, elemol, germacrene D, ${\beta}$-zingiberene, longipinane, and ${\beta}$-caryophyllene alcohol contents decreased, while ${\beta}$-bisabolol content increased during 3 years. The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may be influenced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natural plant terpenoids.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Syneilesis palmata Leaves through Macrophage Activation and Macrophage Autophagy in Mouse Macrophages, RAW264.7 Cells

  • So Jung Park;Jeong Won Choi;Hyeok Jin Choi;Seung Woo Im;Jin Boo J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7호
    • /
    • pp.934-940
    • /
    • 2023
  • Syneilesis palmata (SP) is a traditional medicinal plant. SP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anti-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activities.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research available on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SP.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port that S. palmata leaves (SPL) activate macrophages. Increased secretion of both immunostimulatory mediators and phagocytic activity was observed in SPL-treated RAW264.7 cells. However, this effect was reversed by the inhibition of TLR2/4. In addition, inhibition of p38 decreased the secretion of immunostimulatory mediators induced by SPL, and inhibition of TLR2/4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induced by SPL. SPL augmented p62/SQSTM1 and LC3-II expression. The increase in protein levels of p62/SQSTM1 and LC3-II induced by SPL was decreased by the inhibition of TLR2/4.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PL activates macrophages via TLR2/4-dependent p38 activation and induces autophagy in macrophages via TLR2/4 stimulation.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Syneilesis palmata Leaves through Macrophage Activation and Macrophage Autophagy

  • Jeong Won Choi;Hyeok Jin Choi;Gwang Hyeon Ryu;Seung Woo Im;Jae Won Lee;Jin Boo J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4-44
    • /
    • 2023
  • Syneilesis palmata (SP)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al plant and vegetable. SP was reported to exert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anti-HIV.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SP. Thus, in this study, we report that S. palmata leaves (SPL) induce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An increase in both secretions of immunostimulatory mediators and phagocytotic activity was observed in SPL-treated RAW264.7 cells. However, this was reversed by inhibition of TLR2/4. In addition, the p38 inhibition reduced the SPL-mediated secretion of immunostimulatory mediators, and the SPL-mediated p38 activation was blocked by the TLR2/4 inhibition. SPL augmented both p62/SQSTM1 and LC3-II. TLR2/4 inhibition blocked the SPL-mediated increase of p62/SQSTM1 and LC3-II.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PL may activate macrophages through TLR2/4-dependent p38 activation and activate autophagy through TLR2/4 stimulation.

  • PDF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yneilesis palmata Extracts)

  • 이양숙;안대성;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71-1477
    • /
    • 2009
  • 기능성식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야생 산채류인 우산나물의 지상부와 뿌리 추출물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그리고 생리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이 31.72 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폴리페놀은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68.11 mg/g으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지상부 물 추출물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 모두 98% 이상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tyrosinase 저해는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만 9.33%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우산나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pH 1.2의 조건에서 70.89%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능도 13.0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자공여능에서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98.58%로 천연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우산나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고, tyrosinase 저해, 아질산염 소거, SOD 유사활성 및 전자공여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우산나물 뿌리의 물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보다는 활성이 낮았으나 우산나물 지상부 추출물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율이 가장 높았다. 본 실험결과 우산나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닌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어린순 이외에 뿌리에도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며,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항산화 활성을 지닌 기능성 건강식품 등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산나물 뿌리와 지상부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of Syneilesis palmata root and aerial part)

  • 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6
    • /
    • 2014
  • 본 연구는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우산나물 뿌리와 지상부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우산나물 뿌리 열수 추출물(RHW)은 4.58 mg/g의 플라보노이드와 59.11 mg/g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으며, 지상부 열수 추출물(APHW)은 각각 2.79 mg/g과 48.01 mg/g을 함유하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RHW에서 23.74%, APHW는 21.61%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2,000{\mu}g/mL$에서 RHW는 pH 1.2에서 63.06%였으며, pH 3.0에서는 47.16%로 아질산염을 50% 소거하는 $IC_{50}$은 ascorbic acid $99.93{\mu}g/mL$, RHW $1,150.85{\mu}g/mL$, 그리고 APHW에서는 $1,610.25{\mu}g/mL$이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 대한 $IC_{50}$은 RHW $99.87{\mu}g/mL$, APHW $118.29{\mu}g/mL$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RHW에서 $139.62{\mu}g/mL$였으며, APHW는 $111.11{\mu}g/mL$으로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우산나물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인 APHW가 뿌리 열수 추출물인 RHW보다 좀더 낮은 농도에서 50%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RHW가 APHW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우산나물은 기능성 식품과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 개발을 위한 항산화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조 Rhodymeniales의 웅성생식기관에 관한 연구 (On the Male Organs of Rhodymeniales)

  • 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4호
    • /
    • pp.1-8
    • /
    • 1969
  • According to the mode of development of antheridia and antheridial mother cells, the antheridium formation of Rhodymeniales is divided into two types. I. Separate Type; Antheridial mother cells are separate one another. Antheridia and the mother cell are surrounded by the common wall. The superficial gelatinous wall covering antheridial sori disappears during the antheridium formation. Spermatia are comparatively large. Halosaccion saccatum, H. firmum, Rhodymenia palmata and Rh. marginicrassa. II. Seriate Type; Antheridial mother cells, originated from the same epidermal cell, are seriate one another with a pit-connection. Antheridia and the mother cell do not have the common wall. The superficial gelatinous wall remains during the antheridium formation. Spermatia are comparatively small. Rhodymenia intricata, Rh. pertusa, Chrysymenia wrightii, Lomentaria hakodatensis, L. catenata, Binghamia californica and Champia parvula.

  • PDF

한국균심목록 (The List of the Fungi of Korea)

  • 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5-43
    • /
    • 1973
  • 저자(著者)는 우리나라산(産) 균심류의 정체(正體)를 구명(究明)하고자 1946년(年)부터 금일(今日)에 이르는 동안 서울시내(市內), 광릉(光陵), 수원(水原), 양양(襄陽), 속초(束草), 설악산(雪嶽山), 목포(木浦), 나주(羅州), 울산반도등지(蔚山半島等地)의 산야(山野) 인가(人家) 노변(路邊)에서 야생균심(野生)을 채집정리(採集整理)하여 기(旣)히 조사발표(調査發表)된 종(種)을 종합(綜合)하여 2문(門), 2강(綱), 3목(目), 12아목(亞目), 22과(科)7아과(亞料), 274종(種)을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저자(著者)가 금일(今日)까지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사정(査定)한 종(種)은 하기(下記)와 같다. 1. Polysticus flabelliformis (Klotzsch.) Cke. 2. Thelephora palmata (Scopoli) Fr. 3. Russula nigricans (Bull.) Fr. 4. Omphalia sp. 5. Peziza repanda Pers. 6. Wynnea gigantea Berk. et Curt. 7. Helvella crispa (Scop.) Fr. 8. Helvella epipploides Imai 9. Cordyceps militaris (L.) Link

  • PDF

Surveys of Vegetation in the Peninsular Geography of Youngweol

  • Yun, Sei-Young;Shin, Young-Seob;Yun, Min-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0-543
    • /
    • 2007
  • We hav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in the peninsula located in Ongjeong-Li Seomyeon in Youngweol-gun. Since this is a limestone area, boxtrees, Abelia mosanensis T. H. Chung ex Nakai, and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were abundant, as these are type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limestone areas. Pinus densiflora S. et Z. was the most dominant woody plant, but vegetational changes, such as the dominance of Quercus variabilis Blume, Quercus dentata Thunb, and Quercus mongolica Fischer, were observed in spots. In particular, the growth of nursery plants of pinus densiflora S. et Z. was not observed, and young trees like Quercus mongolica Fischer grow as low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Thus,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is predicted. Outside the investigation area, as herbaceous plants, various vegetations were observed, including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Thalictrum coreanum H. Lev., Mukdenia rossii(Oliv.) Koidz., Platanthera freynii Kraenzl.,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Patrinia rupestris(Pall.) Juss., Swertia pseudochinensis H. Hara, Vicia venosa(Willd.) Maxim.,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Disporum smilacinum A. Gray, Artemisia stolonifera(Maxim.) Kom. for. Stolonifera, Smilax nipponica Miq.,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Regel) H. Hara, Isodon inflexus(Thunb.) Kudo, Gentiana scabra Bunge for. Scabr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Miq.) Ohwi, Dioscorea quinqueloba Thunb., Syneilesis palmata(Thunb.) Maxim.,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Galium kinuta Nakai & Hara,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Lilium amabile Palib., Siberian iris, Dictamnus dasycarpus Turcz., Atractylodes ovata(Thunb.) DC., and Lysimachia clethroides Duby.

벽방산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Research of Forest Vegetation on Mt. Byeokbang)

  • 최병기;허만규;김성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6-655
    • /
    • 2015
  • 벽방산의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벽방산은 3개 상관형의 9개 단위식생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단위식생은 상록침엽수림의 해송-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자금우군락, 하록활엽수림의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신갈나무-우산나물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 비목-물참대군락, 인공조림식생의 사방오리나무식재림 등으로 구분되었다. 벽방산은 지역 최고봉임에도 불구하고 산지 전역이 숲 가꾸기사업, 등산객, 조림 및 육림 등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인위적 간섭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내 식생형 가운데 상대적으로 자연성이 높은 단위식생은 산지대 사면 중부에서 출현하는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전석지에서 확인된 비목-물참대군락 등이며, 산지능선부의 암석노출지를 중심으로 위극상의 천이계열에 해당하는 특산식물군락인 소사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CCA분석 결과, 각 단위식생의 발달은 해발고도, 인간간섭, 낙엽부식층, 암석노출율, 경사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위식생의 종조성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로부터 벽방산 산림식생은 인위식생, 이차식생, 근자연식생으로 구분되며, 식생의 발달정도, 토지적 특성, 인위적 식재 및 관리 유무 등에 의해 삼림이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년생과 다년생 식물의 경합에 미치는 인산의 효과 (The Efect of Phosphorus on Competition in Annual and Perennial Plants)

  • 정찬;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
    • /
    • 1992
  • 자연군락에 인산비과를 시용하여 토양용액중의 인산농도를 높일 경우, 일년생 및 다년생식물의 초장, 건물량의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Italian ryegrass를 자연군락중에 파종하여, 그 후의 정착과 성장에 미치는 인산비과의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일년생식물과 다년생식물과의 경쟁관계에 미치는 토양중 인산 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다년생식물인 MIscanthus, SaSa 및 Artemisia군락에서는 초장, 건물량에 대한 인산 시비의 효과는 작었지만, 일년생식물인 Polygonum 및 Echinochloa군락에서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각 자연군락내의 Italian ryegrass의 초장, 밀도 및 지상부 건물량은 토양의 전인산과 유효태 인산 수준에 크게 의존하였고, 군락중 상대광양자밀도에는 의존도가 낮았다.

  • PDF